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인지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허주연 (Juyeon Heo),박중규(Jungkyu Park),강효신(Hyo Shin Kang),김초복(Chobok Kim) 대한사고개발학회 2024 사고개발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핵심적인 인지기능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이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인 창의적 인지 평정척도(Creative Cognition Rating Scale, CCRS)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창의적 인지에 관한 문헌 검토를 통해 주요 요인을 추출한 후, 창의성과 인지 통제의 관계를 반영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CRS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탐색/인출’ 9문항, ‘전환/결합’ 5문항을 포함하는 2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2요인 구조의 타당성은 독립적인 표본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자기보고식 척도와 행동과제를 사용하여 CCRS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기보고식 척도 간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CCRS는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성취의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인지 통제 척도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다. 또한, 창의성 행동과제인 대안 용도 과제의 수행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CCRS의 두 하위요인이 각각 창의성의 다른 측면과 관련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척도가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CRS의 의의와 본 연구의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r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and to develop the Creative Cognition Rating Scale (CCRS). In Study 1, core factors of creativity were extracted by reviewing previous review articles dealing with creative cognition, and items based on the factor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ognitive control.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wo-factor structure with 9 items for 'Exploration/Retrieval' and 5 items for 'Switching/Combination' was valid for the scale. The subsequ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confirmed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CCRS. In Study 2, the validity of CCRS was verified using self-report scales and behavioral task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report scales, CC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of creative idea generatio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lso, CCRS was highly related to cognitive control scales. In addition, the analysis using the Alternative Uses Tasks, the behavioral tasks of creativity, showed that each factor of CCRS was related to creativity scores in different way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w scale would be an effective and valid tool for evaluating different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터치스크린 기반 셀프 주문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샌드위치 메뉴를 중심으로

        허주연(Hur Juyeon),재은(Heo Jaeeun),박승호(Park Seungh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소비시장은 더욱 세분화되고 소비자들의 요구는 자기중심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외식산업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그 중 부각되고 있는 서비스가 개인 맞춤 메뉴 서비스이다. 하지만 선택폭이 다양해진 만큼 주문 과정 또한 복잡해지고 까다로워졌다. 여러 단계를 거쳐 단계별 주문을 하는 상황이 부담스럽거나 외국어 메뉴가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은 주문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주문 할 수 있는 기술기반 셀프 주문 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기반 셀프 주문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소비자의 트렌드를 알고 레스토랑 주문에 대한 소비자 니즈 도출을 위해 주문과정에 대한 관찰조사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한다. 또한 터치스크린과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대하여 조사하고 샌드위치 주문 과정을 TASK로 프로토타입 제안한다. 이러한 기술기반 셀프 주문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는 시간과 노력 절감 사용의 용이성 증대 대기시간의 단축과 같은 편익 제공은 물론 고객 중심의 서비스로 개인에게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a society comes to be complex and diversified consumer markets are more segmented and demand of consumers is transforming into the self-centered one. Such a tendency can't be an exception in food service industry as well. One of such accentuated services is customized menu service. However owing to the diversified range of selection ordering process came to be complex and complicated. The process to order by many steps may cause a burden and customers who aren't accustomed to foreign language menu feel difficulty in ordering. So self-order service is required based on the technology everyone can order easily and conveniently. During the design process of order interface an observation survey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ordering process are performed firstly to know consumers' trend and draw needs of them on the restaurant ordering. In addition research touch screen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uggest ordering process of a sandwich as a prototype of the task. Such a self-order service based on the technology can not only offer benefits like reducing of time and effort increasing of easy usability and shortening of waiting time but also provide individuals with customized service through customer-centered service.

      • KCI등재

        치매 선별을 위한 도형모사검사 개발 및 타당화

        김초복(Chobok Kim),허주연(Juyeon Heo),홍지윤(Jiyun Hong),이경면(Kyongmyon Yi),박중규(Jungkyu Park),신창환(Changhwan Shi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치매 증상의 진행 지연 및 관리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와 관련된 인지신경학적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그림검사인 도형모사검사를 개발하여, 치매 선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형모사검사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기계학습을 통해 검사 채점의 자동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0명의 일반 및 손상집단 참가자들에 대하여 도형모사검사, MMSE-DS, 그리고 시계그리기 검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형모사검사의 점수는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두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세 검사의 치매 선별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른 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도형모사검사가 일반 및 손상 집단을 각각 90.8% 및 77.1%의 정확도로 예측하여, 집단에 대한 예측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과 진단을 통한 임상결과를 통해, MMSE-DS를 통해 선별하지 못했던 치매 사례들을 도형모사검사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형모사검사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수행한 결과, 73.70%의 정확률로 집단을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되어 온 치매 선별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여, 시행과 채점이 간편한 새로운 그림검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is critical to minimize future risk and cost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Figure-Copy Test(FCT), as a new dementia screening test, that can measure neurological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n to examine whether the grading precesses for screening can be autom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procedure by u sing FCT imag es. For this e nd, FCT, Korean v ersion of MMSE for Dementia S creening (MMSE-DS) a nd C lock D rawing Test were administrated to a total of 270 participants from normal and damaged elderly groups. Results demonstrated that FCT scores showed high internal constanc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other two test scores. Discriminant analyse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 lassification for the normal and damag ed g roups using FCT were 90.8% and 77.1%, respectively, and thes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two tests. Importantly, we identified that the participants whose MMSE-D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but showed lower scores in FCT were successfully screened out through clinical diagnosis. Finally, machine learning using the FCT image data showed an accuracy of 73.70%.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CT, a newly developed drawing test, can be easily implemented for efficient dementia screening.

      • KCI등재

        영역 특수성 기반 작업기억 훈련의 효과

        이경면(Kyongmyon Yi),홍지윤(Jiyun Hong),허주연(Juyeon Heo),재홍(Jaehong Heo),김초복(Chobok Kim),신창환(Changhwan Shin),이효녕(Hyonyong Lee),이우진(Woo Jin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30 No.1

        Working memory is a key mechanism of the learning capacit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domain-specificity-based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 could help improve children working memory in field situations instead of the laboratory. For this purpose, children using social service center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groups were administered using the domain-specificity-based working-memory training program and short-term memory training program, respectively, and the training effects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nipulation and updating scores were improved strong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groups showed similar selective attention and switching. This suggests that the domain-specificity-based working-memory training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iveness in field application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s as a form of social service can enhance the working memory abilities of vulnerable children and improve their learning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