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농산물 이용 간편식에 대한 연도별 시장 이슈 분석

        허은솔,유혜종,윤지현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21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최근 지역농산물 이용 간편식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채널 및 인터넷 뉴스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농산물 이용 간편식에 대한 연도별 시장 이슈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SNS 채널로는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다음 카페 등의 커뮤니티를 포함하였으며, [지역농산물 or 로컬푸드] and [간편식 or 가정간편식 or HMR or 밀키트]를 수집 키워드로 하였다. 간편식 시장이 급성장하여 그 규모가 처음으로 2조에 도달한 2016년 1월 1일부터 2021년 10월 28일까지 약 6년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1년 단위로 나누고, 자연어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언급량, 연관어,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데이터 수집·분석은 웹서비스 썸트렌드(some.co.kr)로 진행하였다. 언급량분석 결과, 지역농산물 간편식 관련 키워드가 언급된 게시글 및 뉴스 기사는 총 1,329개(인스타그램 465개(35.0%), 뉴스 416개(31.3%), 블로그 407개(30.6%) 등)가 있었다. 연도별로는 2016, 2017년 각 49, 75개, 2018, 2019년 각 115, 174개, 2020, 2021년 각 452, 464개로, 2020년 이래 언급량의 큰 증가를 볼 수 있었다. 연관어분석 결과, “농가, 소비자, 소비, 음식, 상품” 등은 꾸준히 다빈도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다른 다빈도 연관어들로는 2016∼2017년 “시장, 판매, 매장, 소득”, “생산”, “행사, 페스티벌” 등 전통적인 지역 행사 관련 단어들, 2018∼2019년 “산업”, “지원, 청년, 계획, 운영, 일자리”,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지원 사업들에 대한 단어들과 “건강, 친환경, 채소, 샐러드” 등 건강 관련 단어들이 있었다. 2020∼2021년에는 밀키트와 같은 요리해 먹는 간편식의 출시 확대와 관련한 단어인 “요리”가 최빈도 연관어로 부상하였으며, “농협, 이마트”, “조합, 협동조합”, “맛남의 광장” 등 주 판매 장소, 기관, 및 관련 TV 프로그램에 연관된 단어들이 다수 나타났다. 감성분석 결과, 모든 연도에서 긍정어 비율이 90%에 가까웠으며, “맛있다, 신선하다, 안전하다, 믿다” 등 긍정어와 소수의 부정어인 “위기, 타격 입다, 부족하다, 피해” 등이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6년 “건강하다, 웰빙”, “기대, 많은 관심”, 2017∼18년 “큰 인기, 열풍, 성장하다”, “색다른 경험”, 2019년 “신제품”, “안전, 신선하다, 좋다”, 2020∼21년 “즐기다, 맛있다, 믿다, 편리하다”, “고소한 맛, 구수한 맛”, “다양” 등의 다빈도 긍정어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농산물 이용 간편식이 코로나19가 시작된 이래 크게 이슈가 되고 있고, 6년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관련 이슈에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으며, 시장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식생활 관련 국내 특허 등록 현황

        최지유,윤지현,허은솔,최인주,Choi, Jiyu,Yoon, Jihyun,Her, Eun Sol,Choi, Inj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tents related to dietary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Using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patents registered between 2002 and 2013 were searched with the key words including 'elderly or the aged' and 'food, meal, or dietary life.' The search results showed 1,438 patents, and 500 patents meeting the research purpos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atents on foods' and 'patents on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ietary life.' The former was further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s follows: foods for health promotion, foods for disease prevention, foods for the people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 and masticating, and others. Also, the latter was divided into products or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patents on foods accounted for about 90%, of which the patents on foods for health promotion were ranked as the highest (40%). The number of patents on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ietary life was relatively small, indicating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foods. Therefore, the technology for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ietary life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as well as that for fo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