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면극의 축제극적 구조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2 韓國民俗學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nival structure of mask drama, and to confirm a this suggestion in Pongsan-mask-dance. The relationship of paragraphes of Pongsan-mask-dance has ritual frame in the beginning and end. And three paragraph group, Chungmadang(The scene of apostate Buddhist monk), Yangbanmadang(The scene of nobleman), Halmimadang(The scene of old woman) which represent indepent contents are arranged parallel. Structure of the three Madang which emerge from story system and character confrontation system have equally structure of carnival play. Chungmadang is carnival play of Nojang(The old Buddhist high monk)'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lewdness and expulsion of Nojang. Yangbanmadang is carnival play of Yangban'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amusement and loss of authority and power of Yangban. Halmimadang is also carnival play of Miyal'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wild nature and death of Miyal. Through these structure analysis, we know each madang hold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in common. Therefore, we assume Pongsan-mask-dance ha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By the way, in terms of the different powerfulness of uncrowning of each Madang, Pongsan-mask-dance looks aside at the realisties of life. But Pongsan-mask-dance assimilates the requirement of the outside world, and to lay the requirement under it's own principle. It is sufficiently proved, to the face that the structure of the crowning and uncrowning. Through it makes a methodological detour, Pongsan-mask-dance accomplishes the logic of carnival by any means. Pongsan-mask-dance which has much the relation of the realisties of life not only expresses the dream of utopia within the limit of a specific ritual, to dissolve it through the psycholic catharsis, but also continues the potential energy even the horizon of every day. Strictly speaking, Pongsan-mask-dance is not the carnival in the Bakhtin's sense of the word. Becaus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ctors and spectators. And a primitive footlight, namely, torchlight exists. Madang(ground) which is able to call stage is also prepared. Therefore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However Pongsan-mask-dance absorbs the substance of carnival. That is,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carnival. Moreover the feature of indirect is useful. Because it settles partly the problem of scar or ill effect which is cause by temporary deviation of the officialdom during carnival time. An adjective that is called 'temporary' which decorates the feature of carnival represents the distance of between the utopia and the social real. Severe real stands in the finish of carnival. But carnival inscribes bear a hope in mind. In the finish of carnival, participant of Pongsan-mask-dance may wait for another carnival, or wait for living of carnival which is not temporary anymo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시대 제의적 연행 인형 연구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3 韓國民俗學 Vol.37 No.1

        This research investigates ritual puppet performing object that appear in (boson dynasty. Discussed contents are following thing. 'How are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ppearing in ritual performance?', 'How is the appearance of puppet performing objects and how are they produced?', 'How i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performed in each ritual performance?', 'what is the meaning of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s a result of discussion, puppet performing objects are appearing in Giuje(rite to pray for rain), Jeungchigi(straw effigy for exorcism childishness), Royal Court Naenongjak(imitation cultivation of land in Royal Court), Yammae ritual(imprecation ritual) etc. And this puppet performing object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makers who are confined by taboo', 'Non-individual appearance of which the natural element(biological, and material traits) are marked', 'Revealing in performance process', 'Transformation (perpetual transformation) as supernatural existence'. Because the performance context of reason that such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s religious-magic ritual justly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because is taking that presuppose and emphasize belief than interest.

      • KCI등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출퇴근재해 사례를 통해 본 정책행위자로서의 헌법재판소

        허용창(Heo Yong-Chang)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결정을 통해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에서 출퇴근재해를 보상하게 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과정의 공식행위자로서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산재보험법의 출퇴근재해 관련 규정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산재보험법의 출퇴근재해 관련 소송에서 나타난 대법원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산재보험법의 출퇴근재해 인정 여부와 관련해 헌법재판소에 제기된 위헌법률심판 및 헌법소원심판에 대한 결정을 판결문에 나타난 재판관 의견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인해 변경된 산재보험의 출퇴근재해 관련 규정을 검토하였다. 정책분석의 측면에서 분석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입법부와 행정부의 적극적인 해결 노력이 결여된 상태에서 산재보험은 출퇴근재해의 위험에 노출된 비혜택근로자를 사실상 방치해왔는데, 이는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과 국가기관을 기속하는 효력으로 인해 해소되었다. 따라서 적어도 본 사례에서는 헌법재판소가 산재보험에서 출퇴근재해를 포괄적으로 보상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편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행위자로 볼 수 있다. 둘째,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임기만료 등으로 인한 재판부의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도 수년 만에 기존 결정을 변경한 점이다. 의견을 변경한 주된 이유는 불평등 및 양극화의 심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헌법재판소가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헌법심사에서 보다 강화된 심사기준을 적용하여 개선 입법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적어도 산재보험의 출퇴근재해 사례에서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미국의 연방대법원과는 달리 사회권과 관련된 사안에서 보다 적극적인 심사기준을 적용하여 복지정책의 대상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policy actor by examining the decision of non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in the case of commuting accidents covered by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hereafter IACI) in Korea. For the goal, this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of the IACI in terms of compensating commuting accidents and related key supreme court decisions. With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nalyzes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how related articles were reformed by the decision. Two key findings are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analysis. First, given the lack of parliamentary and cabinet members’ interests in the issue, the IACI has hardly protected most workers damaged by commuting accidents, which was fully covered by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fore, at least in the case of commuting accidents by the IACI, the constitutional court was identified as a critical policy actor to reform the IACI by fully compensating commuting accidents for workers. Second, the constitutional court modified the previous decision in three years without changing a single justice. This is mainly because, as Korean society faces increasing inequality and poverty, the constitutional court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social rights for workers in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to manage sharp conflicts. In conclusion, at least in the case of commuting accidents by the IACI,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social rights for workers, which was contrasted with the case of American supreme court. Consequ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coverage of welfare policy in the case.

      • KCI등재

        마을굿의 시기와 형식을 기반으로 한 문화지도 그리기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3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마을굿의 양상을 살피고, 마을굿이 벌어지는 시기와 형식을 기준으로 권역 구분과 문화 지형을 추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경기 지역의 마을굿 문화 지형은 동심원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중심원에 해당하는 서울 지역은 시월 마을굿 권역과 정월 마을굿 권역이 대치 양상을 보인다. 달리 보면 서울의 정월 마을굿 권역은 문화적 섬으로 자리한다. 시월 마을굿이 서울을 에워싸며 인근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용산 일대의 정월 마을굿 권역이 시월 마을굿 권역과 대치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립된 섬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서울은 무속적 마을굿의 섬이기도 하다. 한강변을 중심으로 무속적 마을굿이 주변과 어떤 관계도 없이 독자적 권역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사이에는 감히 뛰어넘지 못 할 문화적 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월 마을굿은 서울과 경기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적 장벽을 넘어선다. 서울 인근의 경기 지역에 시월 마을굿은 드넓게 그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 영향력의 파장은 경기 지역의 동서남북으로 퍼져간다. 하지만 그 영향력의 강도는 동심원의 지름이 커져갈수록 약해진다. 그래서 마침내 시월 마을굿 권역이라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역이 나타난다. 그 지역은 경기도의 동서남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 지역의 남쪽에서는 시월 마을굿에 맞서 정월 마을굿 권역이 만들어진다. 안성천이 그 권역을 만드는데 일정한 역할을 한다. 안성에서 평택에 이르는 안성천 중상류의 흐름이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 내는 문화적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한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남부의 안성천을 힘 있게 넘어서지 못했다. 적어도 시월 마을굿에 있어서 안성천은 쉽게 넘지 못할 문화적 장애물이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지역 동쪽에서도 복병을 만난다. 여주와 이천을 흐르는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청미천이 그것이다. 이 두 하천은 동진하는 시월 마을굿을 거뜬하게 막아내는 동시에 그 흐름에 따라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낸다. 안성천과 남한강 지류라는 뼈대에 그 유역의 평야라는 살을 기반으로 나름의 영역을 형성한 정월 마을굿은 그 배후 역시 튼튼하다. 인접한 충청도와 강원도의 정월 마을굿의 든든한 지원을 받는 것이다. 경기 북부의 경우 북한강과 임진강이 문화 지형 형성에 나름의 역할을 한다. 산간 지역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월 마을굿은 용케 경기 북부 지역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드러내 보인다. 하지만 파주에서 세력을 만들고 양주에서 경쟁하고, 남양주와 포천에서 대세를 장악하여 가평 설악읍에 그 둥지를 틀고 있는 일단의 구월 마을굿의 분투에는 어쩌지 못한다. 구월 마을굿의 이러한 분투에는 북한강이 자리하고 있다. 북한강의 흐름에 따른다면 가평 설악읍에 그 권역의 핵을 두고 계속 서진하면서 그 영향력을 뻗치고 있는 양상이라 할 수도 있다. 북한강을 문화적 통로로 삼은 구월 마을굿은 남진하면서 양평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정월 마을굿권이 남한강을 따라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해 본다면,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 인근에서 정월 마을굿의 서진과 구월 마을굿의 남진이 접점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임진강이 구월 마을굿의 또 다른 문화적 통로로 작용한다. 포천 지역 북쪽에 위치한 영북면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이 영북면, 창수면, 영중면, 신북면, 포천읍 등으로 이어지는 임진강 상류의 흐름에 따라 그 권역을 만들어 간다. 임진강을 따라 서진하면서 그 권역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은 파주시의 적성면, 탄현면, 파평면 등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보인다. 이상에서 정리된 경기 서울 지역의 마을굿 권역을 보면, 하천이 특정 마을굿을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천은 특정 마을굿이 나름의 권역을 형성하는데 뼈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다른 마을굿이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꼭 하천만이 마을굿의 권역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만드는데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주로 하천에만 주목했기 때문에 나타난 상황이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다른 자연 지리적 요소, 역사적 과정, 인문적 정서 등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와 병행해서 진행되고 있는 관련 분야의 전자지도가 완성될 때, 그 연관성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하천과의 관계 역시 보다 섬세하게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Seoul·Gyeonggi Maeul Gut, and then to divide a sphere and to ratiocinate the cultural topography with of the Maeul Gut's performance time and form for a ba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ultural topography of Seoul·Gyeonggi Maeul Gut is represented by means of a concentric circle. The Seoul area where correspond to centric circle stand face to face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and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In another way,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of the Seoul area is situated cultural island which is isolated. And the Seoul area is a island of shamanic Maeul Gut. A shamanic Maeul Gut build up a independent sphere on the Han river side. It seems that a cultural barrier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But an October Maeul Gut beyonds the cultural barrier which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An October Maeul Gut has influence widely on the Gyeonggi area of nearby the Seoul The influence spreads over the four quarters of the Gyeonggi area. But the strength of influence get weaker as the diameter of centric circle grow bigger. And then the area which can not speak of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come out. The area is situated at the four quarters' border of the Gyeonggi area. Against an October Maeul Gut,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is formed at the south of Gyeonggi area. Anseong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the sphere is formed. To say the least Anseong stream is a cultural barrier from an October Maeul Gut standpoint. An October Maeul Gut fall into an ambush at the eastward of Gyeonggi area. They are that Bokha stream and Chungmi stream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Namhan river. Two streams protect from an october Maeul Gut which advance to the east, on the other hand two streams form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run along flowing. The Bukhan river and the Imjin river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a formation of cultural topograph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 september Maeul Gut influence along the flowing of the Bukhan river. A september Maeul Gut which makes the Bukhan river a cultural passageway influences as progress to the south. the Imjin river is another cultural passagewa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s progress to the west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Imjin river, a sphere of a September Maeul Gut is formed in the neighboring area. As we have seen, river and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River and stream play a framework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Maeul Gut, on the other hand river and stream protect from other Maeul Gut's influence. But only river and stream don't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It is necessary to study of other factors in Physical geography, historical process, human mood and so on.

      • KCI등재

        엇갈린 행보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이 글은 미국의 연행 중심론과 한국의 현장론간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두 연구 방법론의 전개 양상, 내용, 지향점 등에 대해 각각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드러냈다. 두 방법론이 드러내는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행 중심론은 즉흥적인 변형, 연행마다 새롭게 창출되는 의미, 의미의 다중성과 충돌 등에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곧,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 탐색에 저항’, ‘과거 지향적 민속학에서 현재 지향적 민속학으로’, ‘정태적 구조 중심의 논의에서 연행과 사회 문화의 구성 과정 그 자체의 동태적 양상 중시로’라는 인식론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다. 연행 중심론은 어떤 규범적인 법칙을 추구하려 하지도 않았으며, 총체성 혹은 전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정태적 본질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 연행 중심론의 문제의식이었다. 동태적인 과정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은 구성주의적 사유를 선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학사적 차원에서 본다면 연행 중심론은 인식론적 전환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 전환을 방해하는 진정성 추구의 양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식론적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는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장론은 연행 현장, 미시적 접근, 공시적 관점, 가변성 등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의 편향을 넘어서려 했다. 연행 중심론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한 것들까지 염두에 두면서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 시도는 또 다른 편향을 낳았다. 새롭게 염두에 둔 전승현장, 거시적 접근, 통시적 관점, 지속성 등의 강조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선험적인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연행과 모든 전승을 제어하는 규칙과 규범을 추론하고, 나아가 그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현장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진정한 민속, 온전한 민속, 지속적 전통 등을 곳곳에서 강조하는 것 역시 어떤 선험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미리 상정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장론은 연행론이 떠났던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존의 고착되고 정체된 것,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에 도전하며 형성이 된 연행 중심론이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버린 것이다. 다분히 반구조주의적이며 구성적인 과정을 중요시 하는 출발의 입장에서 다시 구조주의적이며 본질주의적인 출발 이전의 인식으로 돌아가 버리고 있다. 구성주의적 선언과 도전에서 비롯된 현장론이 결국 도전하고 배격했던 그 인식으로 회귀해 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의 행보는 엇갈린다. 연행 중심론이 인식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혁명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면, 현장론은 시공간적으로 시야의 확장을 도모하다가 인식론적으로 회귀라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연행 중심론의 전환이라는 궤적에는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인식이 주도적인 반면, 현장론의 회귀라는 궤적에는 구조주의와 본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인식론적 지반 위에서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은 자리하고 있다. 한때 잠시 만나는 듯 했지만, 현장론은 다시 돌아가 버렸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I investigate unfold aspects, contents, aim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respectively, and bring out th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those. The result of discussion on the differences of two methodology is as follow.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pay attention to emergent variation, new meaning which is created every performance, multiplicity and conflict of meaning etc. That attention imply epistemological turn which are ‘resistant of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universal and eternal truth’, ‘from the past-intention folklore to the present-intention folklore’, ‘from a discussion of static structure to an attach impotance to dynamic aspects of constr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nd social culture’.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do not inquire into the normative rule. The thin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a far cry from any static ess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pay attention to a dynamic process is the preoccupation of constructivist thinking. Even though It seems that authenticity which interrupt the turn is seeked, We can say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folklore study.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overcome a tendency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is inclined toward performing field, microscopic approach, synchronic perspective, variability etc. Mindful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neglect things,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dialectical integration. However that attempt produce another inclination which is inclined toward traditional field, macroscopic approach, diachronic perspective, durability, etc. That result from a belief of a priori essence.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is reasoning of rule and norm which control every performance and tradition, and explanation of that fundamentals. The emphasis of authentic folk, continuous traditions also imply that a priori thing which is supposed to worthy is establish in advance. And then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which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departed.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challenge the static, the universal, the eternal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the viewpoint of departure which is anti-structuralism and consider a constructive process, return to the recognition of before departure which is structuralism and essentialism. In consequence, trac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are crossed. As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the field-contextual study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return’. Post-structua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ut on the other hand structuai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field-contextual study. On the different bas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each settle down. At one time two methodology meet a little whil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return to the old place.

      • KCI등재

        확장된 표현으로서의 ‘사진적 사실주의’ -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귀환 -

        허용무 ( Heo Yong Moo ) 한국사진학회 2021 AURA Vol.- No.47

        “Documentary style”is a new style and strategy which appeared widely in the process to realize the expression types of modern art based on post-modernism including conceptual art and post-structuralism in order to express the state of a period changed since 1990s. Direct influences were given to neutral photographs which developed through photographic realism and to the expression types of modern archive art which is a new artistic finding in modern art and important artistic practice since 2000’s. The thesis was focused in the trend of the art in such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