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senchymal Stem Cell-Mediated Therapy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Is Stimulated by a Lamin A-Progerin Binding Inhibitor

        허순철,권양우,박규태,권상모,배순식,박범준,김재호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0 지질·동맥경화학회지 Vol.9 No.3

        Objective: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SCs) have been reported to promote angiogenesis and tissue repair. However, poor survival and engraftment efficiency of transplanted ASCs are the major bottlenecks for therapeutic appli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ASC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s. Methods: Hydrogen peroxide (H2O2) was used to induce apoptotic cell death in ASCs. To measure apoptosis, we used flow cytometry-based apoptosis analysis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staining. A murine hindlimb ischemia model was established to measure the ASC-mediated therapeutic angiogenesis and in vivo survival ability of ASCs. Results: We identified that the inhibitor of lamin A-progerin binding, JH4, protects ASCs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Co-administration of ASCs with JH4 improved ASC-mediated blood reperfusion recovery and limb salvag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 mouse hind limb ischemia model. Immunofluorescence showed that JH4 treatment potentiated ASC-mediated vascular regeneration via reducing ASC apoptosis post transplantation. Conclusion: JH4 exerts anti-apoptotic effects in ASCs in conditions of oxidative stress, and contributes to the repair of ischemic hind limb injury by improving cell survival.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의 공적 관심사안의 비교

        허순철 한국공법학회 2017 공법연구 Vol.46 No.1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noted that “there should be distinction between matters of public concern and of private concern with regard to a judicial scrutin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lso decided in a defamation case that “the statement should be examined whether it objectively contributed to forming a public opinion or public debate as a subject of general interest and of social value to the citizens.” The reason why the highest Courts in Korea distinguish matters of public concern from of private concern and make distinctions between them is due to the fact that free debate on a matter of public concern is one of the indispensible conditions for democracy because it contributes to forming a public opinion. In America, a legal principle has been firmly rooted that a claimant in a defamation suit must prove that a defendant’s statement was made with actual malice, that is, with knowledge that it was false or with reckless disregard of whether it was false or not. Recently, in particular, the U.S. Supreme Court in Snyder v. Phelps held that “[s]peech deals with matters of public concern when it can ‘be fairly considered as relating to any matter of political, social, or other concern to the community’ or when it ‘is a subject of legitimate news interest; that is, a subject of general interest and of value and concern to the public.” Matters of public concern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generally include government policy, criticism on an official conduct of government operation by a public employee, a misconduct of public employee, etc. On the contrary,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privacy is not a matter of public concern yet when it is unilaterally argued by a party without proving its truthfulness despite it was about a public figure. Then, in the NSP X-File case,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onspiracies between public figures to give a huge amount of illegal political contributions to the presidential candidates and Dduc-Kap (illegal sweetener) to high-ranking prosecutors were not an unusual matter of public concern. In contrast, the U.S. Supreme Court in Bartnicki v. Vopper decided that the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regarding the negotiations over the proper level of compensation was a matter of public concern, and the conversation such as “blow[ing] off … front porches” was definitely a matter of unusual public concern. As such, a judgment of what is a matter of public concern is not always predictable as the U.S. Supreme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spectively reached the different conclusions. Therefore, Korean courts need to make more concretely and actively clear what are matters of public concern. 우리 헌법재판소는 “공적인 관심사안과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사안 간에는 심사기준에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우리 대법원 역시 명예훼손 소송에서 “그 표현이 객관적으로 국민이 알아야 할 공공성, 사회성을 갖춘 사안에 관한 것으로 여론형성이나 공개토론에 기여하는 것인지 아닌지 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이처럼 우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공적 관심사안과 사적 사안을 구별하여 헌법적 보호에 차이를 두는 이유는 공적 관심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이 여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불가결한 요건이 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연방대법원이 New York Times v. Sullivan 판결에서 “공적인 문제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헌법상 보장된다고 판시한 이래로 공적 관심사안에 관한 피고의 진술에 대해 명예훼손 등 법적인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현실적 악의, 즉 고의 또는 미필적으로 허위임을 알면서도 진술을 했다는 것을 원고가 입증해야 한다는 법리가 확립되어 있다. 특히 최근 연방대법원은 Snyder v. Phelps 사건에서 어떠한 “언사가 정치적, 사회적 또는 그 사회의 다른 관심사안에 관련된 것으로 정당하게(fairly) 간주될 수 있을 때 또는 정당한 뉴스 이익(news interest)의 대상, 즉 일반적 이익의 대상이자 일반인에게 가치가 있고 관심이 될 수 있는 주제인 경우”를 공적 관심사안이라고 하였다. 우리 대법원은 정부의 정책이나 공무원의 공적인 업무수행에 대한 비판, 공무원의 비위 등에 대한 비판은 공적인 관심사안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비록 공인에 관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아직 확인되지 아니한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한 사생활인 경우에는 공적 관심사안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런데 안기부 X파일 사건에서 우리 대법원은 대통령선거의 후보자들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하고, 고위 검사들에게 떡값을 주기로 모의하는 내용이 비상한 공적 관심사안이 아니라고 하였다. 반면에 미국연방대법원은 Bartnicki v. Vopper 사건에서 교사들의 단체협상에 관한 대화 내용은 공적 관심사안이며, “현관을 … 날려버린다”와 같은 대화 내용은 당연히 비상한 공적 관심사안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한국과 미국의 대법원들이 공적 관심사안에 관하여 상반된 결론에 도달하였듯이 무엇이 공적인 관심사안인가에 대한 판단은 항상 예측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 법원은 보다 더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무엇이 공적 관심사안인지 명확히 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국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와 표현의 자유

        허순철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4

        It is widely accepted that publication of false fact poses a serious threat to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Voters may alternatively choose another candidate instead of a candidate who is otherwise attractive to them if the false fact about the candidate would not be published. Therefore,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Canada, New Zea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ustralia as well as Korea passed a statute regulating the act of publishing false fact during an electio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Korea regulates the three different crimes including the so-called ‘the crime of publication of false fact with the intention of getting elected’ and ‘the crime of publication of false fact with the intention of stopping the candidate from being elected,’ etc. Meanwhile, Section 106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83」 in the United Kingdom provides, in pertinent parts, that “(a) before or during an election, (b) for the purpose of affecting the return of any candidate at the election, makes or publishes any false statement of fact in relation to the candidate’s personal character or conduct shall be guilty of an illegal practice, unless he can show that he had reasonable grounds for believing, and did believe, that statement to be true.” In Watkins v Wollas, the election court decided that Wollas was liable for publishing the false fact, noting that “[i]n our judgment, to say that a person has sought the electoral support of persons who advocate extreme violence, in particular to his political opponent, clearly attacks his personal character or conduct.” Compar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83」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Korea in regard of the crimes of publication of false fact makes us to find some suggestions. First, the Korean Act includes a person who intends to be a candidate in addition to a candidate in Article 250 of the Act. Compared to the British Act, the Korean Act also prohibits any person from publishing any false fact regarding the candidate’s “spouse, lineal ascendants or descendants, or siblings.” Furthermore, the Koran Act is much broader than the Great Britain Act, in that the Korean Act penalizes the act of publishing false fact about the candidate or his spouse, lineal ascendants or descendants, or siblings’ “place of birth, family relations, social status, occupation, career, etc., property, behavior or organization to which he/she belongs of a candidate,” and “about whether the candidate receives support from a specific person or specific organization” unlike the Great Britain Act. The Supreme Court of Korea, where places, in fact, the burden of proof on the criminal defendant, not on a public prosecutor, also causes a chilling effect on free speech. It seems desirable to consider adopting the so-called ‘reasonable grounds defense’ principle from Section 106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83」 in the United Kingdom, which allows the defendant to be immune from liability for publishing false fact if the defendant “can show that he had reasonable grounds for believing, and did believe, the statement to be true.” 선거에서 허위사실이 공표되면 대의민주주의에 큰 위협이 된다. 허위사실로 인해 유권자는 그러한 허위사실이 없었더라면 선택했을 후보자 대신에 다른 후보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 호주 등 세계 각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선거에서의 허위사실공표를 규제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우리 「공직선거법」은 제250조에서 ‘허위사실공표죄’라는 표제 아래 크게 세 가지의 범죄, 즉 당선목적 허위사실공표죄, 낙선목적 허위사실공표죄 및 당내경선관련 허위사실공표죄를 규정하고 있다. 한편 영국의 「국민대표법」 제106조는 “누구든지 자신의 진술이 사실이라고 믿을 만한, 그리고 실제로 사실이라고 믿은 경우로서,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는 한 (a) 선거 전 또는 선거 중에 (b) 그 선거에서 어떤 후보자의 선출(return)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그 후보자의 인격 또는 품행과 관련한 사실에 대하여 허위의 진술을 하거나 공표하면 불법선거의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영국의 선거법원은 Watkins v Woolas 사건에서 “극단적인 폭력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은 분명히 그 사람의 인격이나 품행에 대한 공격에 해당한다”고 판시하면서 울라스(Wollas)가 허위사실공표의 책임이 있다고 판결하였다.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하여 우리의 「공직선거법」과 영국의 「국민대표법」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먼저, 우리법은 대상자에 후보자 이외에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도 포함시키고 있고, 후보자에 관한 사실 이외에 후보자의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에 관한 사실’도 허위사실공표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우리법은 “출생지․가족관계․신분․직업․경력등․재산․행위․소속단체, 특정인 또는 특정단체로부터의 지지여부 등”에 관한 사항을 규율대상으로 함으로써 영국법에 비해 그 범위가 매우 넓다. 한편 우리 대법원은 낙선목적 허위사실공표의 경우 입증책임을 사실상 피고인에게 전환하고 있어서 언론의 자유를 매우 위축시키고 있다. 반면에 영국의 「국민대표법」은 공표한 사실이 비록 허위일지라도 “자신의 진술이 사실이라고 믿을 만한, 그리고 실제로 사실이라고 믿은 경우로서,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면 면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