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모형 연구

        허남영(Heo, Nam-Young),김명순(Kim, Myoung-S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9 No.-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다중 텍스트 읽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외국인 학부생들의 대학 수학 능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일 때가 많고, 그들 대부분이 학술적 텍스트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인 학부생들의 능숙한 과제 수행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여 내용을 확장, 재생산하는 과정이 학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텍스트 읽기를 글쓰기 수업의 필수 요소로 전제하였으며, 텍스트 읽기 과정을 개인적 차원과 상호활동으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텍스트 생산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였다. 글쓰기 모형에서 읽기를 통한 ‘이해’, ‘확장’의 과정을 글쓰기 ‘생성’을 위한 선행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다중 텍스트 읽기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모형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주체적이고 상호 소통적인 텍스트를 작성해 내는 데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planned based on using the Multi-Text Reading in writing of foreign students. According to this model, foreign students not only read and understand texts which include a wide variety of topics, types and genres, but also expand and reproduce contents of the texts. In this context, teachers consider reading, especially multi-text reading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successful academic writing. Text reading process in the class is divided to individual and interactive activity. Students produce their own texts in this process. Producing texts is an individual task, but it is important to interact with colleague students for deepening and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texts. Understanding of the texts trough this reading process is the premise for ‘production’. The model for the academic writing in this study looks forward for students to produce their own texts both independently and interactively.

      • KCI등재

        어학 : 에스토니아어에 끼친 독일어의 영향 -에스토니아어의 발음, 표기, 어휘를 중심으로

        허남영 ( Nam Young Heo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0 독일어문학 Vol.51 No.-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en Einfluss des Deutschen auf das Estnische. Um Estnisch zu verstehen, darf er nicht ignoriert werden. Der Vergleich zwischen Estnisch und Deutsch ist im Rahmen des richtigen Verstandnisses der estnischen Geschichte und Kultur sinnvoll. Außerdern spielt er eine wichtige Rolle fur das sprachliche Verstandnis, Das Deutsche ubte auf das Estnische schwerwiegende Einflusse aus, vor allem auf die Schopfung der estnischen Buchstaben. An der estnischen Aussprache, der Prosodie und der Lautschrift sowie am Wortschatz kann man den Einfluss der Entlehnung aus dem Deutschen erkennen. Aus diesern Grund konnte Estnisch als Minderheitensprache von Deutsch verstanden werden. Um die in Korea ganz unbekannte Sprache Estnisch zu verbreiten, ist fur das Verstandnis ein Vergleich zwischen Deutsch und Estnisch hilfreich. Estnisch kommt im Vergleich mit Deutsch aus einer anderen Sprachfamilie, aber es wurde vom Deutschen stark beeinflusst. In dieser Arbeit wurde eine Moglichkeit gefunden, Estnisch in Korea als Minderheitensprache durch Vergleiche mit Deutseb besser lehren zu konnen. Durch diese Arbeit hoffe ich, dass in Korea das Interesse wachst nicht nur Estnisch, sondern auch Lettisch und Litauisch zu lernen.

      • KCI등재
      • KCI등재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모델로서의 ‘한국어 마을’ 사례 연구

        허남영(Heo, Nam-Young),원윤희(Won, Yu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7 No.-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과제 수행 중심의 학습활동으로 ‘한국어 마을’을 제안하고자 했다. 말하기의 가장 큰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일이며, 상대방이 무엇을, 언제, 어떻게 말하고 누구와 대화를 나누는지가 언어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초급 과정의 말하기는 패턴 중심의 모방, 연습이 주를 이루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말하기는 실제 중심의 활동으로 수업에서의 말하기와 차별화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가정한 모델을 통해 직접 한국어 활용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가졌다. 실제로 학습자는 짧은 기간 동안 배운 내용을 가지고 듣고 말할 수 있는 데 크게 만족했다. 그리고 이후 한국어 발화에 적극적이고 학습에 긍정적 동기를 부여 받았다. 물론 요즘 각 대학들이 글로벌 존을 구축하여 유학생들이 한국인들과 한국어로 말하게 하고 의사소통하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있지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의사소통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마을’은 새로운 과제 수행 모델의 하나로 유용하다고 본다. This study suggests ‘Korean Village’ as a task-Based Speaking Model that is proper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feature of interaction of communication is the most difficult part of speaking. It is because that linguistic performance is affected by what to speak, when to speak, how to speak, and with whom to speak. The existing speaking activities in beginning level are mostly copying certain patterns and exercising them. Korean Village is one of a new try to design a real activity centered class. This study modeled communicative situation in Korea and let learners perform the task through role play. Learners showed interest by having chance of speaking in Korean and by exercising what they have learnt in the class.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listening and speaking in Korean they have learnt for a short time. These students tend to try speaking in Korean actively. This way can be effective as one of new task performances. These days many universities set global zone that foreign students can speak in Korean, and Korean students can speak in foreign language. However, it is just for language exchange and there is limitation to understand and use the learning contents. If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meaningful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any more. Intermediate learners can speak fluently up to the situation, but beginning learners cannot. Thus, we need to develop an activity that fits to beginning learners. Korean Village that this study suggests is efficient as a new model for task performance.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 비교 연구 - <아무르>(2012)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중심으로

        허남영 ( Heo Nam-young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0

        ‘노년’은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에서 ‘늙음, 죽음 인식’, ‘사랑과 성’, ‘세대 간의 갈등’, ‘노년의 새로운 도전’, ‘난민의 위기’라는 문제 속에서 새롭게 재현되고 있다. 이렇듯 노년에 대한 다양한 소재적 지향은 고령화로 인한 노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전지구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다양한 문제로 촉구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또한, 노년영화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여 ‘노년’이라는 소재가 전지구적인 문화적 콘텐츠로 호명되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문학, 연극, 영화의 수용양상은 한 개인의 가치관 차이나 사회 혹은 집단이 형성하는 윤리 및 이념적 차이에서 차별화된다. 그리고 노년을 조망하는 시선은 수용자 및 수용 방식의 차이에서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차별화되고 다양한 문화 산물이 새롭게 해석된다. 예컨대 한국과 독일 사회는 노인에 대해 다른 이미지를 견지한다. 독일영화 <아무르>와 한국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노년의 사랑 속에서 죽음이라는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하지만, 그 시선은 차별적이다. 즉 독일이 죽음을 앞둔 노인들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통해서 노인의 삶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제시한다면, 한국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노인상을 통해 노인의 삶에 대해 공감을 이끄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에 재현된 ‘늙음과 죽음’이라는 문제에 대응하여 각국이 주지하는 노년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Die Filme zum Alter und zum Altern in Korea und Deutschland stellen das Thema in Hinblick auf verschiedene Aspekte dar: Sterben und Tod, Liebe und Alter(n), Generationenbeziehungen, Aufbruch und Neubeginn, Fluchtlingskrise etc. Dies zeigt, dass Verstandnis und Interesse am Alter(n) weltweit zunehmen und dass man das Problem mit dem Alter(n) heutzutage nicht mehr unberucksichtigt lassen kann. Anschließend musste der Altersfilm definiert und bestatigt werden, das Thema ‘Alter’ wurde zu einem globalen kulturellen Inhalt. Insbesondere hangen die Akzeptanzmuster der Literatur, des Dramas und des Films von individuellen Werten, Ethik und ideologischen Unterschieden, die in der Gesellschaft oder in Gruppen gebildet werden. Das Bild vom alten Menschen und die Einstellung zum ist von Kultur zu Kultur verschieden. Die verschiedenen kulturellen Produkte werden hinsichtlich des Unterschieds zwischen dem Publikum und der Akzeptanzmethode neu interpretiert. Man kann schon die unterschiedlichen Ansichten uber die alten Menschen in der koreanischen und deutschen Gesellschaft beobachten. Im koreanischen Film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2014) und in der deutschen Ko-Produktion “Amour”(2012) geht es ernsthaft um die Frage nach dem Tod in der Liebe des Alters. Aber die zwei Blicke unterscheiden sich voneinander. Der koreanische Film fuhrt einen Konsens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urch aktive und subjektive Szenen. Auf der anderen Seite neigt die deutsche Ko-Produktion dazu, philosophische Gedanken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urch eine ernsthafte Reflexion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ie kurz vor dem Tod stehen, zu prasentieren. In dieser Hinsicht wird das Thema ‘Altern und Tod’ untersucht und werden die Aspekte des Todes im koreanischen und deutschen Altersfilm verglichen.

      • KCI등재

        유학생의 언어학습에서 ``능동적 글쓰기`` 의 학습모형

        이상금 ( Sang Gum Li ),허남영 ( Nam Young He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3

        외국어로서 한국이 교육은 대부분 ``읽기, 듣기, 어휘, 문법, 말하기``등 실용적인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반면 ``글쓰기`` 영역은 앞선 영역을 달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 또한 유창한 언어수준에 해당되는 문자로서 표현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들이 학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습득한 언어를 능동적으로 재생산하여 표현하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글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없이는 효율적인 학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두 가지 현실적인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과 방법의 개선을 통해 실용적인 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무엇을 어떻게 썼는가?`` 에 대한 평가 이전에 ``스스로 어떻게 능동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을 것인가?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적합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즉 한국대학의 유학생들의 ``공통한국어`` 어l서 뿐만 아니라 ``학문목적을 위한 한국어`` 의 기초로써 글쓰기 능력의 향상과 단계적으로 능동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는 학습모형이다. 모국어 학습과 마찬가지로 외국어 학습에서도 ``글쓰기`` 에 대한 다양한 내용의 교수 및 학습 방법, 평가를 위한 기준제시 가운데 하나의 방안이다. Writing skill has been considered a naturally acquired skill through the previous skills. Also, it was dominantly recognized that speaking language is expressed through the let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successful studies without the exact learning since it is essential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reproduce and express the previously acquired language actively. It is the goal of this research to arrange the practical solutions to solve the actual problems of the reformation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 It is suggesting the phased learning of ``writing skill`` for active writing for learners. In other words, curriculum of "how to write actively by oneself" is necessary for learners rather than having an evaluation of "what to write" Therefore, studying models of phased activies writing skills has to be arranged not only for "everyday spoken Korean language" but also for "academic purposes" to improve the writing skil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cide the content, form, and method of writing through the phased language studying. This manuscript proposes class model for basic level. It proposes the concrete model about the effective active writing which is 3 times (6 hours) class model by explaining the contents and method. The order is consisted commonly in the class model: indicate assignment - discussion, Q&A, summary - evaluation of accuracy - continuous writing - evaluation of creativity. Among this process, in discussion, Q&A, summary section, learners choose own subject and revised themselves and in ``rewrite`` section, they have to complete the new content and form by the foundation of ``summary`` section. Meanwhile, if professors, students, and the institution recognize what language skills they need and know what kind of skill has to be evaluated to fulfill the language ability for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studying, they will be able to find th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tle the new curriculum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To settle this, systematic curriculum is required from basic courses to high intermediate courses.

      • KCI등재

        언어학습에서 창의적 글쓰기와 영화매체의 효용성

        이상금 ( Sang Gum Li ),허남영 ( Nam Young He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3

        영화를 매체로 활용한 수업의 효용성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극적 참여를 어떻게 수업에서 활용하느냐의 문제가 본 연구의 목적이다. 매체활용은 언어학습의 한 방법으로 ``듣기, 말하기, 글쓰기``의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듣기, 말하기, 글쓰기`` 영역에서 갖가지 매체를 교육의 대상으로 수용하는 것은 언어교육의 대상영역이 광고, 영화, 비디오, 인터넷, 컴퓨터 통신, 방송, 신문, 잡지 등 멀티매체로 다양해졌음을 뜻한다. 이 가운데 영화는 언어학습의 매체로서 창의적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영화는 다른 문자텍스트와 달리 영상언어이므로 문자언어보다 이해가 용이하며, 통합적 언어능력을 가르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성과가 높다. 그리고 가상현실로서 일반적인 의사소통상황은 물론 주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수업을 이끌 수 있다. The efficiency of the class through films is that it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that helps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es. In conventional classes, a text is taught in the order of ``listening-reading-speaking-explanation`` so that it has its limitation in promoting students` motivation. However, multi-media itself can arouse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urthermore, students can understand what they are learning through video even without any teacher`s explanation, and they can actively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Language education through media is effective for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it makes ``listening, speaking, writing`` education available. The 6th curriculum was focused on phonetics of the language and its features as the target of the Korean education, and the 7th curriculum was focused on the medium language in ``listening, speaking, writing``. Therefore, we should notice that the target of the Korean education has broaden to multimedia such as advertisements, films, videos, internet, communication media, broadcasting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film is one of the useful media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y will help teach creative writings. Especially, the film has images that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its contents better than in written language. Moreover, the film is worth applying to the class because it can help students acquire an integrated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 KCI등재

        외국어 학습에서 영화매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학습모형 -한국영화『중독』을 중심으로-

        이상금 ( Sang Gum Li ),허남영 ( Nam Young He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본고에서는 영화 『중독』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모형을 구성하였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 ``창의적 글쓰기`` 가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교육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즉 매체로서 영화의 유용성을 통해 창의적인 발하기를 가능하게 하였고 언어학습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적인 글쓰기를 제안했다· 가상미지만 현실을 반영한 영화를 통해 학습자는 일반적인 의사소통 은 물론 특정 주제에 관해 말하고 쓸 수 있었다. 무엇보다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수업이 가능했으며, 일방적으로 정보가 전달되고 이해되는 것에서 쌍방향으로의 소통이 가능했다. 또한 영화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말하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수업은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이자 외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통합적인 언어교육 올 이루는데 유용했다. 세계화와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학생들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도 다양한 요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요구를 수용할 다양한 교수법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비록 매체를 활용한 교수법이 제시되었다고 해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했다. 이에 영화를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는 새로운 외국어 학습방법의 하나로 제안된다. 물론 영화 설정에 있어 그 수준과 내용, 그리고 흥미와 교양 중 어디에 중점을 둘 것인가의 문제는 계속 논란거리로 남겠지만, 계속된 시도를 통해 수정, 보완된다면 충분히 다양한 교수법의 하나로 그 가치를 가질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learning model of creative writing using 『Addiction』 in Korean education, and examines if ``Creative Writing`` that leads learner`s participating is an efficient way of learning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Film helps learner`s creative speaking available and eventually it makes creative writing available. Film is imaginary but it reflects reality; therefore, learners can learn how to communicate in Korean, and they can speak and write in Korean on the specific topic. It needs both teachers and learners` effort of course,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it helps learners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 interest, and lead the class. Also it is a strong point that the class using films leads interactive communication so it can lead learners` participation. Therefore, a class connecting film and creative speaking writing can be an effective way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it is also effective for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With globalization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there are various learners` demand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not proper teaching method to meet these demands, Even though there are some teaching methods, they are not concrete and systematic. Creative writing using films can be a good example for a new wa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Of course we should consider the standard of film to use in the class; the level of the content, where to focus-interest, or education. If we keep tying to develop, modify, and supplement this teaching method, it will have its worth enough.

      • KCI등재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 비교분석

        성지혜 ( Sung Ji-hye ),허남영 ( Heo Nam-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논문에서는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수능독일어 문항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SAT는 미국의 대학입학 자격시험으로서 수능의 틀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적인 사고력 측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평가 목표가 수능과 닮아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수능독일어를 비롯한 국내 독일어 능력평가 문항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참고할 만하다고 판단하였다. 수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게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문항의 출제를 지향한다. 하지만 매년 정해진 교과에 신뢰도와 타당도는 물론이거니와 변별성까지 갖는 문항을 출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학생들의 실수를 유발하거나 평가 목표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는 요소에 초점이 맞춰진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방증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이 현재 독일어와 함께 선택교과로 분류된 제2외국어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논의의 필요성을 더한다. 교수·학습은 교육과정에 따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학생들이 수능의 출제 경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면 수업도 수능 문항의 유형을 배제한 채 진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수능독일어 제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두 시험의 문항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두 시험 모두 수험생들의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한다는 취지에서 그 방향이 같았지만 형식 및 내용적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SAT에서 듣기 문항 출제를 통한 통합적 언어능력 평가, 단순하고 반복적인 문형을 활용한 문항 제작, 다양한 매체의 활용 등은 현 수능독일어 문항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데 참고가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ed to seek ways to improve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ing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nam test on the SAT. The SAT has a strong influence on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Suneung and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it in the way of aiming at measuring the general ability to think. Therefore, specific items on the SAT deserves to be identifie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Suneung and come up with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Suneung aims to make items which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content and level based 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ist not easy to make items every year in the fixed subject, having not only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discrimination. The fact that some items focused on causing students to make mistakes or docking points which are far away from evaluation objectives shows this situation.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now, because this situation can influence the reaction of students towards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including German. The teaching and learning aim is to improve basic communicative ability for daily liv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but lesson plans cannot help considering the type of items on the Suneung because students are sensitive to tendency of items in the Suneu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man test on the SAT and provides possibilities for improvement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When analysing items by type, both are the same in evaluat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students, but have several differences in form and content. Expecially, evaluation of integrated language ability through listening and item construction using simple and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on the SAT deserves more attention to discuss problems development with items on the Sune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