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水滸傳》人物與主題的關係

        許庚寅 단국대학교 1996 論文集 Vol.30 No.-

        主題學的인 관점에서 본다면, 인물들의 獨立的인 면들은 바로 하나의 주제 혹은 모티프(motif)를 대표할 수 있다. 즉, 인물의 "典型性", "普遍性"과 "共通性" 등 소설비평가들이 애용하는 용어들이 어떤 의미에서는 주제의 분류에 속한다. 본 논문은 《水滸傳》의 등장인물 108인 중 주요 인물이라 할 수있는 宋江·武松·林沖·李逵·魯智深은 예로 들어, 《水滸傳》인물의 形象과 主題의 문학적 관계와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宋江은 性格, 思想과 行動면에서 指導者型 人物의 典型이므로, 《水滸傳》에서 中樞적 주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의 별명을 "及時雨"라고 부른 것과 그의 의로운 행위를 일컬어 "仗義?財"라고 한 것은 모두 다른 사람들에게 적시에 구원의 손길을 뻗칠 수 있는, 그의 지도자로서의 主題性을 강조한 것이다. 武松은 梁山의 여러 英雄들의 性格上의 특징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나, 모두 肯定的인 면이기 때문에 완전한 主題를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主題學에 의하면 한 인물은 반드시 否定的인 環境이라든지 다른 인물들과의 葛藤이나 矛盾을 빌어 자신의 運命을 바꿔나가면서 이야기를 展開해야만이 비로소 특수한 의미를 지니는 主題를 突出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제를 이끌어 내기 위해, 武松의 성격과 外部世界와의 충돌은 義理가 法理를 능가하고 感情이 理性을 超越하며 物理적인 힘이 精神力을 통제하는, 原始的이고 野蠻的인 復讐行爲로 나타난다. 主題硏究 측면에서 논한다면, 인물의 성격과 주변환경이 만들어 낸 英雄式의 悲劇및 이러한 悲劇이 독자들에게 가져다 주는 커다란 충격과 同情心이 바로 진정한 문학적 의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자신의 아내가 자신의 上司에게 ??당하고, 자신의 끊임없는 모함과 생명의 위협을 받게되자, 必死의 復讐를 감해하는 林沖은 《水滸傳》인물 중 悲劇的적 英雄의 色彩가 가장 농추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水滸傳》의 喜劇적 주제의 效果를 내기 위해 設定한 인물이 바로 李逵이다. 그는 피비린내 나는 復讐와 원한에 찬 분위기 속에서도, 독자로 하여금 정서적으로 잠시나마 여유를 갖게 해주는 광대 같은 喜劇적 形象으로 묘사되어 있다. 魯智深의 성격은 武松과 李逵의 여러 특징들을 兼備하였고, 人品에 있어서는 그들보다 한 수 위였다. 그는 武松의 용맹함과 무예를 지니고 있으나, 義理에 있어서는 보답을 바라지 않는 인물이다. 또 自由奔放하며, 浪漫的인 英雄의 典型을 보여 줌으로써 "사사로움도 없고 사악함도 없는 英雄"이라는 주제를 만들어 냈다. 다만 梁山에 올라간 이후 이러한 영웅적 風貌가 완전히 사라져서 더욱 깊이 있고 폭넓은 의미의 주제를 보여주지 못한 점이 아쉽다. 主題學이 연구하는 대상은 작품이 지닌 대표적인 "내포적 의미"이며, 주제학의 주 임무는 바로 여러 각도에서 작품의 의미를 표출하는 데에 있다. 長篇小說形式인 中國古典章回小說은 그 다양한 形成過程과 풍부한 量을 감안할 때 주제학 연구의 무한한 미래를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金聖嘆在水滸傳評點中對人物寫實描寫的認識

        許庚寅 한국중국소설학회 2008 中國小說論叢 Vol.27 No.-

        In order to reconfirm the role of Jin Shengtan as the founder in the field of Chinese novel criticism, this article basically focused on his acknowledge surrounding realism through the process of his criticizing the characters in Shui Hu Zhuan (the Tales of the Marshes). We set up 4 subtitles so-called 'the temperament of characters', ‘the appearance of characters','the mind of characters'and'the comparison between characters'to reinforce the proof of Jin Shengtan's acknowledge of the realism in his criticism theory. It is generally known, Jin Shengtan has left behind three clear footpri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which won him the reputation as "the pathfinder of the Chinese novel criticism". First, under the feudalism social environment of 17 century(1600s), he broke the conservative literary atmosphere first and proposed extremely to enhance both the status and function of novel. Second, he personally took a hand in the work of punctuation criticism of novel and transcribed literary works realistically. Third, he got rid of the bad study manner which widely running in the intellectual society known as "only to know its however, did not know its reason why"(只知其然,不知其所以然). On contrary, he practically analyz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word by word, sentence by sentence and attempted to find out one of the most deficient qualities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realism, and established a model of rational criticism especially through the criticism of characters. He had fully displayed the function of this new founded theory through his rearrangement of 'Shui Hu Zhuan'. Finally let the later generations understand, comparing with any ancient novel, that the true value of 'Shui Hu Zhuan' was its sense of reality in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 KCI등재
      • KCI등재

        明 · 淸小說批評理論硏究 : 以對史實和虛構的認識爲中心

        許庚寅 한국중국소설학회 1998 中國小說論叢 Vol.8 No.-

        序, 跋, 評點과 같은 초보적인 중국 小說批評 形式은 소설의 체계가 어느 정도 구비한 후에 비로소 점차적으로 모습을 드러나는 것이었다. 그래서 明末과 淸初는 소설로 말하자면 성숙기에 이르렀지만, 批評의 理論면에서 볼 때는 초창기에 불과하다고 단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章回小說은 사회의 소비성향과 대중들의 口味에 맞는 通俗性도 지녀야 되기 때문에 이에 맞추는 소설 비평은 체계과 논리면에서 객관적인 여건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이 시기의 소설비평 이론은 엄격히 말하자면 이론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소설에 대한 認識과 經驗談으로 생각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 明末 淸初 소설의 성숙기에 나온 작품들이 바로 章回小說이다. 이 시기의 章回小說의 주류는 歷史小說(演義小說)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史實性과 虛構性에 대한 논란이 주로 章回小說 비평과정에서 나타났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시기의 "史實"에 대한 인식은 "歷史的 事實"과 "現實的 事實"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소설의 내용은 "歷史"와 "事實"에 충실해야 하고, 더 나가서 사회에 어떤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虛構"에 대한 인식은 주로 序, 跋, 評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虛", "假", "奇", "幻" 등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 즉 이야기의 줄거리와 인물들은 虛構를 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寫實性이 짙은 虛構는 이해할 수 있어도 神靈, 志怪와 같은 荒唐無稽한 허구는 현실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본 고의 연구 중점은 바로 이러한 史實과 虛構에 관한 논란을 통해서 明末 淸初 문인들의 소설이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중국 소설과 관련된 이론 체계와 발전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