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언어로서 러시아어 차용어의 수사적 사용 의미와 통번역 교육

        한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6 통번역학연구 Vol.20 No.1

        Russian loanwords not only make Russian words more abundantbut also have various stylistic and pragmatic functions. In particular, loanwords as political language perform various rhetorical functions as a way of persuasion.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rhetorical using and meanings of loanwords used by the President of Russia Vladimir Putin by utilizing rhetorical categories of Zimmermann, and to seek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raining. The paper shows that loanwords used by the President Putin have different rhetorical strategies depending on text function and the type of audiences. Various loanwords with different rhetorical meaning and functions were used including loanwords associated with historical background, with dual meaning, with value evaluation and emphasizing functions, and loanwords that were developed to describe new concepts. Therefore, loanwords should not be just regarded as a foreign word, and should be taught systematically as a newly-coined word and technical term. Furthermore, analyzing loanwords can enhance comprehension of the speaker's style and further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 text, and it can be utilized as an analysis tool for communication in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 KCI등재

        한국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서에 대한 독자 인식 연구: 러시아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을 기반으로

        한현희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2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tent properties of the online book reviews on the Russian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by Russian readers, and to confirm how Korean literature has been accepted and the readers’ perception in the cultural area of Russia. Based on this, I’ll try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issemin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Russian publishing market of literature. Analysis results 1) As for descriptive elements, preferences and no preferences of the themes have been shown. 2) As for explanatory eleme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author’s history of contemporary literary writers, target reader, reading method and guide. 3) As for critical eleme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translation quality, publishing professionality, motive for Korean literature selection and value of Korean literature. 4) As for comparative eleme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comparison of writers and literatures, and awareness of Korean literature in oriental literature. The following are presented for the direction to popularize the Russian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embracing strategies which are centered on the publishing industry in the target language country, and to this end it is urgent to make a collaborative system among big professional publishers and copyright agents. 2) It is needed to promot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ranslation and to train translators as role models. 3) It is necessary to try to promote cultural likability by using paratexts such as contributions and reviews by literary critics, introduction and foreword of writers and translators, front cover and title. 본 연구는 한국문학 번역서에 대한 러시아어권 독자들의 온라인 독자 서평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내용적 특성을 파악하여, 러시아 문화권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독자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러시아 문학출판 시장에서 한국문학의 보급과 대중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기술적 요소로는 주제 및 소재에 대한 선호와 비선호에 관한 의견, 해설적 요소로는 현대문학 작가들에 대한 저자 히스토리, 대상 독자와 독서 방법 및 활용 안내로 분류되었다. 비판적 요소로는 번역의 품질, 출판 전문성, 한국문학 선택 동기와 한국문학의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비교적 요소와 관련해서는 작가/작품 비교와 동양문학 속 한국문학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문학 러시아어 번역서의 대중화를 위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도착어권 출판계 중심의 수용 전략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대형전문출판사와 저작권에이전트의 협업 구조 형성이 절실하다. 2) 번역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롤모델 번역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3) 문학 전문 비평가들의 기고문 및 서평, 작가와 번역가 소개 및 서문, 표지, 제목 등과 같은 곁텍스트를 활용한 문화적 호감도 증진 노력이 필요하다.

      • 러시아에서 문학 한류 가능성 모색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 한국문학의 러시아어 번역 출판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기반하여

        한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학술대회 Vol.2018 No.10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ed into Russian since the 2000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isse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Russia. As a result of analysis, since the 2000s 121 Russian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1) By genre it followed by novels, poetry, others, essays, journals, drama. However, in the past, 'classical others' occupied the largest part, but 'modern novels' occupied a large portion after the 2000s. 2) By writer, it turns out that the translation of a new author's work is not done in 'classic novel'. In the 'modern poetry' and 'modern novel', the works of Korean writers, not North Korean writers, are being published. The introduction of female writers and award-winning works are actively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translation genre of Korean literature expanded to essays, plays, and children's literature. 3) By composition of the translator, 103 translators are counted.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Russians is still larg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activities of koreans and russian Koreans are increasing. However, the number of translators who received professional translation training was small. Participation of Korean translators in classical literature translation was poor. 4) By publisher, a specific publisher was responsible for 30% of Korean literary translations. Most of the rest of the publishers only published one or two works. However, each publisher confirmed that there is a particular age - genre specialization or preference.

      • KCI등재

        북한의 고등학교 러시아어 교육: 고등중학교 4, 5, 6학년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현희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1

        본 연구는 북한의 고등학교 러시아어 교육 실상에 대한 이해 제고를 목표로 교과서를 분석 자료로 삼아 1) 교육 목적과 목표, 2) 교과서의 구성 체계, 3) 교과서의 소재 및 주제, 4) 교과서의 의사소통 기능 및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머리말과 서두 분석을 통해 확인한 북한 고등학교의 러시아어 교육 목적은 쓸모있는 외국어 지식의 소유이자 정신사상교육이며, 실질적인 목표는 문법과 규칙, 작문과 번역, 독해 능력 함양 등으로 문법번역식 교수법을 지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교과서의 외형적 측면을 살펴보면 표지, 머리말, 서두, 목차, 단원별 학습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진 자료의 부재, 단원 배치 방식, 여백 부족 등을 통해 교육 자료의 열악한 사정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단원, 과업 활동 분석을 통해 확인한 교과서의 형식적 특징은 문장 단위의 교수, 지문 위주, 문법 규칙 암기, 청해력과 대화능력 요구 과업 활동 부족으로 드러났으며, 이를 통해 문법 번역식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총 86개의 지문을 분석한 결과 개인생활 소재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저학년에서는 개인과 학교생활과 같은 일상적인 소재가 배치되다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소재의 범위가 점차 확대됨을 확인하였다. 주제 면에서는 과학기술과 공산주의도덕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정치사상교육과 우상화 교육 또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4학년에서는 개인 일상과 학교생활을 소재로 공산주의도덕과 우상화 교육이 강조되었다. 5학년에서는 과학과 자연 소재를 통해 과학기술 주제가 크게 강조될 뿐만 아니라 개인생활 소재를 통해 정치사상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학년에서는 특정 이야기 소재를 통해 과학기술과 공산주의도덕 주제를 강조하였으며, 인물 소재를 통해 노골적으로 우상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교과서에 실린 50개의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의사소통 기능 가운데 사실적 정보 교환기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세부항목은 다양하지 않아 세밀한 의사소통이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제한적인 세부항목 가운데에서도 사실적 정보 묻고 답하기, 사실 확인하기 및 칭찬, 축하, 감탄하기와 같은 특정 기능의 강화에 치우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기능의 출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약 50%의 의사소통 기능만이 안정적으로 재출현하여 연속성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년 상승에 따라 의사소통 기능이 나선형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노 기계번역의 문장 부호 처리 양상 및 오류 개선을 위한 실용적 함의 : 프리에디팅 규칙 수립과 효용성의 관점에서

        한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8 통번역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unctuation translation strategy of the Korean-Russian machine translation and categorize the types of its errors. This study is also aims to seek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oduct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by establishment of pre-editing rules and its application. For this goals, corpus of articles in KBS World Radio were establish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punctuation translation strategy of machine and of human were almost same. However, the punctuation error rate by machine translation was 24.19% while the error rate by human translation was only 2.4%. To determine the cause of this, only the errors about punctuation by machine translation were classified, and the translation strategy was addition > shift > literal translation > omission. The type of punctuation marks causing errors in the source texts by machine translation was revealed. Then, the errors by machine were categorized by punctuation marks, and Pre-editing rules were created based on this. In addition, to verify the rules’ utility, the source texts and the texts translated by machine, the pre-edited source texts and the newly-produced texts by machin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only the pre-editing rules applied to punctuation marks considerably improved sentence structure, grammar, omission, mistranslation and non-sentence.

      • KCI등재

        학부 러시아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사용 양상과 인식

        한현희 한국노어노문학회 2023 노어노문학 Vol.35 No.1

        본 연구는 러시아어 학습자의 기계번역 사용 양상 및 인식 파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 러시아어 전공 학부생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러시아어 학습자는 기계번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2) 러시아어 학습자는 품질상의 이유로 구글번역을 선호하며, 주로 한국어에서 러시아어 방향을 이용한다. 3) 러시아어 학습자는 주로 어휘 및 표현 검색, 문장구조 파악, 내용 보충 순의 목적으로 기계번역을 이용한다. 4) 러시아어 학습자의 기계번역 신뢰도는 5점 기준으로 3.17, 만족도는 3.07로 나타나 평균 이상을 보인다. 5) 러시아어 학습자는 기계번역 사용이 러시아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기계번역 덕분에 러시아어가 더 쉽게 느껴진다고 여길 뿐만 아니라, 독해 및 작문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계번역의 효용성을 높이 평가한다. 6) 러시아어 학습자는 전공 수업에서 기계번역의 사용이 필요하고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기계번역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겨 교육 도구로서 기계번역의 효용성 또한 높이 평가한다. 7) 러시아어 학습자는 기계번역에 대한 의존성, 품질 검증 불가능, 전공자의 역할 위협 등에 대해 우려한다. 8) 러시아어 학습자는 올바른 기계번역 사용을 위해 이용 시기, 목적, 프리에디팅 및 포스트에디팅, 교정 등 교사의 가이드라인을 필요로 한다. 9) 러시아어 수준이 높을수록 기계번역 덕분에 러시아어가 더 쉽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 도구로서 기계번역의 긍정적 효과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10) 기계번역을 많이 활용하는 학습자일수록 기계번역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가 높이 나타나며, 기계번역 덕분에 흥미, 난이도 저감, 도움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 아울러 전공 수업 시 기계번역 사용의 필요성 및 타당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학습 및 교육 도구로 인지하고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계번역 기반의 러시아어 전공 수업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하나님을 향한 분노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한현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2

        For Christians in suffering, anger toward God is often a phenomenon that is found, bu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ngry. That is because it appears to be faithless or spiritually immature. However, when anger toward God is unresolved, it affects a person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In particular,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is important in the Christian tradition. Unless the anger toward God is resolv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true communication with God. But there is a disagreement in view of anger toward God in Christian Counseling. This paper deals with different opinions on anger toward God in Mark P. Cosgrove, Andrew D. Lester, Robert D. Jones, and David Powlison, and describes and compares their opinions to see how Christian counselors should care for angry clients. Based on the opinions of scholars, “human as a sinner” and “reframing of suffering” were derived as important topics that Christian counselors should consider. A Counselor should help the anger of a sinner client to be expressed with mourning. In addition, a counselor needs to help a client put down the beliefs and motivations that are more important than God in order to reframe the meaning of suffering. Lastly, it is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is discussion and suggested case studies for specific application. 고통에 처한 그리스도인에게 하나님을 향한 분노는 종종 발견되는 현상이나, 분노를 표현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에게 하나님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는 것은 믿음이 없거나 영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을 향한 분노가 미해결 될 때, 사람들은 영적・심리적・신체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를 중시하는 기독교 전통에서 분노는 하나님과의 진실한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은 Mark P. Cosgrove, Andrew D. Lester, Robert D. Jones과 David Powlison 간에 하나님을 향한 분노에 대한 이견을 다루고 있으며 이들의 입장을 기술, 비교하여 기독교 상담자들이 분노하는 내담자를 어떻게 돌보야 할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되었다. 기술한 학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기독교 상담자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로 ‘죄인으로서 인간’, ‘고난의 재구성’을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죄인인 내담자의 분노가 애통의 마음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내담자가 고난의 의미를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나님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념과 동기를 내려놓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가 가진 한계를 기술하였고 구체적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를 제안하였다.

      • 1-MCP처리가 '신고'배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한현희,강충길,이정명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5 硏究論文集 Vol.24 No.-

        1-MCP 처리가 '신고' 배품종의 상온저장시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확된 '신고' 배를 1-MCP 1 ppm의 농도로 수확당일, 수확후 1일, 수확후 2일에 각각 처리하고 이후에는 20±2℃의 실온에서 포장 저장하면서 품질관현 요인을 검정하였다. 초기 조사일의 과중에 대한 중간 조사일의 과중감소율에서는 5주차에 수확 1일후 1-MCP 처리구가 가장 감소율이 적었다. 당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경도와 부패과에서는 처리 5주차에서 1-MCP 처리구들이 무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경도와 부패과가 적게 발생하였다. 산도에서는 실험 5주차에 무처리가 다른 1-MCP 처리구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수확직후의 1-MCP처리는 '신고' 배의 저장기간 연장에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s of 1-MCP treatment on the fruit quality of 'Niitaka' pear under room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With 1-MCP treatment one day after harvest, the lowest percentage of decrease in the fruit fresh weight was obtained at 5 weeks after the treatment. Soluble solids contents of MCP-treated fru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ll of 1-MCP treatments showed a slow decrease in fruit firmness and low percentages in rotten fruit rate at 5 weeks after the treatment. At 5 weeks after the treatment, the fruit juice acidity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those from other 1-MCP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