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랜스코더의 해상도 변환 모듈과 움직임 추정 모듈의 공동 최적화

        한종기(Jong-Ki Han),곽상민(Sang-Min Kwak),전동산(Dong-San Jun),김재곤(Jae-Gon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5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0 No.3

        A joint design scheme is proposed to optimize the up/down scaler and the motion vector estimation module in the transcoder system. The proposed scheme first optimizes the resolution scaler for a fixed motion vector, and then a new motion vector is estimated for the fixed scaler. These two steps are iteratively repeated until they reach a local optimum solution. In the optimization of the scaler, we derive an adaptive version of a cubic convolution interpolator to enlarge or reduce digital images by arbitrary scaling factors. The adaptation is performed at each macroblock of an image.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al motion vector, a temporary motion vector is composed from the given motion vectors. Then the motion vector is refined over a narrow search range. It is well-known that this refinement scheme provides the comparabl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full search metho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 jointly optimized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algorithms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systems. We can also see that the algorithms exhibit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inimization of information loss compared with other techniques.

      • KCI등재

        H.264를 위한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추정 알고리즘

        정인철,한종기,Jeong In Cheol,Han Jong Ki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2C

        H.264/AVC [l]-[4]는 ITU-T H.264와 ISO/IEC 14496-10 (MPEG-4 Part 10)으로써 승인된 새로운 국제 비디오 압축 표준이다. H.264/AVC는 7가지 가변 블록에 대한 움직임 예측 및 RD[5], 디블로킹 필터[6], 다중 프레임 참조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인해 압축 효율은 높아졌으나 복잡도 또한 훨씬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압축시간 단축을 위한 효율적인 고속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H.264/AVC에서 매크로 블록의 모드와 움직임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H.264/AVC에서는 7가지 가변블록들에 대한 블록모드와 움직임 벡터를 찾고 그 중에 가장 효율적인 하나의 모드와 움직임 벡터를 선택한다. 이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가장 작은 블록(4${\times}$4)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더 큰 블록들의 모드와 움직임벡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컴퓨터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과 기존의 방법을 비교한 결과 영상의 화질은 거의 유사하면서 전체적인 부호화 시간은 단축되어짐을 알 수 있다. In H.264, 7 modes {16${\times}$16, 16${\times}$8, 8${\times}$16, 8${\times}$8, 8${\times}$4, 4${\times}$8, 4${\times}$4) are used to enhance the coding efficiency. The motion vector estimation with 7 modes may require huge computing time. In this paper, to speed up the motion vector estimation procedure while the high image quality remains, we propose a motion vector refinement scheme using the temporary motion vector generated with little computation. The proposed estimation process consists of three phases: Mode decision for a 16${\times}$16 macroblock, Composing a temporary motion vector, Refinement of the temporary motion vector.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uter simulation. In the results, the encoding time consumed by the proposed scheme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while the encoded video quality remains unchanged.

      • KCI등재

        H.264에서 다중참조 프레임을 이용한 효율적인 움직임 예측

        김성은,한종기,Kim Sung-Eun,Han Jong-Ki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9C

        H.264에서 다중참조 프레임을 사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은 단일 참조프레임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보다 더 많은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거나 채널에러에 강인하게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다중 참조 프레임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을 하는 것은 단일의 참조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보다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비디오 인코더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참조 프레임을 사용한 움직임 예측을 화질 열화 없이 적은 복잡도로서 가능하게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움직임 예측 절차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연속되는 프레임 사이에 구성된 움직임 벡터맵을 이용하여 움직임벡터를 추정한다. 제안한 방식은 추정된 움직임벡터를 작은 탐색영역에서 보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들에 비해 적은 복잡도가 요구된다. 제안된 방법으로 추정된 움직임벡터는 각 참조프레임들에 대해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효과적으로 추적하기 때문에 부호화 된 영상의 화질은 전 탐색영역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한 결과와 매우 비슷하다. 제안된 방식은 세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a) 연속되는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벡터맵을 구성한다. (b) 벡터맵에 있는 요소벡터를 이용하여 시간적 움직임 벡터를 구성한다. (c) 마지막으로, 임시 움직임 벡터를 좁은 탐색영역에서 보정한다. 컴퓨터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제안된 방식과 기존의 방식들과의 비교를 위해 H.264 부호화기에서 움직임 예측 모듈에 의해 소비된 CPU 시간을 측정하였다. 컴퓨터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안된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의 화질은 기존 방식과 을 통해 얻은 영상화질과 거의 같으면서 알고리즘 복잡도는 크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 Hole 이 발생하지 않는 Graph-Cut 기반 Mesh Reconstruction

        한현덕(HyeonDeok Han),한종기(Jong-Ki Ha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0 No.7

        포인트 클라우드는 2D 이미지를 3D 로 복원하고 표현하는 방법으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포인트 클라우드로만 표현할 경우 포인트와 포인트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여 실제 3D 물체와 차이가 존재한다. Mesh Reconstruction 은 보다 실제 3D 물체처럼 보이기 위해 포인트와 포인트를 이어 mesh 를 생성하는 방법인데 생성된 mesh 의 quality 는 texturing 을 거친 최종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 기존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의 Mesh Reconstruction 방법은 노이즈에 어느 정도 강한 면을 보이지만 최종 결과에서 잘 이어진 mesh 를 생성하지 못하고 hole 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선 노이즈에 강하면서 최종 결과에서 잘 이어진 mesh 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Mesh Reconstruc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Graph-cut 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Mesh 의 Edge 추출 알고리즘

        한현덕(HyeonDeok Han),김해광(HaeKwang Kim),한종기(Jong-Ki Ha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LiDAR 장비 및 SfM 과 MVS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point cloud 와 mesh 에는 항상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선 노이즈와 edge 를 효과적으로 구분해낼 수 있어야 한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mesh 로부터 edge 를 먼저 구분해낸 후 edge 에 해당하는 영역과 평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서로 다른 필터를 사용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강한 노이즈가 포함된 mesh 에서는 edge 를 잘 구분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mesh 로부터 edge 를 구분해내는 알고리즘의 성능이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체 알고리즘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강한 노이즈에서도 edge 를 잘 구분해낼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CA 와 graph-cut 을 이용하여 강한 노이즈가 포함된 mesh 에서 edge 영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

        다양한 포맷변환을 지원하는 Transcoder의 개선된 Cubic Convolution Scaler

        유영조,서주헌,한종기,Yoo, Young-Joe,Seo, Ju-Heon,Han, Jong-Ki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9c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배율로 디지털 영상을 확대와 축소하는 개선된 cubic convolution 보간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공간해상도조정 방법은 압축된 HD 비트스트림이나 SD 비트 스트림을 transcoding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식의 해상도를 조정하기위해 사용된다. Transcoder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영상의 화질은 유지하면서 크기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해상도조정은 원본 디지털 데이터를 연속함수로 변환하는 단계와 새로운 샘플링간격에 맞게 재표본화하는 단계, 이렇게 두 단계로 구분된다. 우리는 원본영상과 해상도조정 된 영상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보간 필터의 kernel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본 논문에서는 MPEG 표준에서 고려하는 다양한 영상포맷들간 해상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여 고화질의 해상도 변환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We derive a modified version of 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for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digital images by arbitrary scaling factors. The proposed scaling scheme is used to resize various format pictures in the transcoding system, which transforms the bitstream compressed at a bit rate, such as the HD bitstream, into another bit rate stream.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the transcoder, the resolution conversion is very important for changing the image size while the scaled image maintains high quality. We focus on the modification of the scaler kernel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formats of the original and the resized image. In the modification, various formats defined in MPEG standards are considered. We show experimental results that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interpol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