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2X 통신환경에서의 독립교차로 신호 최적제어 알고리즘 개발 연구

        한음,박상민,정하림,이철기,윤일수 한국ITS학회 201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V2X 통신환경 하에서 개별 차량 기반 수집 데이터를 활용하여 독립교차로의 실시간 교통상황대응 최적 교통신호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매초 간격으로 V2X 통신환경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 현시, 현시순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과 이 알고리즘 안에서 감응식 신호를 적용하여 독립신호 교차로의 신호 최적제어를 실시하였다. 최적화된 신호시간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활용한 신호제어 성능을 비교하면 전제적으로 평균 지체, 평균 정지지체, 정지횟수, 평균속도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나고 있으며, 개선 폭이 교통량이 많아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장점유율에 따른 도입 시기 평가 결과, 평균 지체의 경우 교통량이 500대의 경우 시장점유율이 50% 이하로내려가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이 기존 신호알고리즘보다 높은 지체를 보였으나, 교통량이 1,000대일 경우 시장점유율 25% 이하에서 지체가 높아졌다. 하지만 1,500대일 경우 시장점유율에 25%에 불과해도 기존의 신호제어 알고리즘 보다 지체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an algorithm for traffic condition adaptive optimal traffic signal control for isolated intersections based on the vehicle trajectory data.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optimal cycle length, phase lengths, phase sequences using the data collected under V2X communication environment every second. In addition, the algorithm utilizes a traditional feature of the actuated signal control, gap-out, using traditional detector systems to consider the mixture of normal vehicles and vehicles equipped with the V2X communication function.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fixed signal timing plan which was optimized with Synchro under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based test bed. As a result, the overall performance, including average delay, average stop delay, the number of stops, and average speed, are improved apparently.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rovement get bigger as the traffic volume in the intersection as well as the number of vehicles equipped with the V2X communication function increase.

      • KCI등재

        교통사고 정보를 이용한 과실비율 산정 모델 개발

        한음,박기옥,강희진,이요셉,윤일수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6

        국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손해보험협회에서 작성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에 따라 과실비율을 산정하며, 이를 통해 보험사의 합의나 판결이 내려진다. 하지만, 과실비율 산정에 있어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발생 시 경찰공무원에 의해 작 성되는 교통사고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상의 교통사고 유형을 신 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에 의해 작성된 교통사고 정보를 학습시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에서 제시하 는 교통사고 유형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경찰청 교통사고 데이터에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의 교통사고 유형으로 분류하는 데 필 요한 핵심어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키워드를 의사결정나무 및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통해 학습시켜 교통사고 유형을 도출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Traffic accidents occur in Korea are calculated with the 「Automobile Accident Negligence Ratio Certification Standard」 prepared by the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insurance company's agreement or judgment is made. However, dispute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calculating the negligence ratio.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 more effective response would be possible if accident type according to the standard could be quickly identified using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prepared by pol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that learns the accident information prepared by the police and classifies it to match the accident type in the standard. In particular, through data mining, keywords necessary to classify the accident types of the standard were extracted from the accident data of the police. Then, models were developed to derive the types of accidents by learning the extracted keywords through decision trees and random forest models.

      • KCI등재

        레이더검지기의 차량 궤적 정보를 이용한 고속도로 공간평균속도 산출방법 비교

        한음,김상범,노정현,윤일수 한국ITS학회 201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VDS에서 수집된 시간평균속도를 이용하여 공간평균속도를 산출하는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전 연구들에서 제시된 시간평균속도를 이용한 공간평균속도 추정방법들을 정리하였 다. 현장에서 수집된 시간평균속도와 공간평균속도 자료는 기계 혹은 측정 상의 오차로 정확한 값을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미시교통시뮬레이션모형을 이용하여 이상적인 상황에서 공간평균속도 값을 산출한 후, 본 연구에서 선정된 공간 평균속도 산출방법론을 통해 산출된 추정값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개별차량의 시간평균속도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조화평균 값과 교통량-거리가중 조화평균 값이 공간평균속도 값에 가장 근사하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30초 단위 시간평 균속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통량-거리가중 조화평균 값이 가장 유사하였다. 현장에서 공간평균속도를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중부고속도로에 레이더검지기를 설치하여 개별 차량의 경로자료를 수집한 후, 경로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평균속도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량-거리가중 조화평균을 이용한 추정값이 공간평균속도에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ethodologies to estimate the space mean speed(SMS) using the time mean speed(TMS)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system(VDS) in expressways. To this end, the methodologies presented in prior studies were firstly summarized. It is very hard to achieve exact SMSs and TMSs due to mechanical and communication errors in the field. Thu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was utilized to evaluated the performance. As a result, the harmonic mean and volume-distance weighted harmonic mean were close to the SMS in the case in which the TMSs of individual vehicles were used. However, when the 30-second-interval aggregated TMS were used, the volume-distance weighted harmonic mean was outstanding. In this study, a radar detector was installed in the Joongbu expressway to collect the SMS. The trajectory of individual vehicles collected from the detector were used to calculate the SMS, which was compared with the estimates using other methodologies selec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volume-distance weighted mean was turned out to be close to the SMS. However, as the congestion becomes severe. the deviation between the two speed becomes bigger.

      • KCI등재

        노면표시 색상에 따른 최소재귀반사성능 연구

        한음,강종호,김청호,박성호,윤일수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6

        도로교통법 시행규칙과 단체표준에서 정하고 있는 8가지 색상에 대해 건조 시와 습윤 시의 최소재귀반사성능 기준 확보를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백색 건조 시에는 260.8(mcd/ ㎡·lux), 습윤 시에는 154.6(mcd/㎡·lux)으로 결과가 산출되었다. 황색의 경우는 건조 시 백색의 반사성능 대비 황색, 가호1호에서는 67%, 가호2호에서는 63% 수준이다. 습윤 시는 각각 79%와 59% 수준으로 나타났다. 청색의 경우에는 백색대비 가호1호에서는 64% 수준이며, 가호2호에 서는 72%이다. 습윤 시는 각각 63%와 72% 수준으로 나타났다. 습윤 시의 반사성능 변화 폭이 건조 시보다 높으며, 유리알이 없는 경우도 이전의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규색상이 적 색, 주황색, 분홍색, 연한 녹색, 녹색의 경우에도 백색 대비 50% 이상의 기준값을 가지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노면표시 색상에 따른 최소반사성능 기 준 마련의 토대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Eight colors prescribed by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Road Traffic Act and the group standard were tested to secure the minimum recursive reflectance performance standards when drying and wetting. The results were calculated to be 260.8 (mcd/㎡·lux) when drying white and 154.6 (mcd/ ㎡·lux) when wet. Yellow was 67% compared to the white reflective performance when drying. Wet poetry was 79 % and 59 %, respectively. In the case of blue, it was 64% in the case of white versus 72% in the case of white. Wet poetry was 63 % and 72 %, respectively. The range of changes in reflective performance during wetting was higher than when drying, and the absence of glass grains was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s. The new colors also have a standard value of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white color in red, orange, pink, light green, and green. Based on this, it was estimated that the minimum reflective performance criteria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road markings would form the basis for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Road Traffic Act.

      • KCI등재

        V2I 통신환경을 활용한 연동교차로 교통신호 실시간 제어 연구

        한음,윤일수,이상수,장기태,박병규 한국ITS학회 2018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V2I 통신환경 하에서 수집되는 개별 차량 정보를 활용하여 연동교차로의 교통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알고리즘은 매 초 간격으로 V2I 통신환경에서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연동 교차로 교통신호 제어에 필요한 현시 그룹 길이, 현시 길이, 현시 순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개발된 연동교차로 교통신호 제어 알고리즘의 효과 평가를 위해 미시교통시뮬레이션 모형인 VISSIM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교통조건 하에서 기존 정주기식 연동 교통신호 제어 방식과 개 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an optimal signal control algorithm for coordinated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individual vehicle’s information which can be collected in a format of prove vehicle data (PVD) via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eveloping this signal optimization algorithm, three modules were developed for phase group length computation, split distribution, and phase sequence assignment. The simulation analysis using the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Vissim, was conducted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lgorithm. The analysis result represen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algorithm is far superior to that of the fixed coordinated signal control method which is the most common signal control method for coordinat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Korea.

      • 어린이보호구역과 교통안전시설

        한음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2020년 1월 7일 전국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모든 도로의 자동차 통행 속도를 시속 30km 이하로 조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또한 경찰청에서는 이러한 강화대책의 일환으로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교통안전시설물에 대한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을 실시하였다. 이번 발표는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과 신규 안전표지, 노면표시와 더불어 새로운 설치 기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