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숙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의 전공별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차이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2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8월과 2012년 2월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이공계전공 여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2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원 데이터에서 연구대상인 이공계 전공여성 1,569명의 표본(공학계열; 649명, 자연계열;920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9.0을 사용해 빈도분석, 독립표본t검정,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준비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선택 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만을 통제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이 전문대보다 고용안정성이 좋고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나 전공 선택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 등의 통제변수와 진로준비행동 변인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라는 대학유형간이 고용안정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을 체계적으로 하여 본인 적성에 맞도록 소신 있게 대학을 선택했을 경우 대학유형은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graduate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 regressio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were all examined. This study used the original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2012 College Graduates' Occupation Rout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9 wome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649 engineering graduates, and 920 science graduate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9.0. As a result, women with 4 years of college have higher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an college students, but the reasons for major selection, university type, college location, and depar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variables on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type of colleg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f the university systematically prepares people for a career and the university suits a person's aptitude.

      • KCI등재

        미르체아 엘리아데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수용과 변용 : 소설『가우데아무스』와『새로운 삶』

        한성숙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1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fundamental theme of Eliade's novel Gaudeamus and New life -by which Dante has brought new zeitgeist into transition phase of modern times- , to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is idea and literature, to verify the transcendence within human experience. In his novel Gaudeamus it depicted his acceptance of the gab between real love and existential love on his quest for true love and his conflicting efforts to escape from it. Gaudeamus indicated that Eliade had delved into the theme of salvation of male chauvinist through a common woman who was scorned by him. The hero abandoned his love between Faustian ambition and natural feeling of love. he was not over his limit of his notion about women yet and remained a struggling youth over success and ambition instead of inspirational Beatrice. This self-centered and narcissistic love based on eros yearns for eternal life. But in his novel New Life he said that a woman is an object to be loved, she is inspiring being who make an individual to understand that he has ultimate value as a human being and she is the everlasting source of energy. This demonstrates that Eliade’s opinion about love has been changed. Ştefania's love accepted a man who was arrogant in his youth and experienced the truth of love and redemptive existence before she made a resolution and tried to develop new arts. Man realizes his hidden identity through loving interrelation with other man. This means that they balance themselves and find direction and generate cosmos which reflects the original epitome of genesis and recognize the existence in it.(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본 연구에서는 근대로 넘어가던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정신을 가져온 단테와 마찬가지로 소설『가우데아무스』와『새로운 삶』에 나타난 사랑을 통한 엘리아데의 새로운 진실성을 탐구하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소설『가우데아무스』에서 엘리아데는 자신이 생각하는 사랑과 실제 사랑의 경험과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로부터 탈주하고자 하는 상반된 모습을 그리면서, 지금까지의 보인 여성에 대한 자신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를 베아트리체와 같이 영감을 주는 존재보다는 자신의 성공과 야망으로 고뇌하는 한 인간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이 사랑은 나르시스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랑으로 영원불멸의 생명을 얻으려는 에로스에 기초한다. 반면 소설『새로운 삶』에서의 여성은 사랑하는 대상으로 그리고 타인은 물론 한 개인이 얼마나 가치 있는 존재인지에 대한 인식과 인생의 영감이자 동기가 되는 영원한 에너지원으로 묘사되고 있다. 쉬테파니아의 사랑은 새로운 예술을 창작에 앞서 한 남자의 청년 시절 오만함을 인정하게 하고, 사랑의 진실성과 구원의 실존적 경험과 직면한다. 인간이 타자의 진정한 사랑을 여과하는 순간, 비로소 그때 인간은 삶의 에너지를 획득하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다. 즉, 인간은 사랑하는 타자와의 상호관계 속에 인간 스스로 깨닫지 못한 정체성을 발견한다. 마치 우주와의 조화가 이루어져 전 우주가 형성되는 것처럼 사랑도 모든 위험요소와 규칙을 제거하면서 모든 구성 요소들의 조합으로 절대성을 지니게 된다.

      • 지역사회 말기질환자 가족 부담감에 관한 연구

        한성숙,노유자,양수,유양숙,김석일,황희경,Han, Sung-Suk,Ro, You-Ja,Yang, Soo,Yoo, Yang-Sook,Kim, Sek-Il,Hwang, Hee-Hy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03 가정간호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erceived burden of the terminally III patients's caregiver an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urden and the various demographics, illness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s, and economic factor of the family & patients. The sample of 132 caregivers who care for the terminally III patients Kyung-Gi province, Seoul, Korea.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August to September, 2002. The perceived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 was measured by the burden scale(20 items, 4 point scale) developed by Montgomery et al. (198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program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score was 3.02. The score showed that caregivers perceive severe the level of burden. The hight items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I feel it is painful to watch patient's diseases'(3.77). 'I feel afraid for what the future holds for my patients'(3.66), 'I feel it reduced to amount of privacy time'(3.64). 2. The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tient's gender(F=3.17, p= 0.0020), patient's job(F=2.49, p=0.0476), caregiver's age(F=4.29, p=0.0030), and caregiver's job(F=2.49, p=0.0476). 3. The caregiver's burden according to illness characterist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tient's family relationship (F=4.05, p=0.0041), patient's care mean period in a day(F=47.18, <p=.000l), patient's care period after diagnosis (F=5.18, p=<.0001),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F=3.58, p=0.0088). The highest caregiver's burden related to family was 'parents caregivers'(3.27), the lowest was 'patient's son & daughter caregivers'(2.88). In case of prolonged care period in a day, the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high. In case of prolonged care period after diagnosis, the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high. In case of no monthly family income. the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3,24). The need for health care has expanded from curative therapy to health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also. finally the need for hospice care has deman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ecause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approaches are required to meet their needs, the integration of various resources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build a community-based integrated model that is good for improving the patients and familiy's quality of life and to minimize the cost from tertiary hospitals. There were several subjects in this study such, analyses as traditional home care, utilization review of terminally ill patients, measurement of burden of family members and provided practice guidelines for the home cancer patient management. We suggest thre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odel. The firstly the change of the role of the healthcare center from a direct service provider to a management-oriented organization. The secondly the induction of a team-based approach by preserving the proper role of each organization. The thirdly the reenforcement of this team-based approach with the sharing of information on the patients and community-based resources. These suggests are based on the Partnership Collaboration Model and the strategies stated as in the above. In this model, the health care center could playa managerial role and all of the community's resources and the patient's information could hold in common. It i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might be safely used by a semi-open system and an open-system for sharing of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ty-based resources.

      • KCI등재

        엘리아데 소설 『뱀(Şarpele)』의 내러티브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Coincidentia oppositorum) 연구

        한성숙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3

        20세기 위대한 종교학자이자 신화이론가인 미르체아 엘리아데에게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은 상반된 요소들이 대립 없이 공존하는 것으로, 인간에게 대립적인 요소들을 현실의 상호보완적인 다양한 측면으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통일성을 다시 회복하려는 욕구이다. 엘리아데가 추구하는 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실용성이 아닌 총체적인 통찰력으로 이 시대에 새로운 시각을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존재와 무(無), 현실과 환상, 낮과 밤, 역사와 신화, 성스러움과 속함은 서로 반대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엘리아데는 이러한 반대되는 개념들이 서로 총체적으로 만나게 되며, 새로운 휴머니즘의 열쇠가 된다고 한다. 엘리아데는 환상소설『뱀』의 내러티브를 통해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과 같은 상반된 것들이 단순히 형식적인 것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차원에서 드러나고 있는 총체성의 신비에 대한 인간의 존재론적 갈망을 표명하고 있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이 사는 세상에서 경험하는 것들로 인해 상반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 또한 그들의 실재를 규정한다. 그러나 선과 악의 모순은 위장된 성의 현현으로 인해 인간은 대립을 초월하게 되고, 대립의 합일을 끌어내며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조화가 이루어진다. 곧 이것의 상징은 신성한 결혼이라 말할 수 있다. 신성한 결혼은 남녀의 결합으로 결혼, 즉, 대립물의 화해, 상호작용, 합일이자 신과 지상 세계가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소설 속에서 안드로닉과 도리나는 성경에 나오는 최초의 인류인 아담과 하와처럼, 최초의 사람 아담의 완전함 안에서 자유와 풍요를 의미하는 낙원의 상태 안에 거하게 된다. 엘리아데 환상소설의 내러티브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변화하지 않는 성스러움의 구조를 발견하고, 인간 조건을 초월하는 또 다른 존재 방식을 일깨워 준다. 그래서 보이는 현실 너머에 성스러움을 인식하게 하는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은 시대와 관계없이 인간이 겪는 모순되는 것의 편협한 시각을 초월하여 인간에 대한 총체성을 일깨워 주고, 타자와의 단절이 아닌 근본적인 인간의 삶의 가치를 여는 미래의 새로운 휴머니즘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For Mircea Eliade, Romanian historian of religion fiction writer philosopher of the 20th century Coincidentia oppositorum is coexistence of opposite parts without contradiction and it is the desire to recover the unification by understanding complimentary elements of opposite parts. What Eliade is pursuing is that we need to open a new perspective in this era with a total insight rather then practicality for human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existence and non-existence, reality and fantasy, day and night, history and mythology sacred and profane have opposite properties. However Eliade says that these opposing concepts meet each other totally and become the key to a New Humanism. Eliade depicted our existential desire for the mysteries of totality that is revealed in various dimensions in the narrative of his fantasy novel the Snake. According to Eliade human being determines his existence of opposite things by experience in his life. But the disguised appearance of discrepancy of good and evil makes man transcend beyond opposition and the harmony of anima and animus symbolize the sacred marriage. At the point of cosmos marriage between heaven and earth is an act of creation and creation of life. Sacred marriage are connection of man and woman, melting of opposite things, interaction oneness and connection between man and God. In this novel main character Andronic and Dorina live in paradise of freedom and richness like Adam and Eve in the Bible. Coincidentia oppositorum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makeup of the constant holiness in the ever changing world. And Eliade's interpretation about Coincidentia oppositorum are realization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s unbiased regardless of ages and creating New Humanism which values human life instead of isolating it.

      • 손창섭의 <血書>에 나타난 부조리 인식과 대응 양상

        한성숙 개신어문학회 2016 개신어문연구 Vol.41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sis <Something written by Blood> of Son Chang-seop with absurdity of the philosophy suggested by Albert Camus to find out the absurdity concept and correspondence aspects in this work. Even though the word 'absurdity' of his works was appeared among some thesis, but the studies could not find many-sided definition because the studies were done in the narrow view point of 'post war'. Thus the author thinks that the 'absurdity' in the works of Son Chang-seop means not only real lives but also essence of life, and thus tries to seek for the deep concept created as the essence by Son through his pursuit of real nature of life. Albert Camus's absurdity means 'strangeness' naturally and this is made when two objects were compared, not isolated object or event. This strangeness comes from the relations between me and the outside, me and others, and me and myself. He emphasized to have the attitude of consider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bsurdity, and suggested the resistance, liberation, and passion as the attitude of corresponding with absurdity. The author found out the special feature of absurdity suggested by Albert Camus, and the strangeness appearing relations between me and the outside, me and others, and me and myself in this text through the detailed study. Self-consciousness of existence, passion for living as the corresponding with absurdity were expressed. As a result, the images of absurdity on human beings, and the will to correspond with this absurdity were found in this text.

      • KCI등재

        엘리아데 문학의 토포스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연구

        한성숙 세계문학비교학회 201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opos of Mircea Eliade's (1907-1986) literature and principle of creation, so that we can acquire the universality of Mircea Eliade's literature and understand his value system. As a young child, Mircea Eliade had a mysterious experience about a room. This leads to man's real experience by discovering a mystery in one's memory. For Mircea Eliade, a room is a link that can communicate between man and divine things. The very link is enacted in ‘Camera Sambô' which is man's personal universe and 'Mansarda(Attic)' where he worked as his office. By revealing man's own existence, as the source of Eliade's literature, these two spaces enrich the world. A space seems 'familiar' to man is opened to another world. Universal value makes man step out of their subjective circumstance and gives man an objective value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Eventually, reaching to an objective world means man is getting closer to a prototype, and it gives an open view of the sacred. Camera Sambô i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that transforms into possibilities. The room becomes a unique personal thing with a paradisiacal point of view, also it represents humanity which can be recognized by overall prototype mind of Jung, Carl Gustav. It is always the revelation of existence: it is an encounter with a thing that saves man by attaching meaning to the existence of man. Sambô is a person's own paradise, also it means a beginning of all creation turns into possibilities. This existential experience allows man to have an illusion, and it is the source of his writing principle that covers all the true meanings of mankind overall Eliade's literature. For Eliade as a religious scholar and a novelist, both religion and literature are connected to the creation of the new world, and through the literary creation, he recovers meaningful existential human values by presenting shows unsuspected things to people who has never experienced Sambô. In the other words, to Eliade, an artist is understood as a creator who goes beyond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herefore, a creator must interpret the scared and, ultimately, has responsible for transforming people. 본 논문은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 문학의 토포스(topos)를 발견하고 창작원리를 밝혀 엘리아데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하고 세계에 대한 엘리아데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엘리아데는 유년기에 어느 한 방에 대한 미스터리한 경험을 한다. 이것은 곧 인간의 기억 속에서 존재하는 신비함을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실재적 경험으로 이어진다.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방’이라는 공간은 인간과 성스러운 것 사이에 교통할 수 있는 매개체이다. 그 매개체는 바로 그의 작업실 ‘다락방’과 인간의 개인적 우주라고 할 수 있는 ‘까메라 삼보 *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B5A07042277) 본 연구에서는 엘리아데 소설 속에 나온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라는 단어가 그의 문학 전체를 한정하는 집합 장소, 토포스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그 의미를 축소시키지 않기 위해서, 삼보의 방으로 번역하여 쓰지 않고 원형 그대로 표기한다. 루마니아어에서 까메라(Camera)는 방이라는 뜻이며, ‘삼보’ 라는 단어는 살람보(Salammbô)라는 단어의 축약형으로 살람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살람보는 프랑스 소설가 귀스타프 플로베르(Gustave Flaubert)가 지은 역사소설의 제목으로 카르타고 용장(勇將) 하밀카르 바르카의 딸 이름이다. 소설에서 그녀는 적군의 수장 마토와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두 사람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이 난다. ’에서 이루어진다. 이 두 공간은 엘리아데 학문의 근원지로써 인간 스스로의 존재를 밝혀 세상을 풍부하게 만든다. 인간에게 ‘친근하게’ 느껴지는 공간은 또 다른 세상을 향해 열려 있다. 이러한 공간의 우주적 가치는 인간으로 하여금 주관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인적 경험의 객관적인 가치를 깨닫게 해준다. 객관적인 세계로의 접근은 결국 보편적인 것, 원형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성스러움에 대한 열린 시각을 제공한다. 엘리아데에게 까메라 삼보는 개인 고유의 낙원이자 모든 창조가 가능성으로 변하는 시작을 의미한다. 이 실재적 경험은 엘리아데 문학 전체에 걸쳐 인간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획득하는 그의 글쓰기 원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종교학자이면서 동시에 소설가인 엘리아데에게 문학은 종교 현상의 의미를 회복을 의미하며, 문학적 창조를 통해 ‘삼보’를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인간에게 보편적이고 모범적인 진실을 일깨워줌으로써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