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팅과 코딩이 병합된 마이크로컨트롤러 협력학습시스템 개발

        한새론,최관순,이순흠,김동식,안달,전흥구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As the Internet information society arrives, the trend toward solving the problems through cooperation is actively underwa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The proposed Microcontroller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MCLS) is designed to make the desired individual learning based on their own pace at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personal computers or mobile devices with wired or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Furthermore, the distant learners can examine coding process and execution result simultaneously by sharing and collaborating their opinion through the general chat program. The procedure of solving problem of microcontroller through chatting and coding between distant learners will be illustrated as examples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CLS. 인터넷 정보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흐름은 교육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제안한 마이크로콘트롤러 협력학습시스템(MCLS)은 유무선망이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진도에 맞추어 원하는 개별학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팅을 통하여 서로 의견을 나누고 협력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에 관련된 프로그래밍 과정과 실행결과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마이크로콘트롤러 협력학습시스템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학습자들 상호간의 채팅과 코딩을 통해 마이크로콘트롤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예로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온실을 위한 가상 외부기상측정시스템 개발

        한새론,이재수,홍영기,김국환,김성기,김상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us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s Automatic Weather Station(AWS) data to operate smart green greenhouse. A Web-based KMA AWS data receiving system using JAVA and APM_SETUP 8 on windows 7 platform was developed. The system was composed of server and client. The server program was developed by a Java application to receive weather data from the KMA every 30 minutes and to send the weather data to smart greenhouse. The client program was developed by a Java applets to receive the KMA AWS data from the server every 30 minutes through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o that smart greenhouse could recognize the KMA AWS data as the ambient weather information. This system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local weather data measured by Inc. Ezfarm. In case of ambient air temperature, it showed some difference between virtual data and measured data. But, the average absolute deviation of the difference has a little difference as less than 2.24℃. Therefore, the virtual weather data of the developed system was considered available as the ambient weather information of the smart greenhouse. 오늘날 농촌의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농업 자동화는 필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동온실 자동화를 위한 외부 환경 측정 기술이 연구되었다. 연구를 위해 (주)이지팜에서 측정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Windows 7 환경에서 JAVA와 APM_SETUP 8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기상청 AWS 데이터를 받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온실에 가상 외부기상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었다. 서버 프로그램은 30분마다 기상청으로부터 날씨 데이터를 받아서 스마트온실에 보내주도록 만들어졌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자바 애플릿으로 개발되어, 서버와 통신하여 30분마다 기상청 AWS 데이터를 받아서, 수신된 기상청 AWS 데이터를 스마트 온실 외부 환경 정보로 인식한다. 이 시스템은 (주)이지팜에서 측정한 기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평가되었다. 외기 온도의 경우 기상청 AWS 데이터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평균절대편차는 2.24℃ 이하로 적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개발된 가상 외부기상측정시스템의 날씨 정보는 스마트온실의 외부 날씨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스마트폰용 사용자를 위한 가상실험실 개발

        한새론(SaeRon Hann),김영지(youngji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김동식(Dongsik Kim),전창완,이순흠,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지금까지의 가상실험실은 PC가 있는 장소에서 학습자가 실험을 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이 빠른 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PC가 없어도 언제 어디서나 실험을 할 수 있는 가상실험실의 필요하게 되어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가상실험실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There have been large number of trials of engineering experiment education using virtual laboratories implemented in virtual space, namely on the Web. In virtual education systematic and interactive contents containing multimedia elements are provided to learners. Learners can learn a virtual laboratory using an internet based PC. But it can’t be used under the moving. In order to use virtual laboratoty at anywhere and anytime, we proposed and implemented a virtual laboratory on electrical engineering for smart phone users.

      • PHP 학습 시스템 구현

        한새론(SaeRon Hann),운속은(UnSok Oeun),김영지(youngji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김동식(Dongsik Kim),전창완(ChangWan Jeon),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시스템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학습환경을 제공하므로 인터넷이 연결된 어떤 곳에서나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버측 언어인 PHP를 학습할 수 있는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Web based learning system supplies a learning environment at any time, any where. Therefore students can learn a lot from the web for themselves at anyplace where internet connected. In this paper, the web based learning system is implemented to learn PHP which is a server side language.

      • C 언어 협동학습을 위한 시스템 구현

        한새론(SaeRon Hann),차재호(Jaeho Cha),김영지(Youngji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김동식(Dongsik Kim),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웹을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대화와 토론활동을 통한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자들은 협동학습에 균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웹기반 협동학습시스템은 채팅창을 통해 학습자들 간의 토론활동을 통해 문제해결방법을 터득하고 이를 C언어로 코드화하여 실행결과를 얻게되는 시스템으로 채팅창과 코드창을 공유한 협동학습시스템이다.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elps learner learn problem solving under the conversation and debate at any time, any where. It supports opportunity which learner can join in learning equally. In the paper we proposed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with chatting window. Thus learner can learn c programming language with others and they can confirm the execution result of their program. in the system. The proposed system makes a feature of sharing with chatting and code window.

      • 임베디드 RFID 미들웨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새론(SaeRon Hann),김성환(SeongHwan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안달(Dal Ahn),전창완(ChangWan Jeon),김동식(Dongsik Kim),이순흠(SunHeum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PXA255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하여, Windows CE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며 .NET Compact Framework 플랫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새로운 형태의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임베디드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은 RS-232를 인터페이스로 하는 다수의 RFID 센서를 LAN을 통해 제어하며, RFID 미들웨어의 필요한 각각의 기능에 따른 컴포넌트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제안한 임베디드기반의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높은 확장성 및 연동성을 바탕으로 유연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This study designed and realized a new type of RFID middle-ware based on .NET Compact Framework platformusing PXA255 embedded board and Windows CE as operating system. The proposed embedded RFID middle-ware system controls via LAN a number of RFID sensors using RS-232 as interface and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components of each function necessary RFID middle-ware. With advantages of embedded systems, the embedded RFID middle-ware system is cheaper than RFID enterprise middle-ware,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existing RFID middle ware products, and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which makes the system ideal for small-scaled projects.

      • LabVIEW를 이용한 자동 온실 시험시스템 구현

        한새론(SaeRon Hann),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김동식(Dongsik Kim),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본 연구에서는 온도센서와 스테핑 모터, 자동급수장치를 이용해 실용적이며 안정적인 자동온실 시스템과 이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자동급수장치의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NI사의 DAQ카드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하드웨어 리소스를 운영하기 위해 NI사의 LabVIEW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practical and reliable automated greenhouse systems and applications which can control easily the greenhouse. NI’s DAQ card was used for control the supply of water at automatic watering device. NI’s LabVIEW software was used for operate the hardware resources.

      • Android 기반 스마트폰 퀴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새론(SaeRon Han),최관순(KwanSun Choi),김동식(DongSik Kim),임종식(JongSik Lim),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용 퀴즈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데이터와 학습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측에 MySQ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tabase를 만들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와이파이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스마트폰으로 퀴즈문제를 풀 수 있으며, 교수는 스마트폰으로 학생들의 퀴즈응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mobile quiz system for Android based smart phone is implemented using Java, Android, PHP and MySQL. The Server-side MySQL Database system built for saving user data and quiz result. And a smart phone user can use the quiz system by using Wi-Fi network. Student solve the quiz using this system then Professor or instructor can confirm student"s quiz results at anytime and anywhere.

      • KCI등재

        임베디드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을 활용한 도서대출시스템 구현

        한새론(SaeRon Hann),김성환(SeongHwan Kim),최관순(KwanSun Choi),김동식(Dongsik Kim),임종식(JongSik Im),전창완(ChangWan Jeon),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3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embedded RFID middleware system based Windows CE. In order to verify the implemented system we implemented book lending administration system, as the result we confirmed smooth data flow and exact operation. With advantages of embedded systems, the proposed embedded RFID middle-ware system is cheaper than RFID enterprise middle-ware,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existing RFID middle ware products, and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which makes the system ideal for small-scaled projects.

      • KCI등재

        ATmega128을 이용한 원격 전기회로 실험실의 구현

        한새론(SaeRon Hann),김성환(SeongHwan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김동식(Dongsik Kim),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1

        A remote laboratory educa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which students can not perform real experiments in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allows students to implement actual experiments from a distant place and observe the results. The existing remote laboratory system only implements a designated lab, and in order to provide a new laboratory, it requires new arrangements for the place and elements that are proper for the lab, which is inconvenient. This problem can be a weakness in changing laboratory subjects dynamically or when making slight changes to a laboratory. Hence, this study suggests a remote electric laboratory system that requires a small space and can be controlled remotely by utilizing equipments that can be used to make variable circuit patterns, based on the ATmega128 and relay control technology, and by utilizing LabVIEW. The system enables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a circuit pattern, and it also provides the connection or circuit breaker functions by selecting the laboratory elements that will interact with the circuit along with the measurement terminal of the measuring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