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착이산화납전극에 의한 시안염 분해

        한만석,탁용석,이충영,남종우 ( Man Seok Han,Yongsug Tak,Choong Young Lee,Chong Woo Nam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3

        마드래스형 티타늄 기판위에 전착시킨 β형-이산화납 전극을 이용하여 도금폐수중의 시안염을 분해하기 위한 최적조건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안분해에 알맞는 온도 및 pH를 검토한 후, 500ppm NaCN을 전해질로 하여 시안분해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이산화납의 전착전류밀도와 시안의 분해전류밀도를 구하였으며, 이산화납 전극의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시안화수소의 발생은 온도 40℃이상의 시안염용액에서 활발했으며 pH 13이상에서는 시안화수소가 발생하지 않았다. 5A/dm²의 전류밀도로 전착시킨 이산화납전극에서 최대의 시안분해효율을 나타냈다. 0.08A/dm²의 시안분해전류밀도에서 약 70%의 시안분해 전류효율을 보였으며 4A/dm²이상에서는 약 10% 정도로 일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산화납 전착층은 약 20A/dm²의 시안분해 전류밀도에서부터 열화가 일어났으며 약 50A/dm²에서 파괴되었다. β-PbO₂electrode, which was electrodeposited on Ti madras, was prepared and used for the decomposition of cyanide in electroplating wastewater. After the investigation of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for no hydrogen cyanide evolution during the decomposition of cyanide, the optimum current densities of β-PbO₂electrodeposition and cyanide decomposition were determined in 500 ppm NaCN solution, and durability of β-PbO₂ electrode was also investigated. Hydrogen cyanide was actively generated above 40℃ and was not evolved above pH 13. β-PbO₂ electrode electodeposited at 5A/dm² showed the best cyanide decomposition efficiency. The decompostion efficiency was about 70 % at low decomposition current density (0.08 A/dm²), and it decreased gradually to about 10 % as the decomposition current density increased up to 4 A/dm². The film of β-PbO₂ electrodeposited was corrosive at 20 A/dm² and was broken at 50 A/dm².

      • KCI등재

        정적 변형률 데이터를 사용한 CNN 딥러닝 기반 PSC 교량 손상위치 추정

        한만석,신수봉,안효준,Han, Man-Seok,Shin, Soo-Bong,An, Hyo-Joon 한국BIM학회 2020 KIBIM Magazine Vol.10 No.2

        As the number of aging bridges increases,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developing effective and reliable methods for the assessment and maintenance of bridges. With the advancement in new sensing systems and data learning techniques through AI technology, there is growing interests in how to evaluate bridges using these advanced techniques. This paper presents a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based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damage existence and for estimating the damage location in PSC bridges using static strain data. Simulation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osed method with error analysis. Damage was simulated as the reduction in the stiffness of a finite element. A data learning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CNN technique as a type of deep learning. The damage status and its location were estimated using data set built through simul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strain gauges were installed in a regular interval under the PSC bridge girder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in evaluating damage, the squared error between the intact and measured strains are computed and applied for training the data model. Considering the damage occurring near the supports, the results of error analysis were compared according to whether strain data near the supports were included.

      • KCI등재

        MRI에서 화학적 이동 선택(CHESS) pulse에 의한 지방소거의 임상적 유용성

        한만석,양해술,진경수,어익수,조동헌,Han, Man-Seok,Yang, Hae-Sool,Jin, Kyung-Soo,Eo, Ik-Soo,Cho, Dong-H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4 No.6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은 물과 지방 사이에 화학적 이동 현상을 가지고 있고 지방에 의해 구조적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지방은 기본적으로 강한 신호를 가지고 있어 잘못된 인공물을 형성한다. 그래서 지방소거(fat suppression)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MRI에서 지방소거(fat suppression)방법만을 사용하여 진단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은 있지만 기본은 화학적 이동 선택 포화(chemical shift selective saturation : CHESS) pulse 방법을 이용하여 물과 지방 phantom을 가지고 지방소거(fat suppression)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CHESS pulse를 matlap 프로그램을 이용 Map pulse로 알맞게 design하고 Pre saturation을 하기 위한 pulse diagram이 가능하였고, fat phantom과 water phantom을 실험하여 지방소거 기법(fat saturation)의 효과를 볼 수가 있었으며 임상 적용 부위로 경추(C-SPINE), 요추(L-SPINE), 가습(BREAST)에 적용하여 의료영상진단에 있어 화학적 이동 선택 포화 CHESS pulse의 지방소거(fat suppression)는 유용한 방법임을 증명하였다.(충남대학병원 G.E 1.5T M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has chemical shift phenomenon between fat and water, and the phenomenon has influence on structure enclosed by fat. Strong signals emitted from fat often generate false artefact,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fat suppression techniqu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on fat suppression techniques, but using fat suppression method alone in MRI can cause difficultproblems in diagnosis. This paper aims to study a fat suppression method by Chemical Shift Selective saturation(CHESS). This research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periment on water and fat phantom with MR instruments. In the experiment, CHESS pulse was designed by utilising Matlap program, and the pulse diagram was generated for the Pre-saturation process. The experiment using water and fat phantom was applied to C-spine, L-spine and Breast, and produced successful fat suppression results. This experiment has proved that the CHESSpulse fat suppression is a very helpful technique in diagnosing medical imaging. This method is a robust and useful technique for both clinical and basic investigators..(Experiment wi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E 1.5T MR)

      • SCOPUSKCI등재

        전착이산화납전극에 의한 시안염 분해

        한만석,탁용석,이충영,남종우,Han, Man Seok,Tak, Yongsug,Lee, Choong Young,Nam, Chong Woo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3

        마드래스형 티타늄 기판위에 전착시킨 $\beta$형-이산화납 전극을 이용하여 도금폐수중의 시안염을 분해하기 위한 최적조건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안분해에 알맞는 온도 및 pH를 검토한 후 500ppm NaCN을 전해질로 하여 시안분해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이산화납의 전착전류밀도와 시안의 분해전류밀도를 구하였으며, 이산화납 전극의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시안화수소의 발생은 온도 $40^{\circ}C$이상의 시안염용액에서 활발했으며 pH 13이상에서는 시안화수소가 발생하지 않았다. $5A/dm^2$의 전류밀도로 전착시킨 이산화납전극에서 최대의 시안분해효율을 나타냈다. $0.08A/dm^2$의 시안분해전류밀도에서 약 70%의 시안분해 전류효율을 보였으며 $4A/dm^2$이상에서는 약 10% 정도로 일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산화납 전착층은 약 $20A/dm^2$의 시안분해 전류밀도에서부터 열화가 일어났으며 약 $50A/dm^2$에서 파괴되었다. ${\beta}-PbO_2$ electrode, which was electrodeposited on Ti madras, was prepared and for the decomposition of cyanide in electroplating wastewater. After the investigation of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for no hydrogen cyanide evolution during the decomposition of cyanide, the optimum current densities of ${\beta}-PbO_2$ electrodeposition and cyanide decomposition were determined in 500ppm NaCN solution, and durability of ${\beta}-PbO_2$ electrode was also investigated. Hydrogen cyanide was actively generated above $40^{\circ}C$ and was not evolved above pH 13. ${\beta}-PbO_2$ electrode electodeposited at $5A/dm^2$ showed the best cyanide decomposition efficiency The decompostion efficiency was about 70% at low decomposition current density ($0.08A/dm^2$), and it decreased gradually to about 10% as the decomposition current density increased up to $4A/dm^2$. The film of ${\beta}-PbO_2$ electrodeposited was corrosive at $20A/dm^2$ and was broken at $50A/dm^2$.

      • KCI등재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Pedagogy

        Han man-seok(한만석),Kim jun-sung(김준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2000년대 이후 양적 연구가 지녔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체육교육학 분야에서 질적연구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에서 2016년까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에서 게재된 질적 연구논문들의 연구전통 및 주제의 동향과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을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2017년 7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유형(전통)으로는 사례연구가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사용 되었으며 해석학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연구와 현장개선을 위한 실행연구가 새롭게 시도되고 있었다. 연구주제는 새로운 연구방법의 도입과 함께 과거에 비해 훨씬 다양해졌으며 학생 및 교사의 정서와 체험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관찰과 면담과 함께 문헌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유목적 표집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있었다. 자료의 진실성은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기준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연구의 참여자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The focus of this research study is the analysis of 201 qualitative research theses published in the Korean Sport Pedagogy Journal since 200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rom July 2017 to May 2018. Content analysis was the study method used to analyze traditional research strategies, subjects, and methods. Results revealed that researchers used case studies and ethnography for traditional strategi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2008 triggered the use of analytics and grounded theory approaches. Mixed-method and synthesized research methods were introduced as well. Study subjects varied, and researchers began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and instructors. Regarding research method trend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literature reviews became popular for collecting data. Generally, researchers used more than one study method. Researchers selected study participants with purpose-driven sampling to a greater degree than previously. To prove the reliability of a study, researchers typically used criteria introduced by Lincoln and Guba(1985).

      • KCI등재

        스포츠 인재 육성을 위한 방안 고찰

        한만석(Man Seok Han),최정웅(Jung Woong Choi),임용석(Yong Suk Jy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rearing methods of competent sports athletes by connecting physical education and elite sports. For this, the study analyze cases of Germany which are widely evaluated as succes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biggest problem of all is unrelated structure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elite sports. Particularly, in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lack of conveying educational meaning of competitive sports activities is the most problematic issues. And in a field of elite sports, human rights matters for athletes, lack of policies and budget are controversial issues. By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constructing selection-foster chains and supplementing policies as a key factors for solution. Finally, the study also suggests following researches about shapes of competent sports athlete who fits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후보

        자체 개발한 보조기구로 원위 요골의 골밀도 측정 자세 연구

        한만석(Man-seok Han),송재용(Jae-Yong Song),이현국(Hyun-Kuk Lee),유세종(Se-Jong Yu),김용균(Yong-Ky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원위 요골의 회전에 따른 투사 단면적의 변화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정확한 회전각을 알아보기 위한 보조기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전완부의 골밀도 측정 시 정확한 측정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세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원위요골 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기구 제작. 둘째, 원위요골의 단면 구조 및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T(Computer Tomography) 스캔을 하였다. 회전 각도는 PACS 모니터 상에서 m-view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였다. 셋째,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개의 건조 된 사체 표본요골을 DXA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다. 결 과 : CT 스캔 상 원위요골 단면의 평균 회전 각도는 각각 외회전이 80%(n=16) 7.4도, 내회전이 15%(n=3) 3.3도, 중립 위가 9%(n=1) 1.0도이었다. 20명에 대한 전체 평균 회전각은 외회전 약 5.4도이었다. 건조된 cadaver 연구에서도 각 원위 요골의 회전 각도별 골밀도 값이 서로 달랐고 회전 각도가 최저 골밀도인 경우의 평균 외회전 3.3도 이었다. 결 론 : 원위요골의 골밀도 측정 시에도 20명의 CT영상과 건조된 사체 요골표본에서의 결과와 같이 원위요골의 해부학적 구조상 대부분이 외회전 되어 있어 중립위 보다는 적절한 내회전이 필요하며 약 5도를 추천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distal radius rotation and to develop the supporting tool to measure rotation angles. Meterials and Methods : CT scanning and the measurement of BMD by DXA of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orearm were performed on 20 males. Twenty healthy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operations, anomalies, or trauma were enrolled. The CT scan was used to evaluate the cross sectional structure and the rotation angle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distal radius. The rotational angle was measured by the m-view program on the PACS monitor. The DXA was used in 20 dried radii of cadaveric specimen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five and ten degrees, respectively,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zero degrees) to evaluate the changes of BMD according to the rotation. Results : The mean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on CT was 7.4 degrees of supination in 16 cases (80%), 3.3degrees of pronation in three cases (15%), and zero degree of neutral in one case (9%), respectively.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20 people was 5.4 degrees of supination. In the cadaveric study, the BMD of the distal radiu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s. The lowest BMD was obtained at 3.3 degrees of supination. Conclusion : In the case of the measurement of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a neutral positio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distal radius is close to supination. Pronation is needed for the constant measurement of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the rotation angle measuring at the lowest BMD and about five degrees of pronation of the distal radius is recommended.

      • KCI등재

        PSC I형 교량 바닥판의 철근노출 및 부식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분석

        한만석 ( Manseok Han ),박주현 ( Ju-hyun Park ),이종한 ( Jong-han Lee ),민지영 ( Jiyoung M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PSC I형 교량을 대상으로 철근부식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PSC I형 교량은 실제 구조물을 참고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해석 시 콘크리트의 파괴와 철근의 항복을 고려하였다. 한국시설안전공단 정밀안전진단의 교량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철근노출면적률과 철근부식률로 구분하여 총 32가지의 철근부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철근노출은 교량의 바닥판 하부 인장철근이 콘크리트 피복 탈락에 의해 노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각 시나리오별 해석 결과, PSC I형 교량의 안전율과 내하율은 철근노출면적률과 철근부식률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철근부식률이 50% 이상일 경우는 모든 철근노출면적률에 대해서 안전성등급을 세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었으며, 철근부식률 57%이상인 경우는 철근노출면적률에 관계없이 모두 E등급으로 산정되었다. 철근노출면적률 2%에 대해서 상관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철근부식률이 약 55.8% 까지는 A등급, 56.9% 까지는 C등급, 58.5% 까지는 D등급, 58.5% 이상인 경우 E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후화된 교량에 대한 철근부식의 정량적인 구조적 안전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valuated the structural safety of an aging PSC I-girder bridge with rebar corrosion in the deck. The geometry and rebar of the bridge were designed based on an actual PSC I-girder bridge, and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crack of concrete and yielding of steel reba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this study defined two criteria of rebar exposure and corrosion rates to construct a total of 32 corrosion scenarios. Rebar exposure was defined as the exposure of tensile rebars in the bridge deck due to the removal of cover concre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afety and rating factors of the bridge decreased with increasing rebar exposure and corrosion rates. For the rebar corrosion rate more than 50%, the safety grade of the bridge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for all the rebar exposure rate. When the rebar corrosion rate exceeds 57%, the bridge was evaluated as E grade regardless of rebar exposure rate. A correlation analysis for a 2% of rebar exposure rate found that the bridge was evaluated as A grade up to 55.8% corrosion rate, C grade up to 56.9%, D grade up to 58.5%, and E grade for corrosion rate greater than 58.5%. This study indicates the necessity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bar corrosion for evaluating the structural safety of aging bridges.

      • 응답보정계수에 의한 변위의 신뢰성 분석

        한만석 ( Han Manseok ),신수봉 ( Shin Soobo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국내 공용중인 교량에 대해서 교량 구조물 안정성 평가의 일환으로 내하율 및 내하력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국토안전관리원(KISTEC, 2019)에 따른 공용내하력 산정 과정에는 초기해석모델과 실 교량의 응답을 비교한 응답보정계수가 사용된다. 응답보정계수는 초기해석모델을 실 교량 응답에 맞게 보정하는 값으로 사용되지만 계측 위치와 하중 조건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PSC-I 거더교의 의사정적재하시험 계측 응답을 통한 변위와 초기해석모델의 변위를 사용하여 응답보정계수를 계산하고 응답보정계수를 통해 보정한 해석모델의 변위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