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日本企業の海外直接投資と輸出入の交力との係について

        한기조 한일경상학회 2005 韓日經商論集 Vol.31 No.-

        일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동향 및 특징, 일본 기업의 해외진출거점과 수출입에 있어서의 바게닝 파워(BP)와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1971년부터 2003년 까지 연평균 23.1%로 증대되어 왔다. 특히 노동집약적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거의 완료하였으며, 최근에는 자본기술집약적산업의 해외진출이 연평균 30%대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또한 지역별로 보면, 구미와 아시아에 해외직접투자가 집중하고 있으며, 구미에서는 대형 투자가 많고 아시아에서는 대형 투자와 함께 중소 규모의 투자도 많다. 또 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비제조업 투자의 비중이 높고, 아시아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제조업 투자 비중이 높다. 이것은 일본의 제조업이 아시아와 밀접한 분업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일본 기업의 해외진출거점과 수출입에 있어서의 BP와의 관계를 검정해 보았다. 우선 해외진출거점과 수출입에 있어서의 BP 간에는 강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검출되었으며, 해외진출거점이 「有」일 때는 「無」일 때보다 BP가 수출의 경우는 3.47배, 수입의 경우는 3.11배나 강하다는 것을 검증했다. 즉, 수출입에 있어서의, 「해외진출거점 「有」의 경우는 「無」의 경우에 비해 강한 BP를 가진다」라고 하는 것이 검증되어, 해외진출거점과 BP와의 사이에는 강한 관련이 있고, 해외진출거점이 수출입에 있어서의 BP를 강하게 하는 중요한 「인자」이다라고 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상, 본고의 연구성과로서는, 우선 첫째로, 일국의 산업경쟁력에 대해서 종래의 연구가 오로지 수출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직접투자와 수출규모의 변화 혹은 비교우위구조의 변화에 주목했었다는 것에 대하여, 본고는 수출뿐만 아니라 수입에도 초점을 맞추어 또한 BP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비교우위개념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처음으로 일국의 수출입에 있어서의 BP를 측정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둘째로는, 해외진출은 수출 및 수입에 있어서의 BP에 플러스 인자로서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부터 단순히 산업구조를 고도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교우위산업을 포함하여 비교열위산업의 해외진출의 촉진과 이에 의한 글로벌 상품연쇄(GCCs)의 구축에 의해서 그들 산업의 BP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산업정책이 유효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국내산업간의 연관뿐만 아니라 GCCs를 구축하여 국내산업과 해외진출거점과의 연관을 강화시키는 산업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의 조사시점이 1999년 10월로 진부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 일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경향 및 성격에 큰 변화는 없으며, 오히려 그 성격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본고에서 도출된 결과는 아직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韓中日 化粧品産業의 比較優位 分析

        한기조 한국일본근대학회 201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29

        本稿では韓中日化粧品産業の競爭力を分析した。韓國化粧品産業は世界市場において比較劣位に置かれているが、その程度は改善しつつある。また世界市場で日本および中國との競爭が激しくなている。そして韓國化粧品産業は輸出入總額だけをみると、日中の間に挾まれたナット·クラッカ―狀態といえるが、中國および日本の市場に對してはだいたい比較劣位に置かれており、また動態的にもその程度が惡化している。こういった硏究結果を鑑み、化粧品産業の競爭力を高める爲には、化粧品産業は高付加價値、文化と技術の集約された先端總合科學を要する環境に優しい産業としてこれからも成長可能性が大きい産業であることを認識し、政府の支援、企業の努力と消費者の消費態度の變化が求められる。

      • KCI등재

        일본 ODA와 종합상사의 역할

        한기조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9

        일본 ODA는 정치 및 외교적 목적으로도 개발도상국에 공여하였으나 실제적으로 경제적인 국익을 중시하여 공여해 왔다. 또한 일본은 일본기업의 수출 및 수입, 해외진출 등과 연계하여 ODA를 개발도상국에 공여해 왔다. ODA 주관자로서 1부12성청이 ODA에 관여하고 있으며, 외무성이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조 하에 원조정책을 기획·입안하고 정책을 조정한다. 국제협력기구(JICA)가 실제적으로 기술협력, 유상자금협력, 무상자금협력 등 종합적인 원조실시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ODA 역사에서 실질적으로 일본의 종합상사가 ODA안건을 조사발굴하고 제안하고 추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 ODA의 실시과정에서 일본종합 상사의 역할과 기여에 대해 검토하여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The government of Japan has been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the ODA funds i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purposes, but has actually been granted for its economic purposes. The government of Japan has been donating the ODA funds to developing countries by linking imports, exports and overseas direct investments of Japanese firms. One cabinet office, 12 ministries and agencies are involved in ODA as a organizer of OD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rganize and adjust the ODA policy in close cooperation with relevant ministries and agencies. The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JICA) is responsible for its role as overall ODA’s implementing agency like as JICA actually provides bilateral aid in the form of Technical Cooperation, ODA Loans and Grant Aid. However substantially Sogo shosha(general trading firm) dig out ODA projects to propose to the government and has played a most important role in promoting ODA projects in the history of the Japanese ODA. But We can not find the study of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Sogo shosha associated with the conduct of the Japanese ODA.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ole of Sogo shosha in order to derive political suggest points for South Korea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ODA.

      • KCI등재

        중국 철강산업의 對한국 및 對일본 경쟁력 분석

        한기조,김영근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1

        This paper analyses the trade structure of Chinese steel industry with Korea and Japan. The results show that China gains an advantage over Korea in competitiveness of steel industry except a few items including stainless steel. But, we verify that China is still less competitive than Japan in steel industr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of China already lies over Korea's level of competitiveness, and Japan is keeping the high level of competitiveness to Korea and China. Finally, the fact is found from this study, that Korea is not a nutcracker any more between China and Japan, but China is now the nutcracker between Korea and Japan. Hence, three strategies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in korea's steel industry and helping it catch up Chinese and Japanese steel industry are as follows: The first strategy is solving the disproportion among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increasing efficiency in production through structural reform like as M&As between firms. The second is developing new technology in production process and more high value-added products. Finally the third is scaling up the size of steel-distribution industry and improving its service. 본고는 중국을 중심으로 중국, 한국 및 일본을 대상으로 하여 철강산업의 무역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철강산업은 한국에 대해서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경쟁적이거나 경쟁력 우위에 있다. 그러나 일본에 대해서는 여전히 경쟁력 열위에 놓여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수준은 이미 한국 철강산업을 따라잡았으며, 일본 철강산업은 여전히 한국과 중국 철강산업에 비하여 높은 경쟁력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한국이 일본과 중국 사이에 끼인 넛크랙커(nutcracker)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중국이 對한 경쟁력 우위와 對일 경쟁력 열위 사이에 끼인 넛크랙커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한국 철강산업이 중국과 일본의 철강산업을 따라잡고 경쟁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M&A 등의 구조조정을 통한 생산체제의 효율성 향상, 둘째, 공정기술 혁신과 제품의 고부가가치와 차별화, 셋째, M&A 등의 구조조정을 통한 국내 철강유통산업의 대형화와 서비스 고도화 등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韓国自動車部品産業の質的貿易競争力の研究 - 日本との貿易を中心に-

        한기조,김영근 한일경상학회 2018 韓日經商論集 Vol.80 No.-

        This study analyze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of Korea to Japan in auto parts industry for the years, 2000-2015.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Korea was lower than Japan in engine, body, and chassis for the periods. While there were many of lower competitive items in parts and accessories, the number of items were getting decreased after year 2005. In spite of the consistent trade deficit to Japan in this industry,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Korea had shown the continuous improvement, relatively to other industries. Second, this qualitative analysis of trade competitiveness shows that both proportions of HIIT and VIITH were not so big in analysis of IIT based on the trade amount and the number of trade items for the periods. This result implies that Korea had mainly exported low quality items to, and imported high quality items from Japan. However, since VIITL has been shrinking but VIITH has been increasing, it shows that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has been improving little by little in this industr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auto parts industry has a huge trade deficit to Japan, the concentration in exports and imports is high, and particularly high in imports. That is, it shows a serious bias of gear boxes, engine and engine parts in import. Also, Korea had mainly exported low quality items and imported high quality items. Therefore, the efforts to address the abnormal biased trade structure of some items in trade with Japan, and the government suppor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arbox, engine and engine parts are required. In addition, government-level support fo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through continuous R&D and diversification of export and export markets would be very helpful to solve those problems.

      • KCI등재

        中国自動車部品産業の対日質的貿易競争力の研究

        한기조,김영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4

        This study analyze and compare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of China with Japan relative to the auto parts industry from 2000 to 2015.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na has continued to show a trade deficit with Japan in the auto parts industry, but it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since peaking in 2010. Secon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engine and its parts were comparatively inferior to the Japanese, the chassis and the body were switched into comparative advantage over the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ddition, the competitiveness of parts and accessories for automobile have been improved over the study period since 2010. Finally, on the basis of trade value,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rade competitiveness shows that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auto parts industry has not been improved significantly. VIITH’s proportion in IIT (total intra-industry trade) has greatly increased, but VIITH’s proportion is still smaller than VIITL and HIIT, VIITL is slightly increased, and HIIT’s propotion is greatly reduced. Howev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item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of China’s auto parts industry has greatly improved, since the proportion of VIITH in IIT has slightly increased, but it is still much smaller than that of VIITL and HIIT, and the proportion of VIITL has grea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HIIT has greatly expanded, In other words, China mainly exports low quality and competitive items to Japan, but it shows that it exports more competitive items than low quality items in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本稿は中国自動車部品産業を対象に2000-15年間日本との貿易における一般的な貿易競争力の分析と共に質的な貿易競争力の分析を行い、次のような結果が得られた。 第一に、中国自動車部品産業は日本との貿易において貿易赤字が続いてきたが、2010年をピックにその後大きく縮小した。 第二に、エンジンとその部分品は依然として比較劣位におかれていたが、シャシと車体は比較劣位から優位に転じて貿易競争力が強くなった。そして自動車用部分品及び附属品は2010年以後比較劣位から競合的になり、貿易競争力の改善が確認された。 最後に、質的な貿易競争力であるが、貿易額基準では、VIITHのシェアは大きく増加したが、依然としてVIITLとHIITのシェアより小さく、VIITLのシェアが若干増加し、HIITのシェアが大きく縮小したので、中国自動車部品産業の質的な競争力はそれほど大きく改善されてこなかった。ところが、品目数基準では、同期間にVIITHのシェアはやや増加したが、依然としてVIITLとHIITのシェアよりずっと小さく、VIITLのシェアが大幅に縮小し、HIITのシェアが大きく拡大したので、中国自動車部品産業の質的な競争力は大きく改善してきたと言える。即ち中国自動車部品産業は、日本に対して貿易額基準では、依然として劣位品質の品目および競合的なものを輸出し、優位品質のものを輸入してきたが、品目数基準では、劣位品質より競合的なものをより多く輸出し、優位品質の品目を輸入してきたことが確認された。

      • KCI등재

        国IT産業の日本に対する質的貿易競争力の研究

        한기조,張天笑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6

        This study analyze and compare the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of China with Japan relative to the Information Technology(IT) Industry from 2007 to 2017.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na has continued to show a trade deficit with Japan except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dustry. Second, according to a general comparative advantage analysis, the IT industry has remained relatively inferior in trade with Japan. In particular, items in broadcasting apparatus and parts, namely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flat panel displays, semiconductors, electron tubes, flat display and sensors, have been relatively inferior and have deteriorated. And the computers of the information devices were competitive, the c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s remained superio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hifted from competitive to comparative advantage. Finally, analysis of qualitative trade competitivenes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import and export structures of superior and inferior quality, during the study period, China has mainly exported low-quality items to Japan, but it was found that exports of competitive and high-quality items have also increased in IT industry. Next, the analysis results by the product quality index show that the Chinese IT items exported to Japan have only slightly improved quality. However, analysis results by HS 6-digits classification show that the quality of computer of inform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electro mechanical components of broadcasting apparatus,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flat pannel displays, electrontubes, flat display and sensors has been improved, and the quality has been significantly deteriorated in passive components of broadcast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s. 本稿では中国の主な輸出入国の一つである日本を選定して2007-17年間を研究期間と設定し、中国IT産業の一般的な貿易競争力および質的な貿易競争力の変化を分析した。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第一に、中国IT産業は2007-17年間日本との貿易において輸出の規模が大きいなのは半導体、無線通信機器であるが、半導体では大きな赤字を出し、無線通信機器だけが黒字を出してきた。そしてほかのものでもすべて大幅な赤字を出してきたが、赤字は縮小傾向にある。。 第二に、一般的な比較優位の分析であるが、日本との貿易においては依然として比較劣位に置かれてきた。特に放送機器と部品、すなわち平板ディスプレイ製造用装備、半導体、電子管、そして平板ディスプレイ及びセンサーにおける品目が比較劣位におかれ、そのほども悪化してきた。そして情報機器のコンピューターは競合的で、有線通信機器は依然として優位を保ち、無線通信機器は競合的な状態から比較優位に転じた。 最後に、質的な貿易競争力の分析であるが、まず、優・劣位品質の品目数でみた結果、日本との貿易においては依然として劣位品質のものを半分以上を輸出してきたとはいえ、かなりの優位品質のものと競争的な品質のものが日本に輸出されてき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次に、品質指数で分析した結果、IT産業の日本との貿易においてごく僅かしか品質の改善が行われて来なかった。だが、小分類でみると、コンピューター、通信機器、放送機器の器具部品、平板ディスプレイ製造用装備、電子管、平板ディスプレイ及びセンサーの品質は改善されてきた。但し放送機器の手動部品と半導体においては大きく品質の悪化が進行されてきた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

      • KCI등재

        韓国鉄鋼産業の対日貿易赤字問題

        한기조,정병무 한일경상학회 2013 韓日經商論集 Vol.61 No.-

        한국은 산업의 고도화나 성장에서 불가결한 소재부품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2001년 ‘부품소재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게다가 관련 메이커를 육성하기 위해서 「부품소재전문기업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여 제도적인 지원책을 추진하는 등 소재부품기술의 개발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소재부품기업을 제외하고 많은 기업이 중저급 기술을 중심으로 한 개발에 머무르고 있어, 동(同)산업에서의 기술의 융․복합화, 대형화 및 시스템화가 국제적인 경쟁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아직도 산업화가 고도화하고, 수출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대일본수입이 증가하는 ‘무역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 한국의 대일무역적자는 2000년 약 114억 달러에서 2010년 361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또한 한국 철강산업도 대일무역에서 지속적으로 방대한 적자를 내고 있는데, 2010년도에도 약 75억 달러의 대일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 금액은 한국의 대일무역적자 총액의 약 21%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한국정부의 소재부품산업에 대한 각종 지원이나 기업 스스로의 연구개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일무역적자는 증가해 오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철강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대일무역적자의 원인을 한일철강산업의 무역구조 및 경쟁력 분석을 통해서 밝히고, 그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