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고승비 음기의 문도 검토 -경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기문 ( Han¸ Ki-moon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4 No.-

        본고는 고려 고승의 문도 형성과 성격을 이해하고자 고승비 음기를 살폈다. 선봉사대각국사비 음기, 운문사원응국사비 음기, 중수용문사기 음기, 인각사보각국존비 음기 등 4 사례의 문도 직명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직명의 문도를 확인하였고, 크게 법손[사법제자, 부법제덕], 집사제자, 세속제자[수법유경사대부] 등의 부류가 있었다. 다양한 직명의 유래를 추적한 바, 고승의 강회, 담선 활동 및 승정제도, 승록사, 결사 등과 연관하여 그 고승의 문도가 형성되었다. 문도 중에서도 법손주지가 수법제자의 학풍을 유지하면서 문도 형성에서 중심이었다. 집사제자 문도 형성은 고승의 승정 관여와 연관되었다. 승정제도가 성립된 靖宗代를 기점으로 이러한 문도의 분열 이동이 많아지면서 사원 소속이 명시되는 등 종파분쟁의 조짐도 보였다. 승단이 확장되면서 결사 운동과 관련하여 세속제자도 문도로 기재되었다.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master monks` students this thesis studies their back-epitaph in Goryeo. By exploring the students` official names there were many kinds which were dharma-son, manager-pupil, general student. With chasing the origin of the status names the disciples were related to high monks` activities and Buddhist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Among the followers the dharma-son chief was the dharma-keeping disciple and core-student. Manager-pupils were combined with the masters` intervention of Buddhist administration. After Jeongjong(靖宗) who constructed the priest administration the followers divided and sect-conflicts showed. Enlarging sect-group secular persons were registered on the learning disciples with the relation of association move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hkm@knu.ac.kr)

      • KCI등재

        고려시대 사원의 출판 인쇄 배경과 성격

        한기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paper sees the background of temple's prosperous publishing and printing. We examine the figuration and character of the sects' acting on the Buddhist present data. Jeongjong made the base to spread the sutra and educate the scholar monk through establishing Bulgyeongmyeongbo(佛名經寶) and Gwanghackbo(廣學寶) in big temples. Hyeonhwasa and Heungwangsa built in Hyeonjong and Munjong made a key role to press the Buddhist books including Tripitaka. Teaching the scholar monks was by the great masters' lecture meeting(講會). They wanted the issue of the text sutras and commentaries(章疏). The speech records were published after the students arranged and copied. To prepare the priest convention and the monk preexamination each sect had to foster many learned-monks. So many sutras and commentaries were pressed. From the middle of Goryeo the associational movement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monk test and the Buddhist sects tried to find new ideas and increased the secular learneds. People's demand of the writings was strengthened. Through the support of priests and commoners many temples issued Hwaeumgyeong(華嚴經), Yeonhwagyeong(蓮華經) and Geumgangbanyabaramilgyeong(金剛般若波羅密經) demanded. As the strong tradition of commentaries Yugajong(瑜伽宗) and Hwaeumjong(華嚴宗) had the press of them very much. In the late Goryeo sects' pupil groups brought out the abstracts and selections which emphasized their tenets in the resistance of dogmatization of school ethos. In Won's Intervention administrative authorities often published but temple-monks initiated. Sometimes potable small-letter books were printed. Authors, correctors and sculptors of Buddhist books made in temples were priests. In calligraphers were bureaucrats and devotees. 사원에서 출판 인쇄가 성행한 배경을 정리하고, 현존하는 불교전적 자료를 중심으로 종파별로 사원의 출판 양상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국가에서는 정종대에 경전 유포와 學法者 양성을 위해 대사원에 佛名經寶와 廣學寶를 설치하여 기반적 지원을 하였다. 현종대와 문종대 각각 성립된 玄化寺, 興王寺는 대장경을 위시한 불교 전적 간행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학법자 교육은 고승의 講會를 통하였는데 강의하는 경전은 물론 그 풀이인 章疏의 수요도 있었다. 講說은 문도에 의해 寫本으로 정리되다가 開板되었다. 승려대회, 그리고 僧科 예비시험, 승과 응시를 위해 각 종단에서는 많은 학법자를 양성하였고, 이를 위해 경전과 장소의 출판이 많았다. 고려 중기부터 승과와 僧團의 모순에 따른 結社運動은 새로운 사상을 모색하고 세속 학법자를 늘어나게 하여 저술에 대한 세속인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승려나 세속의 지원으로 경전 수요가 많은 화엄경, 연화경, 금강반야경 등은 여러 사원에서 다수 출판하였다. 유가종과 화엄종은 章疏의 전통이 강하여 그것을 집중 간행하였다. 고려후기에는 교학풍의 교조화에 대한 반발로 각 종단 문파별로 宗旨를 강조한 요약, 발췌 등의 저술을 간행하였다. 원간섭기는 승려가 주관은 하나 행정관청이 출판한 사례도 있었다. 아울러 휴대용 소자본 경전도 출판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원 출판 전적의 저자, 교감자, 刻者는 승려들이었다. 書者는 세속 관원과 居士들이 참여한 예도 있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화엄종華嚴宗과 용수사龍壽寺

        한기문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 KCI등재

        고려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천과 배경

        한기문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I examine this thesis on grand masters` inscription and Godalsa`s site excavation result. From 860s to 890s Godalsa kept Hyeoimogsan school`s base. In Kyeongmyeong King Simheui moved its base to Kimhai Bonglimsa. In Goryeo Chanyu rebuilt Godal Temple. Also Gwangjong decided this temple as Bonglimsan school`s base. It had the traits of Zen temple`s structure with Sangwon. When Euicheon`s establishing Cheontaijong, Godalsa became one of 5 Cheontai schools. Because Chanyu`s Cheontai thinking was succeeded by his pupils. When making 6 Cheontaidarma`s factions after Euicheon`s death, Godalsa was its group. In this time its force was the best. When Guktong Jeongo reassociated 6 Cheontai mountains on the base of Gukcheongsa in Chungsuk King, Godalsa kept Cheontaijong`s ethos. 신라말에서 고려말까지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화와 그 배경을 고승비문과 고달사지 발굴결과를 통해 고찰하였다. 860년대 경문왕이 玄昱의 하산소로 지정한 때를 기점으로 혜목산문[고달사 종풍]은 고달사를 본거로 890년대까지 계승자 심희(審希, 855~923)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 후 경명왕대 심희가 국사례를 받고 하산한 김해 봉림사로[봉림산문] 본거를 옮겼다. 고려에서 고달사 재건은 심희의 계승자이자 이 절에서 출가한 璨幽에 의해 이루어졌다. 찬유의 교선일치 사상경향이 광종의 국왕권 강화와 연결되자 고달사는 찬유의 하산소로 되고 봉림산문[혜목산문]의 본거도 되었다. 고달사지는 법당, 승탑, 비, 影堂 등으로 이루어진 上院을 통하여 선종사원 구조의 특성을 보였다. 고려중기 義天이 숙종의 국왕권을 강화하는 배경으로 천태종을 창립할 때 고달사는 천태 五門[5개 소 사원]의 일원으로 합류하였다. 고달사를 재건한 찬유의 천태사상경향이 문도에게 계승되었기 때문이다. 고달사는 국내 산파 계열로 보아 봉림산문[혜목산문]으로서 천태종에 합류하였다. 의천 사후 九山門계열에서 直投한 翼宗계열이 주도한 남숭산문[선봉사]이 으뜸이 된 ‘天台六法眷’ 형성시에도 고달사는 그 일원이었다. 건물 유적과 고급청자 유물로 볼 때 寺勢가 절정이었다. 원간섭기 충렬왕이 기존 불교계를 재편하기 위해 천태종을 지원하였다. 충숙왕대 국통이 된 丁午가 승정권을 가지고 國淸寺를 ‘六山根本’으로 재건하고 ‘天台六山’을 다시 결집하였다. 그 일원으로서 고달사는 14세기 후반에도 천태종 소속과 종풍을 유지하였다.

      • KCI등재

        朝鮮時代 尙州 邑城의 位相과 構造

        한기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상주 읍성 관련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그 연혁과 지방제도상 위상, 그리고 읍성 내 제 公署의 내력과 배치를 정리하여 조선시기 상주의 도시 위상과 그 기능을 고찰하였다. 상주 읍성은 1380년 왜구 침입 후 1381년에 쌓기 시작하여 1385년에 완성하였다. 이 이후 읍성이 임난 직전인 1591년에 왜적에 대한 대비로 증축되었으며 壕塹시설도 하였다. 1912년 일제의 도시화 계획으로 철거되었다. 조선전기 경상도에 축성된 읍성은 29개처가 있었는데, 둘레로 보아 그 중 상주 읍성이 좌도 영성, 우도 영성, 慶州 읍성, 晉州 읍성 다음으로 큰 규모였다. 이는 경상도에서 경주, 진주, 상주가 고려이래 계수관급인 대읍의 위상을 가진 것을 보여 준다. 지방제도의 연변에 따른 邑格의 변화에 따라 보면, 태종 8년부터 尙州가 경상감사의 本營이 된 것으로 정리된다. 상주가 본영의 지위를 상실한 것은 선조 26년 성주로 감영이 이동하면서이다. 그러나 고려이래 조선 초부터 세조 때까지 계수관이라는 대읍의 위상을 유지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읍성의 사대문은 사방에서 상주 읍성에 이르는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남문과 북문은 통행량이 많아 守門廳과 守廳이 있었다. 정상우 제작 「상주주성도」에는 남문과 서문, 북문과 서문 사이에 각각 문루 없는 문이 있는데, 이는 四大門을 보완한 통행문으로 추측된다. 읍성내의 시설은 公署 시설이 중심이었다. 상주 읍성이 대읍임을 보여 주는 시설은 전패를 모신 객사, 주창, 대동창 등의 창고와 풍영루, 응신루, 진남루 등 각종 樓臺이다. 조선전기 객사는 감사의 延命禮, 望闕禮, 望賀禮, 望哭禮, 誕日箋文禮 등 의례가 행하여진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각종 창고는 계수관 또는 행영으로서 賑恤, 進上品 등의 보관을 위한 것으로 중요하였다. 각 종 누 역시 매월하는 朔膳 進上 監封을 위시한 다양한 進上 監封 장소였고, 대내외적 使臣을 접빈하는 곳으로서 상주 위상에 맞는 기능을 하였다. 조선 후기에 감사의 유영 기능은 없어졌지만, 진상품 집결지로서, 대내외 사신관이 到界하여 머무는 곳으로서 의미는 유지하였기에 여러 시설이 갖추어졌고 城內圖도 작성되었다. We explore the change and status and structure of Sangju Town-wall on data. The town-wall was built because of Japanese pirate in 1381. It was destructured for urban plan in 1912 of Japan reign. From late Koryo Sangju was big town Kaesugwan(界首官). Between Taejong 8 to Seonjo 26 it had been Kyongsanggamyeong(慶尙監營). In the wall are Kaeksa(客舍) for Yeonmyongryae(延命禮) of province governor ritual, storehouses of Juchang(州倉), Daedongchang(大同倉) for relief and offer-upping goods, and Pungyeongroo(風詠樓), Eungsinroo(凝神樓), Jinnamroo(鎭南樓) as floorstand(樓臺) for welcoming. These show the prestige as grand town of Sangju. In late Choseon Sangju kept goods-collecting and guest-welcoming. On Sanjujuseongdo(尙州州城圖), Sangjueupseongdo(尙州邑城圖), Yeojidoseo(輿地圖書), 1923 picture are Sangju’s official buildings and town-wall sketch in Choseon.

      • KCI등재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한기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I examine the historical resources for the institutionalized of Jaboksa in Goryeo. On the examination Jaboksa could be the downtown temple in the administration units with officical center(治所). It did the national rituals and the integration of the towners with Buddhist ideology, the governmental and the ecclesiastical. The events were showed in Gwangjong. Hwyunjong diffused it on the basis of the local elites. Jaboksa concept was established on the influence of the offical temples which did the king’s memorandum and happiness and the Buddhistization in provinces of Dang. At the later, the official index of Jaboksa will be the temples for Moonjong’s Fortune in Goryeo. Goryeo had them in all the local units with the difference of Dang. Yeundeunghwoi(燃燈會) and Gyunghwaeng(經行) as the national Buddhist rituals were widespread. The blessing of the present king and Inwanghwoi(仁王會) were done at Gyesoogwans(界首官) and provinces(州・府). To the addition of these, Jaboksa performed the roles of inn and market and majesty of Buddhist city. It prayed the prosperity and coherence of the area on Buddhist worldview. So the local power elites as the initiative of town office lead it. Also official leaders as the agent of king participated. I studied the feature of Goryeo`s Jaboksas to the reference of 『Shinjeung dongkookyeu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which reflected 『Taejongshilrok』(太宗實錄). Jaboksa was in Gyesoogwan, Joohwyun(主縣), Sokhwyun(屬縣), Boogok(部曲). Gyesoogwan and Joohwyun had many. The principle was one- on-one-town. Therefore it helpeted the governmentor’s and local leader’s not doing. In the end of Goryeo, Anti-Buddhist officials destructed Jaboksa. Taejong proclaimed the edicts for the shrinking of Jaboksa at the Temple-Eradication(寺社革去) time. Jaboksa was extincted in Saejong. It was changed as hwyangsadang(鄕社堂), gaeksa(客舍), hwyanghak(鄕學), yeukwon(驛院). 『Shinjeungdong- kookyeujiseungram』 shows its transformation as the fuction of yeukwon. 고려시대 자복사가 제도적으로 존재하였음을 사료에 나타난 사례를 가지고 증명하려 하였다. 사례를 검토한 결과, 자복사는 각 행정단위의 성립시부터 치소와 더불어 읍내에 마련된 사원이 자복사로 지칭되었다. 그것은 국가의례의 실현 장소로서 읍민을 불교 이념으로 결집하는 기능을 하여, 치소와 더불어 행정・교권적 지배의 이원적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는 광종대부터 나타나고, 현종대 각 지역 호장층이 중심이 되어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자복사 개념은 唐 玄宗代 81州에 설치된 龍興寺・開元寺 등이 國忌와 祝壽 행사의 장소와 각 주 불교 교화의 거점으로 한 官寺제도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을 것이다. 고려는 늦어도 문종대 국왕축수 도량을 공식적인 지표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당대 관사와는 다른 점은 각 행정단위 모두에 자복사가 지정되었다는 점이다. 국가불교의례의 경우는 연등회와 경행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었고, 국왕축수, 인왕회는 계수관과 주부단위까지였다. 자복사의 기능은 이외에도 숙박, 시장, 불교도시로서의 장엄 등 다양하였다. 한 지역의 안녕을 기원하여 지역을 불교로 결속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그러므로 읍사를 구성한 호장층이 주도하고 파견된 수령도 함께하였다. 고려시기 자복사의 존재양상은 『태종실록』에 나타난 읍내 자복사의 명찰로 대체한 88사 명단이 있는 행정단위를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계수관, 주현, 속현, 부곡제 영역까지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수관과 주현에는 다수의 사원이 자복사로 거론되었다. 그 이하 행정단위는 一邑 一資福寺가 지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곡제 지역까지 광범한 자복사의 존재는 다양・다기한 지역편제의 성격상 수령과 속관, 그리고 향리들만으로는 통치할 수 없는 점을 그것이 보완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척불론자가 수령으로 간 지역은 고려말부터 읍내 자복사를 철거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태종대 사사혁거시에 읍내 자복사를 위축시키기 위해 여러 조치를 시행하였다. 세종대에는 거의 사라져서 향사당, 객사, 향학, 역원 등으로 바뀌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기능이 역원 등으로 변화되어 그 자취를 남기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태조대 ‘대구 달성’지역 불교계의 동향

        한기문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2

        Goryeo Taejo had many relations with virtuosos associated with provincial power. It was in alliance with Shila in 924. It was connected to Zen monks of Yeongcheon, Jaeam, Kimhae, Wonju and Yeocheon in 930. After the Unification, there were not only Zen monks but also Hwaeum priests. Around Taejo, monks of Sininjong and Cheontaehak try. Specifically Taejo does not has the network with Beopsangjong virtuosos. In Daegu Dalseong Yijae independent since 898 built Deungru in 908. On Choi Chi-Won’s writings he as ruler believes Mireug Buddha and has the companionship with Donghwasa and Heungryunsa of Beopsangjong. The local power was on the base of not Seonjong but Mireug Belief of Beopsangjong. In Gongsan Battle with Gieonhwueon Taejo defeats for no support of Donghwasa. This temple was founded by prince Simji of King Heondeok in Kim-line. Gieonhwueon replaced Shila’s Park-line King Gyeongae with Kim-line King Gyeongsun. Taejo in alliance with Park-line Kings has not correlated with Donghwasa. So Yijae group in Daegu did not aid Taejo.

      • KCI등재

        高麗時代 寺院 轉藏儀禮의 成立과 性格

        한기문 한국중세사학회 2013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5

        The partial-sutra-reading-ritual was formed by the necessity of people’s belief system to make and press and preserve Buddhist Sutras. With royal-shrine-temple’s making, pressing and supplying sutras,the reading-ceremony was fashioned. Constructing sutra-seminary(藏經道場) as national-Buddhist-ceremony, sutra-belief was developed as temple’s partial-sutra-reading-ritual. Euicheon(義天), Hejo(慧照)introducted sutra-chakra(輪大藏) in King Munjong. Thereafter the belief and charity of the partial-sutra-reading-ritual was enlarged more widely. For Yuan’s intervention the ritual was as the official event for Yuan’s embassadors and as blessing Yuan royal family. The nobles used it for death-day memory and birth-benediction with their having the partial-reading mechanism in temples. The ritual-contents had the virtuso-reverence and sutra-recitation. For the ritual, Buddhist majesty and instruments were necessary. For reciting monks participated. It was continued during 6 or 10days. They read partially in day. The monks taught sutra in night. Min Ji(閔漬) and Yi Sek(李穡) said that the ritual was generalized through mediation between sutra-belief and True-I-Happiness(成佛 追福).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it was the major Buddhist event with Suryukjae(水陸齋). It wasted exorbitant finance. King Sejong prohibited the ritual. Additionally sutras was given to Japan politically. It was withered.

      • KCI등재

        고려시대 화엄종<SUP>華嚴宗</SUP>과 용수사<SUP>龍壽寺</SUP>

        한기문(韓基汶)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 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 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