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자동차시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귀자,윤형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6 No.2

        감성이란 누구나 그 의미를 느끼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래에 들어와서 소비시장에서의 감성이라는 단어 언급의 빈도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그 만큼 감성화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감성지향적 소비자는 연령, 성별, 교육 건강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감성에 맞는 제품을 소비하게 된다. 이때에 감성은 즉각적이고 반사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감성을 정량화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즉 감성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무의식적인 감정의 동요된 상태라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인간이 가진 감성이나 물리적 디자인 요소를 번역하고 실현하는 기술의 시도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감성공학이라고 할 수 있다.본 노문에서는 생활 필수품으로의 자동차를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자동차의 외장 개념에 종속되어진 자동차 시트 디자인이 아닌 독립적으로 분리된 제품 디자인으로 시각화하여, 자동차 시트가 가져야할 감성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다음 과정으로는 그 이미지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감성요인을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된 주요 요인을 축으로 형성시켜 그 변인들을 포지셔닝(Positioning)해 봄으로써 소비자가 진정으로 추구하는 자동차 시트 이미지를 정량화하고 객관화하였다.이상과 같이 객관화되고 정량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요인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획일적이고 규칙적인 디자인보다는 고급스러우면서도 편안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동적이다」또한 제 2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는데 이것은 고급스러우면서도 패턴에서 느껴지는 운동감을 중요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자동차 시트 디자인에 대한 감성공학은 마케팅에 초점을 두어 그 제품이 소비자의 기호에 얼마나 만족시켜줄 것인지에 맞추어져 있다. 즉 소비자의 감성에 꼭 맞는 제품을 만드는 것은 감성공학의 적용성을 시도하는 것으로 단순히 제품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 기능미 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복을 중요시한 인간 중심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미와 감성미의 균등한 조화만이 감성의 시대에 감성 중시형의 제품개발로서 소비시장을 제패하는 키워드인 것이다. A sensibility is the thing which one is difficult to illustrate although everyone is felt on the meaning. Nevertheless the numbers of being called as sensibility are increased recently in a real market. The reason to cause this phenomenon is that a consumer is sensed as much as this. The consumers to pursue the sensibility are impressed on personal factors i. e. age, sex, education etc. and cultural factors so that consume the good which is optimized on each individual. However it is impossible to quantify and estimate the sensibility because it occurs on immediately and reflectively. Therefore the sensibility is a state which occurs on the internal condition which is equipped to fluctuate sensibility unconsciously so that sensible engineering can be born when sensibility is expressed as the quantity based on the design of the physical and art skill. On this study automobile fabric is regarded as design which is independent on the automobile although it has been regarded as a subordinate design on a automobile. Therefore the independent sensibility is produced by research consumer`s taste. The next procedure is the step which analyzed the sensible factors of the each images. In addition the sensible factors is divided to the axes which have the close images to the individual sensibility. Thus it can quantify and objectify the sensibility which a consumers pursue really. Conclusionally the result of above analysis shows that a consumers are inclined to prefer a uniform and systematic design to a noble and comfortable thing. Additionally the image of `dynamic` is another important result which is considered on the `movement` in a noble and comfortable design. The sensibility engineering is focus on the consumer`s taste for the marketing. Therefore manufacturing a goods which are considered on the individual`s taste is applied to the sensibility engineering and is involved in not only the its practice but also the concept of happiness for human. The combination of its practical and emotional design is a keyword which dominate on a market by developing this goods.

      • KCI등재

        보라색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색의 연상에 관한 연구

        한귀자(Gwi Ja H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색은 가장 강력한 시각적인 메시지다. 따라서 색채가 제품에 적용되었을 때 소비자는 즉각적으로 ``고급스럽다``, ``비싸 보인다.``, ``아름답다``, ``싸구려 같다.`` 등의 평가언어를 쏟아낸다. 최근 기술 평준화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제품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색채가 제품구매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구매행동패턴이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단순히 색채만으로 구매패턴을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색의 연상과 이미지는 사회 문화에 따라 다양하고 다르게 해석 되므로 색채에 대한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만이 동시대의 문화를 공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지 언어에 따른 제품의 색채기획과 마케팅 효과의 극대화에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 색채가 추구하는 ``고급스러움`` 이미지 언어에서 연상되는 색채에 중점을 두고 정량적인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의 결과 고급스러움의 이미지를 주는 색의 연상은 검정과 짙은 보라색이었다. 무채색인 검정을 제외하고 유채색인 보라색으로 한정하여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2차 설문에서는 선호색, 비선호색과 보라색의 연상과 이미지, 색의 연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호컬러와 비선호 컬러에서 파랑, 빨강, 검정, 하양에 대한 선호가 나타나는데 이는 제품색채디자인의 전형컬러라 할 수 있다. 또한 보라는 선호, 비선호의 중립적인 형태를 보인다. 2. 보라색에 대한 단어 이미지는 구체적 연상으로 보라돌이, 포도, 가지, 꽃 등으로 나타나며 추상적 연상으로 고급스러움, 비정상, 개성 있는 등의 긍정, 중간, 부정의 의미 등으로 나타났다. 3.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보라색의 연관성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평가 하였다. 4. 보라색에 대한 연상 이미지는 신비스러운, 고급스러운 등의 이미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자제품에서는 Mp3, 패션, 화장품 분야는 다양하게 보라색의 제품군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급스러움을 주는 보라색상의 영역으로는 KS톤 시스템으로 분류한 결과 1차 설문 결과의 짙은 보라색 영역이 아닌 보라, 밝은 보라, 연보라 군의 명색조군을 고급스러움을 주는 보라색의 영역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급스러움을 주는 보라색과 어울리는 소재는 섬유, 에나멜, 가죽 등으로 응답하였다. Color is the most powerful visual medium, and it is a human emotional corporate body. Using color with applied product, the consumers estimate the assessment directly such as expensive, exorbitant, fabulous, or cheapie. The corporate is focused on the emotional product and development through the high technical standardization, especially the product design contains the more increasing color proportion as the main factor which helps the purchasing manufactures. Nowadays, many consumers represents the more complex and various purchasing behavior, it is too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purchasing pattern from the simple color mix. Color association and image is interpreted in the different ways depends on the culture and sociality, so it can be the same cultural sharing on the understanding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in the planning of the product color and maximize marketing effectiveness through the Color Association and Luxurious Image This thesis shows a quantitative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on the associated luxurious image language. The first questionnaire is resulted in black and purple colors are the associated luxurious image. On the second questionnaire is represented only chromatic color, purple is used exclusive the achromatic color, black, also it is examined the likeness or unlikeness to the purple color association and image. The preference of color is blue, red, black, and white, and its color can be the product design is the main typical stream color. Moreover, purple is shown the neutral to the preference of color. On the concrete association of the purple image is represented the Boradori, grape, eggplant, or flower, and luxurious, abnormal, idiomatic on the abstract interpretation. The relevance with the purple is related the female to male, the youth to the old as the luxurious image. The association of the purple image is the high proportion such as mysterious, luxurious image. The manufactures made by purple are widely used MP3 as the electric product, fashion, cosmetic field. The domain of the luxurious as the luxurious including bright purple, and pale purple, not the deep purple domain to the first questionnaire in the KS tone system classification. It become the good match up the textile, enamel, leather material as the luxurious image.

      • KCI등재

        밀키트 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귀자 ( Gwija Han ),최서연 ( Seoyeon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가정간편식의 수요로 밀키트(meal kit) 시장은 2017년도에 비하여 약 3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밀키트 구매와 브랜드별 선택 특성을 분석하여 제품의 소비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온라인 설문 조사 후 구매 경험자 482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과 다중응답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밀키트는 41세 이상과 미혼의 구매 경험 횟수가 많았고, 인터넷, SNS, 블로그와 마트 이용 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와 학생은 백화점, 마트, 편의점, 회사원과 자영업자는 온라인 유통업체를 이용하여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사용의 구매가 가장 많았다. 구매 비용은 1-3만원이 가장 많았으나 51세 이상과 자영업자의 경우 3만원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구매 이유는 브랜드와 관계없이 조리과정의 편리성과 시간 절약으로 나타났고, 맛과 브랜드 신뢰성에서 구매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식품 유형인 밀키트에 대하여 소비자의 구매 특성을 파악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제품 요구도 및 구매 의향 파악이 부족하였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제시한다. As the increasing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dual-income households and the recent COVID-19 outbreak, the meal kit market has increased about three times compared to 201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products by analyzing th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and purchase of a meal kit product. After the online survey, cross-analysis and multiple-response analysis were conducted on 482 people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a meal ki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urchases of milk kits by those over 41 and unmarried people was high, and information was obtained when using the internet, SNS, blogs and marts. It was found that house wives and students purchase from department stores, supermarkets, convenience stores, and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using online retailers, with the most purchases for meals. The largest purchase cost was 130,000 Won, but it was found to be more than 30,000 Won for those over 51 and the self-employed. The main purchase reason was found to be convenience and time saving of the cooking process regardless of brand,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ing a meal kit by taste and brand reli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for meal kit, a new food type that is rapidly growing in recent years. However, it suggests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consumers’ product demands and purchase intentions is a limitation.

      • KCI등재

        보라색 적용제품과 이미지 관련성 평가연구

        한귀자(Gwi Ja H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21세기 제품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들은 넘쳐나는 제품속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의 시대는 가고, 현재는 강력한 매력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소비자 인식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소비자 인식이라 함은 소비자가 물건을 대할 때 느끼는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색채를 통한 시각적인 메시지는 강력한 이미지를 이끌어 낸다. 색채는 물리적인 특징과 심리적인 특징을 가지며 단순히 인지의 개념이 아닌 색채를 통한 연상과정을 통해 마음속에 그려진 독특한 이미지를 갖게 되며 다양한 감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1) 본 논문은 선행연구인 ‘보라색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색의 연상에 관한 연구’ 의 후속 논문으로, 연구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진 보라색이 실제 제품에 적용되었을 때 이미지 관련성 평가 비교를 통한 색채계획과 마케팅 현장에서 유의미한 아이디어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보라색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량적인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의 보라색은 신비스럽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평가 되었으나 선호색과 비선호색의 경계가 모호한 비전형 컬러2)지만 전자제품, 패션, 화장품 분야의 다양한 보라색의 제품군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집단과 같은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여 SPSS 15.0을 이용하여 보라색 적용 제품 8개에 대한 이미지 어울림 평가와 형용사 이미지 관련성에 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보라는 색명의 어원에 따라 퍼플, 모브, 바이올렛, 자색 등으로 불리며 빨강과 파랑, 자주 빛과 청빛, 고급과 대중화 등 대립된 구조로 통일감을 이루며 심리적 특징 또한 영원 불명의 색, 병약 불안 등의 야누스적인 양면성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 낸다. 2.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어울림 평가에서는 제품 구입 트렌드의 주기가 빠른 패션과 미용분야의 보라색이 적용되었을 때 소비자가 어울리는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8개의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관련성 상관 비교의 결과 메이크업, 시계, 카페를 제외 하고는 ‘제품의 고급스러움’ 과 ‘제품 품질의 우수성’에 대한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보라색 적용제품에 대한 형용사 이미지 비교로 패션 미용분야는 고급감과 유사한 이미지 언어와 관련성이 높으며 그 외 제품군에서는 개성 있는, 감각적인, 경쾌한 이미지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Product Industry have a fierce battle for the competition, and companies in product differentiation emphasizing the abundance of captivating consumers needs to focus on marketing on the 21st century. Now, the era of technology-based differentiation as a strong attraction goes to appeal to consumers` emotions can be focused the era of consumer awareness. Consumer awareness means that consumer goods receive when it deals with the color images can be interpreted as a message through the visual image is a powerful lead. Colors are an inspiration to arouse throug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cepts, and what it has just reminded by not only painted colors but also in the mind from the process will have a variety of unique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represents follow-up study from the preceding thesis ``A Study on Color Association and Luxurious Image Based on the Purple.`` As a follow-up study of previous research that was being discussed in the purple image when applied to real products of relevance by comparing the color plan and marketing field significantly, and expect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a consumer product in detail that competitive differentiation strategies is. Research methods on the purple can be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purple image of the preceding thesis is the high proportion such as mysterious, luxurious image. The manufactures made by purple are widely used MP3 as the electric product, fashion, cosmetic field. This thesis showed the same group numb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it selected as a sample of the population using the SPSS 15.0. It represents the Purple Products of eight adjectives for image evaluation and image-related concern in harmony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purple is so called the depending on the origin from the color naming Purple, Mauve, Violet, Red Purple, Purplish red and Purplish blue including magenta and bluish, etc. It also exists the advanced luxurious and popularized structure from the unity such as forming oppos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to eternity of unidentified color, sickly anxiety, and so on Janus such as a two- sided with the emotions that consumers lead. Secondly, consumers are recognized good match for the applied purple products purchase in assessing the image of harmony depending to the trend cycle of fast fashion and beauty. Thirdly, it appealed to the most relevant of Relevance of eight applied purple products matt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mages of make-up, watches, cafes, except for ``luxury products`` and ‘excellence in product quality``. Fourthly, it show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or the applied purple adjective images for the product to compare the field of advanced sense of fashion and beauty images similar to the language and other relevant product family high in the distinct individuality, sensual, and cheerful images.

      • KCI등재

        먼셀색체계의 B 와 PB 색상에 대응하는 한국어 색이름 표현에 관한 연구

        한귀자(Gwi ja, H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2

        색채를 표현하는 어휘는 다양하고 사람마다 지각하는 색에 대한 경험이 달라서 그 정확한 전달이 어렵고 모호하다. 그러나 명확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색에 대한 감각과 정확한 명명 체계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색명체계가 필요하다. 한국표준색체계는 먼셀색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인의 감성에 맞게 개정되어 기본색이름 선정과 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서 먼셀색체계의 B와 PB 색상에 대응되는 한국어 색이름이 모두 ‘파랑’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PB 색상을 ‘남색’으로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추가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먼셀색체계의 고채도 영역의 B와 PB의 색상을 한국어 이름으로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KS A 0011에서 규정하는 고채도의 ‘파랑’, ‘남색’에 관한 색표자극 실험을 자유연상명명에 의해 진행하였다. 두 번째, KS A0011의 B와 PB에 해당하는 관용색명과 한국전통색명의 표준에서 색이름을 추출하고 그 색이름과 1차 조사의 색표를 매칭하는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B와 PB 색상 모두 대응되는 한국어 색이름은 ‘파랑’으로 혼용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먼셀의 기본색에서 PB를 B보다 ‘파랑’으로 인지하였다. KS A 0011의 선명한 파랑(2.5PB 5/12)과 먼셀의 5PB 5/12, 5PB 4/12 또한 남색이 아닌 파랑으로 인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계통색 체계를 위한 색상체계는 색상환에서 다른 색상과의 거리 차이 등을 비교했을 때 먼셀색체계의 중심색 5를 유지하는 방향성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남색(7.5PB 2/10)은 명도 2이므로 다른 기본색의 명도에 비해 낮아서 동일한 색상환에 위치하면 명도와 채도의 상호관계에서 체계의 일관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KS A 0011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색채 표준과 일상생활에서 색채에 관한 원활한 의사소통방식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experiences of the colors perceived by each person are different; moreover the accurate transmission of them is difficult and ambiguous, so the vocabulary of expressing colors is diverse, However, a standardized color name system is needed to clarify communication with a sense of common colors and an accurate naming system. The Korean standard color system is based on the Munsell color system which revised to suit the Korean sensibilities, and it stipulates the selection and system of basic color names. I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s resulted of the mixed use of “blue” in Korean color names corresponding to the B and PB colors within the Munsell color system that they are not recognizing the PB color as “indigo”. That’s why the research was processed a necessity for standardized color name. First, the experiment was represented how to recognize the colors of B and PB in the high saturation area of Munsell by Korean names, and the color stimulus experiments for the high saturation “blue” and “indigo” as defined in KS A 0011. Secondly, a verific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match the color names extracted from the standard Korean traditional color names and the conventional color names corresponding to B and PB of KS A0011 in the color table on the first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olor names corresponding to both B and PB colors were mixed as blue , but the PB in Munsell s basic color was recognized as blue rather than B. KS A 0011 s vivid blue (2.5PB 5/12) and Munsell s 5PB 5/12, 5PB 4/12, and also perceived as blue, not indigo, were shown. Therefore, as the systematic color system should also be represented the direction on maintaining the central color 5 of the Munsell color system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other colors in the color wheel. In addition, since indigo color (7.5PB 2/10) has value of 2, it is lower than that of other basic colors, so it is difficult to give system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and chroma when placed on the same color wheel.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KS A 0011 will be used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color standard and a smooth communication method for color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밀키트 제품의 선택 속성과 지속 가능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귀자(Han, Gwi J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밀키트 제품의 선택 속성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밀키트에 대한 그간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밀키트 시장 확대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적 속성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선호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성적인 연구로 밀키트에 관한 선행연구 및 내용에 관하여 검토하였으며 정량적인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밀키트의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은 ‘건강 가치추구’, ‘품질 가치’, ‘식품 만족도’, ‘기대효과’, ‘가격’ 등의 5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 간의 상호 관련성은 높게 나타났다. 그중 ‘기대효과’와 ‘가격’ 등의 관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건강 가치추구’, ‘기대효과’가 높은 반면 기혼은 ‘가격’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였다. 직업군으로는 주부는 ‘건강 가치추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가격’이 가장 높은 요인이고 ‘식품 만족도’가 가장 낮은 요인이었다. 브랜드 인식도는 ‘이마트 피코크’, ‘프레시지’, ‘CJ쿡킷’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밀키트의 선호 디자인은 과도한 포장과 개별화된 플라스틱보다는 종이 재질의 진공 포장과 재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인식 또한 일회용품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의 종이와 재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과감하게 과대포장을 줄이거나, 다시 제품 일부를 재활용하거나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가공, 재처리를 요구하는 디자인 방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의 밀키트 시장에서의 종이 제품 사용, 생분해 재질의 비닐, 물을 활용한 아이스팩, 재활용 아이스백 등 업계에서도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과 노력이 있다. 이는 지속가능성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어 소비자의 인식이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제 더 이상 소비자는 단순히 밀키트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단순 참여자의 역할이 아닌 기업과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책임을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주체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thesis represents the selection properties and sustainable design of meal-kit products. The purpose of thesis i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selective attributes and sustainable design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meal-kit market by referring to previous papers on meal-kits. As a qualitative method, previous studies and contents of the meal-kit were reviewed o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factors for the selection attribute of the meal-kit were extracted into five factors such as ‘the pursuit of health value’, ‘the quality value’, ‘the food satisfaction’, ‘the expected effect’, and ‘pri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as high. Among them, ‘the expected effect’ and ‘price’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correlation. In terms of marital status, unmarried people had higher ‘the pursuit of health value’ and ‘the expected effect’ compared to married people, whereas married people gave higher values to ‘price’. As the occupational group, housewives considered ‘the pursuit of health valu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reas for students, ‘price’ was the highest factor and ‘food satisfaction’ was the lowest. Brand recognition was highest in the order of ‘E-Mart Peacock’, ‘Fresheasy’ and ‘CJ Cookit’. As for the preferred design of the meal-kit brand,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paper-based vacuum packaging and recyclable designs rather than excessive packaging and individualized plastics. Through these results, consumers’ awareness also shows that they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and prefer eco-friendly paper and recyclable designs including the reuse. However, the sustainable design directions require reprocessing should be considered. There are movements and efforts to minimize waste considering the eco industry, such as the use of paper products in the current meal-kit market, biodegradable plastics, water-based ice packs, and recycled ice bags. It is interpreted that sustainability is also a social issue, and consumers’ perceptions affect social values.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are no longer the role of simple participants who purchase and consume the meal-kit products, but have become the subject of sustainable design that draw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