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문화의집 성과관리체계 연구

        하중래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17 청소년행동연구 Vol.- No.22

        1991년 청소년기본법이 제정·공포(1992)되면서 우리나라 청소년활동은 큰 변화를 이루는 계기와 함께 정책적 뒷받침을 받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청소년활동에 대한 관심 자체가 부재하거나 미 흡하였고 주로 청소년문제나 소외청소년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에 불과하였다. 모든 청소년을 대 상으로 국가가 사회적 지원체계와 구체적 대안을 만들었다는 점은 청소년정책의 관점에서는 엄 청난 변화의 시작이었다.

      • 청소년자유공간 운영사례 분석 연구: 수도권에 설치된 자유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하중래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22 청소년행동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수도권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자유공간’를 지역별로 구분하고 설치주체와 운영주체를 확인하고 ‘청소년자유공간’의 설치 근거가 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련법령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경상남도 지역의 청소년자유공간 설치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5월부터 11월까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광역시의 청소년관련 법령과 규칙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설치된 서울과 경기, 인천의 청소년자유공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서울의 경우 '청소년자유공간' 2개소, '청소년자율문화공간' 7개소, '청소년자율이용공간' 1개소, '학교밖청소년 자유공간' 2개소로 [자유공간]이 총 12개소 설치되어 있었고, 경기의 경우 '청소년자유공간' 10개소, '청소년자율공간' 1개소로 [자유공간]이 총 11개소 설치되어있다. 또한 ‘기타공간’을 서울, 경기, 인천 지역별로 구분하면 서울의 경우 '청소년아지트' 22개소, '청소년전용공간' 23개소, '청소년문화활동공간' 1개소, '청소년활동공간' 1개소, '청소년문화공간' 36개소, '아동청소년전용공간' 1개소, '청소년복합문화공간' 2개소, '청소년놀이터' 9개소, '청소년문화카페' 3개소, '청소년휴카페' 26개소, '청소년문화활동공간' 1개소, '청소년미래창의아지트' 1개소로, 총 126개소의 ‘기타공간’이 존재한다. 경기의 경우 '청소년전용공간' 12개소, '청소년문화공간' 10개소, '청소년복합문화공간' 2개소, '힐링센터' 1개소, '청소년문화쉼터' 1개소, '청소년휴카페' 24개소, '청소년전용카페' 7개소로 총 57개의 ‘기타공간’이 존재하였다. 인천의 경우 '청소년문화공간'2개소로 총 2개의 ‘기타공간’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청소년자유(자율)공간의 목적에 대해 성찰할 필요가 있고, 각 공간은 차별성이 있어야 하며, 방과 후 학교 또는 폐교 공간을 청소년자유(자율)공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학부모 지역주민 청소년 본인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온전한 성장을 위하여는 마을이 함께 해야한다. 청소년의 욕구를 반영한 공간 설치 후에도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지속적인 운영을 해야한다. 경상남도에서는 청소년의 꿈을 펴고 관계형성을 이루기 위한 청소년자유공간을 조성할 때 위의 제언을 참고하여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과 긍정적인 변화를 위하여 청소년공간을 구축해주길 바란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화와 관련변인과의 차이 분석

        하중래,조아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을 분석하고, 구분된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성별, 근무시설, 종사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소진, 이직의도,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청소년관련기관(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단체, 청소년문화의집)에 종사하는 428명의 청소년지도사였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의 경우, 전체 428명 중 여자가 225명(52.6%), 남자가 203명(47.4%)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28명(53.3%), 20대가 120명(28.0%), 40대 이상이 80명(18.7%)의 순이었다. 근무시설별로는 청소년수련관이 193명(45.1%), 청소년수련원과 청소년단체가 각각 92명(21.5%), 청소년단체가 78명(18.2%), 청소년문화의집이 51명(11.9%)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은 3개 유형(직무만족형, 동기만족형, 수단만족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결혼여부, 근무시설, 최종학력, 직위, 종사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청소년지도사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소진,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잠재계층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work institution,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are 428 youth workers who work youth institutions at the nation wide. Among them, female youth workers are 225(52.6%), male youth workers are 203(47.4%). Youth workers between 30-39(age) are 228(53.3%), youth workers between 20-29(age) are 120(28.0%), youth workers over 40 years old are 80(18.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latent classe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job satisfaction type, motivation satisfaction type, means satisfaction type).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rital status, work institution, education, position, employment period. Thir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related policy must be sugges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 KCI등재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선필호,하중래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3

        In This Study,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leader on burnout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ught method to prevent the burnout of the youth leader. To that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16 youth leaders in Seoul Youth Center. For data analysis, the were conducted frequency, t-test, ANOVA, post-hoc comparison, correlation, regression.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youth leader’s position, depending on gender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last school burnout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respectivel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youth leader’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hav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youth leaders to describ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exhausted 42%, respectively, of sub-factors of the job itself, job satisfaction, pay, fellow burnout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effect.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youth lea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respective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wit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youth leaders and youth training fac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n are deriv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이들 사이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사후비교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성별과 직위에 따라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최종학력에 따라서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소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소진을 설명하는 정도는 42%였으며, 직무만족의 하위변인 중 직무자체, 급여, 동료관계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각각 부분 매개효과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지도자의 심리적 안녕과 청소년수련시설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