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회지 분석을 통해 본 HRD 이슈와 동향 탐색

        장환영 ( Hwan Young Jang ),손지영 ( Ji Young Shon ),하정례 ( Jeong Rye Ha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HRD관련 학회지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의 동향과 주요 이슈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HRD 분야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HRD 관련 핵심적인 학술단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산업교육학회, 한국기업교육학회, 한국인력개발학회에서 발행하고 있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학회지 논문 279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틀은 연구주제, HRD 프로세스, 연구방법, 연구자 소속기관에 대한 조사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서는 교육훈련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이 논의 되었으며 조직변화와 개발, 경력개발, 국가 및 지역인적자원개발 등의 주제들은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관심이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RD 프로세스 부분에서는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 중 ‘분석’의 영역에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들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이론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빈도수가 가장 많아 질적 연구와 실천적 연구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연구자 소속기관에 대한 조사는 대부분 대학의 연구자들이 학회지 논문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며, 수도권 중심인 것으로 나타나 HRD 연구의 구조적 한계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분야의 이슈와 향후 발전을 위한 방향성 및 제안점들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field of HRD in Korea by presenting major trends and issues of HR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HRD journal articl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analysed total 279 articles for a 6 year period (2006 - 2011) of academic journals produced from three main HRD related academic societies which are The Kore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was composed of four elements, which were research themes, HRD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institutions that the authors of the journal articles belo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emes related to training and development were more frequently discussed than the issues with organization change and development or career development; 2) as the dimension of HRD process, the most articles heavily focused on ``analysis`` rather tha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or evaluation; 3) the HRD researchers much depended on utiliz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r practical developmental research which received less attention; 4) the researchers in the articles were mostly affiliated to universities of capital area. As a conclusion, the study recommends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HRD in Korea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