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낱말 길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 정확도

        하승희,하승희,피민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를 이용하여 언어학적 증상에 따른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로 낱말 길이에 따라 조음 정확도가 어떠한지 자세히 살펴보고, 정확도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3세에서 9세 11개월의 161명의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1-2-3음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말소리장애는 조음 장애, 음운 지연, 일관적 음운장애, 비일관적 음운장애 4가지 하위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2-3음절 과제의 정확도는 낱말, 음운, 모음, 자음, 목표음절 수준에서 측정하여 말소리장애 하위집단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낱말, 음운, 자음, 목표음절 정확도는 말소리장애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른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말소리장애 하위집단 중 음운지연과 비일관적 음운장애는 낱말 길이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은 낱말의 음절이 증가할수록 오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의 정확도와 낱말 길이 효과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으며 비일관적 산출과 일련의 소리를 배열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확인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하승희,하승희,권지윤,정유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erbal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in children aged 1 to 2 years old. Methods: The study involved four age groups, each six months apart, ranging from 1 to 2 years of age.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peat 12 real words and 12 nonwords, with corresponding reference materials.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as correct, incorrect, or no responses. The incorrect responses were further analyzed to identify patterns, including whole-word errors, segmental errors, babbling, and different vocabulary responses. Verbal imitation performances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and word types. Results: The ratio of no responses in verbal imit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ratio of correct responses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the late 1-year and early 2-year age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d types and age in the correct responses of verbal imita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1-year-old and early 2-year-old childre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ords and nonwords, whereas late 2-year-old children exhibited better imitation performances for words compared to nonwords. Childre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ratios of incorrect responses in verbal imitation for nonwords compared to words. Babbling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incorrect responses produced by the early 1-year-olds, which dramatically decreased in older children groups and was seldom observed among 2-year-olds. The late 1-year-olds and 2-year-olds primarily demonstrated whole-word error patterns in both word and nonword imitation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verbal imitation ab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growing stage of phonological and lexical development.

      • KCI등재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기술

        하승희,하승희,피민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음운처리능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음운처리 영역에서 보편적인 어려움을 보이는지, 또는 특정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지 살펴보면서, 음운처리능력으로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서로 구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말소리장애 아동 27명, 일반 아동 20명으로, 말소리장애 아동 중 음운지연 아동은 10명, 음운장애 아동은 17명이었다. 음운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에 대한 과제를 실시하였다. 음운인식은 단어, 음절, 음절체-종성, 음소 수준에서 말소리를 조작하는 과제를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음운기억은 무의미낱말과 문장을 따라말하는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음운인출은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단어 수준에서 음운인식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운지연 및 일반 아동에 비해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비해 음운인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이나 음운지연 아동에 비해 음운처리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음운기억을 확인하는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에서의 결함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자동 언어 환경 분석치로부터 18-20개월 말-언어 발달 예측 연구

        하승희,하승희,김호,이유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6-8개월과 12-14개월의 언어 환경기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 말-언어 발달을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일반 아동 18명으로부터 6-8개월, 12-14개월, 18-20개월에 하루 동안 아동의 가정에서 수집된 LENA 녹음자료를 수집하였다. 6-8개월과 12-14개월의 녹음자료에서는 LENA 자동 분석치인 성인 낱말 수(AWC), 대화 주고받기 수(CTC), 아동 발성 수(CVC)를구하였다. 18-20개월 녹음자료에서는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6-8개월과 12-14개월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의 말-낱말 측정치를 예측하는지 상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CTC와 CVC는 18-20개월의 모든 말-낱말 측정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6-8개월의 CTC는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12-14개월은 CTC, AWC, CVC가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를 예측하였으며, 12-14개월의 CTC는 추가로 18-20개월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도 예측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와 주양육자 간 상호작용이 이후 말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조기 언어 환경이 아동의 말-언어 발달에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하승희,하승희,정유림,권지윤,심성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oken language imitation abilities of 18 to 29 month old late-talking children to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rough the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late-talking children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age and gender. The test words were 12 words and 12 nonwords, and spoken imitation was elicited by providing corresponding toys or references. Responses were categorized as correct, incorrect, or no response. Incorrect response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whole-word errors, segmental errors, babbling, and different vocabulary responses. Whole-word errors and segmental errors were again classified into developmental and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s. Results: Late-talking children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ratios and higher no response ratios in verbal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Late-talking children had approximately 50% of their responses as no response,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low ratios of no response. Both late-talking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emonstrated better verbal imitations of words than of nonwords. Although whole-word errors were the most frequent in both groups during the verbal imitation of words, but late-talking children had higher rates of babbling responses for both words and nonwords imit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late-talking children exhibited limited verbal imitation abilities. Responses made by late-talking children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i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status. Implications for research,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ate-talking children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음악수재 인식변화와 활용 양상

        하승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5

        This study observes changes in perception and the utilization of utilization of musically talented youths in North Korea displa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musically talented youths in North Korea were used to enhance the country’s international image and heighten national honor through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s. Secondly, musically talented youths of North Korea were cultivated since the rule of Kim Jung Il through early education courses and during the rule of Kim Jong Eun, the ages of award winners at international competitions gradually became younger and ‘musical prodigies’ given prominence as the youngest musically talented youths become active. Third, musically talented youths in North Korea receiving award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re used as tools to advertise the superiority of socialist education systems and the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leader. 본 연구는 북한의 음악수재에 대한 인식 변화와 활용 양상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분석결과 북한은 음악 수재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였다. 첫째, 북한의 음악수재들은 국제콩쿠르 수상을 통해 국가의 명성을 높이는 등 국제적 이미지 제고에 활용되었다. 둘째, 북한 음악수재들은 김정일 시기부터 조기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되었으며, 김정은 시기에는 국제콩쿠르 수상자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며 최연소 수재들이 활약하는 등 ‘음악신동’을 부각시켰다. 셋째, 북한 음악수재들의 국제콩쿠르 수상은 사회주의교육제도의 우월성과 지도자의 공로와 치적으로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 KCI등재

        Z세대의 통일·북한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하승희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22 북한학연구 Vol.18 No.2

        Through the Q methodology, this study comprehensively grasped and categorized the perception of the unified perception of Generation Z and the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a total of three types: Type 1 was ‘Active Practical Pursuit Type’, Type 2 was ‘Realistic Loss Calculation Type’, and Type 3 was ‘negative Unification Retention Type’. In the case of North Korean image,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Dictatorship Image’, ‘Enemy Image’ in Type 2, ‘Gossip Image’ in Type 3, and ‘Compatriot Image’ in Type 4.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wareness and North Korea’s image was examin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eneration Z’s perception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 needs to be examined in multiple dimensions, not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older generation, and that generation Z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results of generational studies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s perception should not be used to determine how far the people’s idea of unification has gone from implicitly “Desirable” unification or to inject specific directions. When discussing the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erception of Generation Z,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enerations cannot be generalized in fragments, and an approach should be taken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types of perception. Recognizing that even Generation Z is talking about unification and North Korea in different ways, we should expand “Social Dialogue” that can serve as a venue for “Public Discussion” and “Deliberation” in our society to be naturally exposed in our daily lives. 이 연구는 Z세대들의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인식을 Q방법론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유형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통일인식의 1유형은 ‘적극적 실리추구형’, 2유형은 ‘현실적 손실계산형’, 3유형은 ‘소극적 통일유보형’으로 나타났으며, 북한 이미지의 1유형은 ‘독재 이미지’, 2유형은 ‘적 이미지’, 3유형은 ‘가십 이미지’, 4유형은 ‘동포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인식과 북한이미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Z세대의 통일 ·북한 인식을 기성세대의 기준으로 재단하지 말고 다차원적으로 가능성을 열어두고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Z세대는 공통적으로 남한과 북한의 ‘관계’적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일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다양성과 관계성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Z세대의 통일 및 북한 인식을 논의할 때도 이들 세대의 특성을 단편적으로 일반화 할 수 없으며, 다양한 인식유형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 같은 Z세대더라도 통일과 북한을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리 사회 안에서 ‘공적 논의’와 ‘숙의’의 장이 될 수 있는 ‘사회적 대화’의 창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확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감소를 위한 CPAP 치료 효과 연구

        하승희,정승은,고경석 한국음성학회 201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PAP therapy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degree of hypernasality in individuals with repaired cleft palate and whether the efficacy of CPAP therapy was maintained. Five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participated in an 8-week home-based CPAP program. Results from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before and after CPAP therapy and at the follow-up speech evaluation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ponses of the CPAP therapy were various among individuals. Three individuals exhibited reductions in the degree of perceived hypernasality, while nasalance scores in all individuals decreased after the therap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CPAP therapy was generally maintained until approximately thre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CPAP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