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성장 지향적 주택정책 패러다임 변화 추구의 이론적 논의

        하성규(Ha, Seong-Kyu),최은진(Choi, Eun-Ji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2 No.3

        With the growth of income, resident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residential amenity.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 housing policy programs have drawn attention in terms of the green growth strateg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heoretical argument on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policy paradigm with respect to the green growth concept and strategies. The green growth oriented housing policy program would need to pursue a comprehensive approach regarding the regional socio-economic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housing policy paradigm shift based on the green growth strategies,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adopted in Korea. First, the legal framework for green growth oriented housing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incentive system for green growth on housing policy programs should be applied. Third, the green growth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housing policy program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민임대주택건설사업의 공공부문간 갈등유형 및 갈등관리 방안

        하성규(Ha, Seong-Kyu),김성연(Kim, Seong-Ye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0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flicts between public parties in public rented housing programs.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one million rental housing program to solve low-income housing problems since 2003. A clash of interests, values, actions or directions often sparks a conflict. One should not confu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onflic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competitive situations, the two or more parties each have mutually inconsistent goals, so that when either partty tries to reach their goal it will undermine the attempts of the other to reach theirs. The main causes of conflicts between public agencies are due to the unreality of schedule, shortage of fiancing, unclear shared responsibility. We try to examine conflict management in the case of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through the concept of governance. We do believe that the concept of ‘governance’ should be appli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s. A fair governance implies that mechanisms function in a way that allows the agents to resp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stakeholders, in a spirit of democracy. It has also been used to describe the "proper functioning of institutions and their acceptance by the public". And it has been used to invoke the efficacy of government and the achievement of consensus by democratic means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하성규(Ha, Seong-Kyu),고성열(Koh, Seong-Yeol) 대한부동산학회 200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근로자들의 주거권 보장 및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를 대상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를 파악하고, 이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우리나라의 최저주거기준과 비교하여 주거실태를 분석하였다. 2005년 현재 외국인 근로자는 35만 8천명에 달하고 있다. 근로자의 상당수는 불법 체류상태이며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집단적으로 생활하거나, 컨테이너ㆍ공장 등의 비주거용 건물등의 최저주거기준 이하의 주거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외국 근로자의 주거빈곤은 유엔에서 결의한 인간의 기본적 권리인 주거권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생명에 위협을 받거나 사회적 편견과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외국인 고용정책에 주거에 대한 법적 보완이 필요하며. 둘째, 이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NGO의 자발적 참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주거권과 시민권적 관점에서 외국인 근로자는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동등한 시민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조사, 다양한 연구, 그리고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ous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who are working here in Korea and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For this purpose, a housing survey of foreign workers’ accommodation in Ansan city was made, and their housing condition was compared with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which was set up by the government in 2004. In Korea, the population of foreign workers is 358,000 as in 2005, and they are mostly engaged in so called 3D jobs(danger, difficult, dirty). Their housing condition were filthy and mostly substandard such as container, tents, illegal temporary accommodations. The survey demonstrates 64% of respondents are illegal aliens. They are facing a serious housing shortage and lack of affordability. In terms of housing rights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the government should make first a housing condition survey of foreign workers in order to find out housing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to set up a policy guideline on housing for the foreign workers and the housing minimum standard should be applied to the foreign workers housing in light of humanitarian considerations. NGOs and CBOs’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for the improvement of foreign workers’ housing condi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and research on housing policies of foreign workers in advanced countries.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하성규(Seong-Kyu Ha),서종녀(Jong Nyeo Seo) 한국주택학회 2006 주택연구 Vol.14 No.3

          우리나라 공공주택정책에 있어 사회적 배제 문제는 최근에 와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임대주택 주민과 인근 분양주택 주민 간에 야기되는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한 주민 의식(인식정도)을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가 주거만족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구임대주택 주민과 영구임대주택 인근 분양주택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주거지 차별에 대한 의식은 영구임대주택만 공급된 단지, 월평균 소득이 낮은 분양주택 주민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지내 이웃간 갈등이 많고 영구임대주택의 부정적 요소 및 이미지가 나쁠수록 주거지 차별은 강하게 나타났다. 교육적 차별은 교육수준이 초/중학교 졸업자에서 나타났고 단지내 이웃간 갈등이 많으며 영구임대주택의 부정적 요소 및 이미지가 나쁠수록 나타났다. 둘째, 주거만족도는 사회적 배제와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거지 차별이 직접적으로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교육적 차별은 주거 만족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었지만 주거지 차별을 통해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배제는 영구임대주택 주민이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근 분양주택 주민 중에서 교육적 약자(초/중학교 졸업)와 경제적 약자(분양주택 거주자 중에서 월평균 소득이 70만원 이하)의 경우 느끼고 있었다. 가난한 사람과 중산층 주민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계층간 혼합(social mixing)은 중요한 정책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교육적 차별 등의 사회적 배제를 예방하고 주거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자본을 증대하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파트너십(주민, NGO, CBO, 정부 등)의 구축 등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Social exclusion is a relatively new term in Korean housing policy - not only referring to poverty and low income but some of their wider causes and consequences, particularly in public rental housing esta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cial exclusion phenomena between public rental housing estates and neighboring non-public housing residents. And we try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roblems of social exclusion, a survey of the public and non-public housing communities was conducted by means of interview with household heads and field surveys. One of most crucial findings is that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low income groups in neighboring non-public housing have strong feeling of social exclusion. The feeling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discrimination were the most direct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o the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low income residents in non-public housing estates. The number of households who answered negatively is much higher than those who answered positively in terms of social mixing. In order to tackle these kinds of problems, the government has to make a new approach to minimize the problems of social mix within the same community(estates). Partnership-based approaches (NGO, governments, etc.) should be advocated as a way of promoting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are also important as an asset that poor people in cities can exploit to advance themselves or, in times of adversity, use to help dampen the effects of poverty.

      • KCI등재
      • KCI등재

        자원봉사직무특성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인관계만족의 매개효과

        하성규(Ha Seong Kyu),이진향(Lee Jin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에서 1년 동안 활동한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직무특성과 자원봉사활동 만족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무특성 하위요인 중 과업정체성과 과업유의미성은 자원봉사활동 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대인관계 만족은 자원봉사 직무특성과 자원봉사활동 만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인관계 만족 및 자원봉사 직무특성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ing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169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at the Volunteer Center in Gyeongnam-do for one year. For this purpose, Baron & Kenny 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first, among sub-factors of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olunteering satisfaction. Seco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increase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and how to activate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