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 대학 신문의 역할과 한계 : 「진주교대신문」을 중심으로 Concentrating on 「the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ess」

        하경수 진주교육대학교 1999 論文集 Vol.41 No.-

        The press, as the indispensable component of a community, has existed with the formation of ancient societies. In particular, the newspaper with its long history can represent the history of the press itself and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ss media.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id not lose time in instituting its press and publishing the university newspaper. It was just three month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itself when the university published the first issue on June 15th, 1963. The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ess, specializing in education, has seen the 248th issue in the 37years of its existence. However, it is said that the press, despite its long history, has failed to capture the heart of readers. This implies that it has not properly played its roles as the professional education newspaper, resulting in leaders' indifference. Therefore, the people in charge of the press are seeking some innovative ways to meet the needs of the readership in the days of changes. In the light of thi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press, and to search for various ways of having the much upgraded press.

      • KCI등재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과 어린이 인권교육

        하경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3

        Human rights education for the child is becoming a central concern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which should be direc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personality and to the strengthening of respect for human rights, fundamental freedoms and democracy. Its purpose is to educate the citizen on how important human rights are by starting the education at such a young age. It is intended to raise human rights awareness in children and educate them against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behaviors. But korean discourse on human rights focuses, based on the philosophical- historical approach, on transmitting basic knowledge of human rights issues, and the topics about which it is concerned are those including vulnerable people with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women and minorities. The human rights education directed by these ideas is geared towards recognizing the abuse of human rights but is also committed to preventing these abuses. However, more important matters for individual who is living ‘now’ and ‘here’ are not theories or declarations, stating every human has its own human rights, but affirmation and confirmation that my human rights are guaranteed in the reality. Human rights are not abstract idea securing identity as a human being toward other types of being, but the right that exist in mutual relationship, that is, in interactiv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Human rights of a child can be realized only when a child is accepted as a human being just like a adult and they are treated as the subject of being, not a object. The first step toward respecting, promoting and defending those rights is to determine what qualifies as human rights and how to implement these ideas and rights into everyday life. And the purpose of educating children about human rights is to ensure that they are enable to achieve common understanding and awareness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individual commitment to human rights. This is the critical index to direct goals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a child’ and ‘for a child’. 어린이 인권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배양하려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 그것은 인권교육이 민주시민 교육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권의식은 사회의 민주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어린이 인권교육은 초등학교 사회교과 6학년 2학기에 편성되어 있다. 어린이 시민교육을 위해 마련된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단원에서 주제학습의 하나로 도입된 “인권과 인권보호”에는 인권에서 시작하여 인권보호 활동으로 마무리되는 학습내용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는 인권의 이해와 실천에 필요한 학습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문제는 그것이 어린이의 인권을 위한 교육인가라는 물음에서 나온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의 기본 원리는 어린이가 주어가 되는 인권현실에서 그들이 헤쳐 나가야 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학습주제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의 어린이 인권교육은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고 보장하는 내용의 학습주제에 선뜻 다가서지 못한다. 그것은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어른이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은 주로 보편적 인권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서 출발하여 우리의 인권현실에 대한 자책과 반성에 따른 사회 비판의식으로 모아진다. 그러나 인권과 인권교육의 관건은 인권의 이름으로 각 개인에 부여된 권리의 보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권에서는 다른 사람의 인권에 대한 사회의식보다는 ‘나’의 인권에 대한 개인의식이 앞서야 한다. 나의 인권이 사회현실에서 인정되고 보장된다는 것에 대한 확신과 확인이 있을 때 남의 인권도 똑같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어린이 인권교육도 추상적인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넘어서 나의 인권에 담긴 스토리를 통해 학습자의 공감과 자율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그것이 어린이의 인권의식과 실천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려면, 타인의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아니라 나의 인권에 대한 인식과 자각을 통해 그들이 스스로 어디에서, 누구에게, 어떤 이유로 No라고 말을 해야 하는가를 깨우쳐 주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서 사회과교육의 역할과 한계

        하경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1

        Abstract :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ole and limitations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do this, first, we trace present and controversial multicultural issues which prevent the korean society from develop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Second, to define the role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 examine the nature and definition which state the purposes of social studies and the topics covered in that integrated studies. Third, we analyze the curriculum dilemmas that social studies should deal with to face actual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fulfill their role and responsibilit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studies provide a framework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is work is to recognize the nature and goals of social studies as an inclusive discipline, and to fix the epistemological errors that can mislead multicultural education work. 이 연구는 ‘사회인식을 통한 시민적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인 사회과가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과 한계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다문화 시민성의 발전을 저해하는 다문화 의식의 서로 다른 모습을 추적하였고, 둘째, 다문화교육에서 사회과교육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해 사회과의 성격과 목표에 내포된 다문화교육 정체성을 확인하였으며, 셋째, 사회과교육이 다문화교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하는 내적 딜레마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과교육은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방향설정과 교육내용 제시에서 중심교과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과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통해 다문화교육에서 인식론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교정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하경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1

        History in the Postmodern Ideas and School History Education 》현재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으로 함축될 수 있는 다양한 논의와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것은 역사와 역사교육에서 새로운 형태의 지식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혼란과 진통인 동시에 우리나라 역사학이 도약기에 접어들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이와 같은 시점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도 “역사교육이란 무엇이며, 역사교육에서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이것은 역사학과 역사교육이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전제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초등학교에서부터 모든 학생들에게 역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과연 이것이 그들을 역사가로 만들기 위한 교육이며, 우리가 그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이 과거와의 대화를 모색하는 역사가의 방식과 그에 따른 역사 이야기인가? 역사가들이 말하는 역사란 이미 사라져버린 과거의 인간과 그의 삶을 대상으로 인식론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대화의 결과이다. 역사교육이란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위해 물리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행위이다. 살아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역사의 주체라고 말할 때, 그것이 인식의 주체인가 아니면 실천의 주체인가? 현재의 인간이 과거에 대한 인식에 몰입하며 현재의 행위를 소홀히 할 때, 또한 그들이 이미 만들어진 기억과 기록에 몰두하며 앞으로 만들어야 할 기억과 기록에 무관심할 때, 우리는 우리를 과거로 삼아 대화에 나서게 될 미래의 현재에게 어떤 대화거리를 남겨줄 수 있겠는가? 이제 역사교육에서 묻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은 뚜렷해 졌다. 역사에는 인식의 역사와 실천의 역사가 있다. 인식의 역사는 역사 쓰기의 역사이며, 실천의 역사는 역사 만들기의 역사이다. 이 실천의 역사에서 역사란 인간이 시간 속에서 만든 변화이며, 그 변화를 이끄는 역사의식은 미래의 기억 속에 현재를 어떤 모습으로 남길 것인가이다. 우리의 역사교육이 역사 만들기를 이끌어내고, 그 덕택에 우리가 기억에 남을 만한 대화거리를 많이 만들어 놓을 때, 미래가 만들 우리의 이야기도 그만큼 풍성하게 될 것이다.

      • 개정 무인경비표준약관의 기대효과와 정책과제

        하경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문재인 정부의 공정거래위원회는 무인경비서비스 이용자의 권익을 높이고 공정한 계약체결을 유도하기 위해 무인경비서 비스 표준약관을 전면 개정하였다. 소비자의 중도 계약해지 요건을 완화하는 한편, 계약만료일 도래에 관한 사업자 통지내용을 구체화하고 적시 통지의무를 강화하였으며, 설치비용과 철거비용의 산정 기준을 명확히 하였다. 이번 표준약관의 개정을 통해, 무인경비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권익이 향상되고 사업자와 소비자 간 분쟁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 Print 回路의 電氣的 特性

        河京洙,田炳實 全北大學校 1972 論文集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inted circuits electrical charactors : leakage current, effect of heat, frequency, and ather characto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electrecal design of low level circuitry. The most critical parameters adversely affecting circuint performance of printed circuits include the quality of insulating material, the printed circuit configuration, the type of conditioning the board is subjectet to prior to use, the actual environment, and the contamination on the board. Control of these foctors should enable the circuit designer and those responsible for layout and fabric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without degrading circuit performance.

      • KCI등재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하경수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2 No.-

        초등학교 역사교육은 통합 사회과 역사영역에서 이루어진다. 그것은 역사수업이 역사영역의 수업목표, 사회과교육의 교과목표, 그리고 초등교육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의미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역사교육은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다문화현상으로 인해 역사학습의 내용선정과 교수·학습방법에서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초등학교에서 현대사를 교육하는 것은 교사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이전 시대와는 전혀 다른 역사무대가 펼쳐지고 있는 21세기의 현실에서 국사 중심의 현대사 교육이 역사교육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역사논쟁에서 조금이나마 비껴 있는 초등학교 현대사 수업을 통해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한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되는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역사읽기를 통해 교사가 유의미한 역사수업을 이끌어가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역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Since history education is a part of social studies in primary schools, it has triple challenges to achieve different goals simultaneously - of history classes, social studies, and primary education. Moreover, history education has also faced mass confusion in selection of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due to the post-modern historical studies and multiculturalism. In this circumstance, teaching contemporary history could be a great burden. Especially, it is quite doubtful that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national history would be able to achieve the goals of history education in the reality of this 21st century, since this age is a completely different historical stage from the previous eras. Based on these issues i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aims to diagnose problems of history education through contemporary history classes at the level of primary education which has less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in the current social context, and to explore the new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for meaningful history classes from historical readings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turning point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