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의 연구동향 및 활성화 방안

        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2

        치료지원이 전면 시행되는 올해, 치료지원의 양적 확대는 이루었으나 본래 치료지원의 개념과 현재 실행되는 치료지원의 사이에는 현실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로서의 치료지원은 교육 수행과 관련되어 특수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하나, 현재 치료지원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바우처는 최상의 교육 및 치료 효과를 도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수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한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이 강조되고 있으나 그 실행에 있어서는 많은 제한이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교육환경 기반 관련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협력적 팀 접근을 실행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 국내 문헌중 27편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논문은 (1)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환경, 치료지원 유형, 치료지원 실시 형태에 따른 세부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고, (2) 분석 논문 및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 활성화 방안과 협력적 팀 접근 중재 실행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국내 교육환경 기반 치료지원 및 협력적 팀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과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re are realistic gaps between concept of therapy support and the realities of therapy support in spite of dramatic growth of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o decrease the gaps, we can consider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But there is a lack of basic data on providing th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and activation plans in research regarding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by reviewing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published since 2000.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27 articles were identified.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across five themes such as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settings, the type and methods of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rends and activation plans in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discussed practice plans about the possibl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and educational environment-based therapy support.

      • KCI등재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지체장애인 대상의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실태 및 욕구 조사

        표윤희,박은혜,이명희,김정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1

        Most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needs to participate in the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Despite the needs for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these people, few has been developed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ye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these people in a national level.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via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multiple discussion/revision within the researchers and professor of library. Then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current status and needs of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Total of 125 users of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15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ir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Also various specific needs for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were reported.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ncludes that the need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and strategies and support measures that may help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effort to develop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suited for the unique need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참여 욕구에도 불구하고 지체장애인을 위해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관련 실태 및 욕구는 어떠한지 살펴봄과 동시에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관련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지체장애인 당사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국내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지체장애인이 실제 참여할 수 있는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5개소의 자립생활센터 이용자 12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참여의 어려움과 다양하고 구체적인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A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between teacher and therapist has been emphasized, researchers have made an effort to practic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rends of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and to investigate application plans based qualitative evaluation index by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34 articles were identified.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such as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settings, the type and methods of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In research methods, 7 cases were conducted with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16 cases used statistics methods while 11 cases used case studies. Subjects were mainly comprised of a various domain of disability(cerebral palsy, down syndrom, language disorder et al.).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iscussions,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were presented. also application plans for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were presented in this research. 협력적 팀 접근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를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연구동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치료사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문헌 34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은 분석 변인(발표연도, 연구방법, 연구대상, 중재환경, 종속변인, 치료지원 유형, 협력팀 구성원, 중재 관련 요인)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한 질적 평가 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행의 어려움으로 외면당했던 협력적 팀 접근 중재를 다양한 변인과 질적 평가 지표에 따라 분석하고,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모델 및 적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향후 협력적 팀 접근 중재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질적인 측면이 확보된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모델 및 적용방안에 대하여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특수교육실무원의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paraprofessionals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located in U cit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86 subjects of paraprofessionals and 191 paraprofession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with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education, career, type of schools, level of schools, level of disability of students in charge, and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social support, job stress, burnout according to level of disability of students in charge.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social support, job stress, burnout according to education, career, type of schools, level of schools, and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Second, the significant variable which influenced on the job stress was appraisal support.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the burnout were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the burnout were human relation and symptoms of stres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 수준을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U지역 특수교육실무원 286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설문에 응답한 191부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고, 학력, 경력, 담당학생 장애정도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경력, 학교형태, 학교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경력에 따른 소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담당학생 수에 따른 사회적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특수교육실무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가적지지가 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중 인간관계와 스트레스증상이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완화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증가시키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양육 경험 및 지원 요구

        표윤희,홍정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s’ rearing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 total of nine mothers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purposive sampling.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six in-depth interview sessions including individual interviews of five participa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four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nts’ schedule. The interview time per session was 1-2 hours. The results presented the mothers’ rearing experi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bout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support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the quality of education, rearing, and care for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경험을 통해 자녀 양육에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원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9인이고, 자료 수집은 5회의 개별면담과 4인 대상의 포커스그룹 면담 1회, 총 6회기로 구성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 당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이었다. 연구결과, 3개의 대주제와 3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지체중복장애 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 2) 지체중복장애 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 3)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교육과 양육을 위한 지원 요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중복장애학생과 가족을 위한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반학교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표윤희,이희연,김경양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s o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4 special educator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purposive sampling.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hree in-depth interview sessions including 1st focus group interview for 4 participants, 2nd focus group interview for 8 participants, and 3rd focus group interview for 2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schedule. The interview time per session was 1 hour 30minutes to 2 hours.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분석하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 14명이고, 자료 수집은 4인 포커스그룹면담, 8인 포커스그룹면담, 2인 포커스그룹면담으로 구성된 총 3회기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 당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었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실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어려움,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 등이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통합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개선을 위한 관련자의 경험 분석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tinent practice plan of the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s' experiences.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Seven special educators, Three parents and Six therapist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emerged : (1) positive experience about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2) negative experience about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3) pertinent practice plan of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system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based therapeutic support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system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익히 알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 및 협력적 팀 접근의 활성화가 부족하고 학교 기반 치료지원을 선택하였어도 여러 장벽과 방해요인이 존재하여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학교 기반의 치료지원을 경험한 교사, 부모, 치료사 1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주제는 (1)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에 대한 긍정적 경험, (2)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에 대한 부정적 경험, (3)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개선 방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교 기반 치료지원 실행 장벽 해소 방안, 협력적 팀 접근 중재 실행의 내실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과 비장애또래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Sixtee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ix special educators, twelve peers, and twelve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wait-list control groups.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was implemented for five month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16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과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 6명, 12명의 비장애또래학생, 12명의 특수교육실무원이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에 참여하였고, 중재는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를 적용하였고,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실험집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또래와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strategies and practice plan for therapeutic suppor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or and therapist who had experienced therapeutic suppor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s' cognition, experiences, and thought. To collect data,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Eight special educators and four therapist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and eight sub-themes were emerged : (1) cognition about therapeutic suppor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2) cognition about collaborative team approach, (3) pertinent practice plan of therapeutic suppor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rapeutic suppor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 체계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수교사 8인과 치료사 4인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 (1)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에 대한 인식과 경험;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의 효과,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의 어려움, (2) 협력적 접근에 대한 인식과 경험; 협력 실행방법, 협력의 효과, 협력의 어려움, (3)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 및 협력적 접근에 대한 개선방안;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 개선방안, 협력적 접근을 위한 개선방안.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의 치료지원 체계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연구로, 실제적인 치료지원 체계 실행과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구축의 실현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체장애 학교에서의 협력적 팀워크 중재에 참여한 팀 구성원들의 인식

        표윤희,박은혜,이숙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m memb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o collect data,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various document(ex, teacher field note, discussion note,education plan) were reviewed. Four special educators, two physical therapists and four para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and seven sub-themes were emerged.: (1) effect of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2) barriers of implementation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and (3) methods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work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 학교에서 수행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에 참여한 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재에 참여한 특수교사 4인, 물리치료사 2인, 특수교육보조원 4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 및 개별 면담을 수행하고 각종 문서자료를 검토하는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 (1)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의 효과; 중재절차의 유용성, 협력팀 구성원의 변화,협력팀 구성원이 관찰한 학생 및 학부모의 변화, (2)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의 방해요인;제도적 차원의 방해요인, 개인적 차원의 방해요인, (3) 효율적인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을위한 개선방안; 제도적 차원의 개선방안, 개인적 차원의 개선노력. 본 연구는 협력적 팀워크중재를 방해하는 요인,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두 제시함으로써 시행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