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프로 발생한 유구골구 골절과 굴곡건 파열

        김종민,팽정욱,유명재,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We report surgical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mate hook fracture and flexor tendon rupture occurred during excessive golf practice or rounding. Methods: The 16 cases of patients with fracture of hamate hook or flexor tendon injury caused by golf swing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Hamate hook excision were underwent in fracture alone, flexor tendon reconstruction with tendon transfer of 3rd or 4th flexor digitorum sublimus (FDS) were done in the flexor tendon rupture. Postoperative resul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Americ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ASSH) to compare total range of motion and the grip strength. Results: The fracture gap was not far apart completely in computed tomography (CT) of hamate fracture alone cases. If the flexor tendon rupture with the fracture, the gap in CT was far apart completely. After flexor tendon transfer surgery, two cases were excellent, five cases were good, two cases were fair in ASSH assessment. One case was re-rupture. Grip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normal side was observed for the mean grip strength of 82% recovery. Conclusion: The instability of the hamate hook fracture affected to flexor tendon rupture rather than location of the fracture. Hamate hook excision and tendon transfer with FDS can be a good treatment option. 목적: 과도한 골프 연습이나 라운딩 도중에 발생한 유구골구 골절과 굴곡건 파열에 대한 관계 및 수술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골프에 의해 발생한 유구골구 골절 또는 굴곡건 손상이 있는 환자 16예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유구골구 골절은 골절제술, 굴곡건 파열 시 제3혹은, 제4천수지 굴곡건 이전술을 시행하였으며, 악력 및 . 미국수부외과학회(Americ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ASSH)의 방법으로 총 관절 운동범위를 평가하였다. 결과: 유구골구 단독 골절 시 computed tomography (CT)에서 골절틈이 완전히 벌어져 있지 않았지만 유구골구 골절 및굴곡건 파열시에는 CT상 골절틈이 완전히 벌어진 것이 관찰되었으며, 건파열이 있는 경우 굴곡건 이전술 후 ASSH 평가상 2예에서 매우 우수, 5예에서 우수, 2예에서 양호, 1예에서 재파열이 있었으며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82%의 악력회복을 관찰하였다. 결론: 골프로 인한 굴곡건 파열은 유구골구 골절의 위치보다는 골절부 전위에 의한 불안정성이 더 영향이 크며 건파열시 유구골 절제 및 천수지 굴곡건 전이술이 좋은 치료 방법이다.

      • 비복동맥 피판술을 이용한 하지 피부결손의 치료

        진진우,윤종호,정성원,팽정욱,Jin, Jin-Woo,Yoon, Jong-Ho,Jung, Sung-Weon,Paeng, Jung-Wook 대한미세수술학회 2007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6 No.2

        Purpose: We reconstructed the skin defect of lower legs exposing muscles, tendons and bone with fasciocutaneous sural artery flap and report our cas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5 and September 2006, 8 cases of skin defect were reconstructed with fasciocutaneous sural artery flap. Defect site were 4 case of ankle and foot and 4 cases of lower leg. The average defect size was $4{\times}4\;cm^2$. There were 5 men and 3 women and mean age was 52.2 years. We evaluated the viability of flap, postoperative complication, healing time, patient's satisfaction. Results: There was no flap failure in 8 cases. But recurrent discharge in 2 cases was healed through several times adequate debridement and delayed suture without complication. Flap edema may be due to venous congestion was healed through leg elevation and use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Mean time to heal the skin defect was 4 weeks. No infection and recurrence in follow up period. Cosmetic results as judged by patients were that 5 cases are good and 3 cases are fair. Conclusion: Sural artery flap is good treatment method among the numerous methods in the cases of skin defect, with soft tissue exposed, which is not covered with debridment and skin graft. Sural artery flap is useful method for the skin defect of lower legs because it is simple procedure, has constant blood supply and relatively good cosmetic effect.

      • KCI등재

        활차상 주근의 유무에 따른 주관증후군의 비교

        윤민근,유명재,김종민,팽정욱,김영우,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 between cubital tunnel syndrome with anconeus epitrochlearis (AE) and idiopathic cubital tunnel syndrome without known other caus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the 326 patients who were subjected to surgery because of cubital tunnel syndrome from 2008 to 2014. After exclusion of patients with other known causes of cubital tunnel syndrome, a total of 107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and without AE. The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ge, sex, presence of intrinsic muscle atrophy, interval from symptom development to surgery, pinch power,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and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Results: Thirty four (10.4%) patients, being subjected to surgery had the AE. Among 107 patients who had no other known causes, 26 patients had AE. 19 out of 26 patients with AE was mal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AE was significantly younger. The interval from symptom development to surgery in AE patients was significantly shorter. Motor NCV of ulnar nerve at above elbow joint in comparison with that at below elbow joint in AE patient wa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14.3 m/sec vs. 8.3 m/sec). Conclusion: The AE in cubital tunnel syndrome is no more rare structure. In younger male patients with rapidly progressive worsening cubital tunnel symptoms, and if there is significant decrease of ulnar motor nerve velocity at above elbow in comparison with at below elbow, the AE should be considered as cause of ulnar neuropathy. 목적: 활차상 주근에 의한 주관터널증후군 환자와 특발성 주관터널증후군 환자에서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주관터널증후군으로 수술 받은 326명 중 주관터널증후군의 다른 원인을 가진 환자들을 제외한 총107명의 환자를 활차상 주근이 있는 군과 활차상 주근이 없는 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나이, 성별, 내재근 위축여부, 증상 발현부터 수술을 받기까지 기간,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와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에 대해 두 군 간의 임상적 차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4명(10.4%)에서 활차상 주근이 관찰되었고, 다른 원인이 있었던 환자를 제외한 107명 중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는 26명이었다.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 군에서 19명(73%)이 남자로 의미 있게 남자에서 많이 발병되었으며, 평균나이는 44세로 의미 있게 젊었다. 증상 발현 후 수술까지 걸린 시간도 의미 있게 짧았으며, 근전도 검사상 활차상 주근을 가진 환자군에서 주관절 근위부에서 척골신경의 운동신경 전도 속도가 원위부 전도 속도 보다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14.3 m/sec vs. 8.3 m/sec). 결론: 주관터널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활차상 주근은 드문 구조물이 아니며, 진행이 빠른 증상을 가진 젊은 남성에서 근전도 검사상 주관절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수술 전 운동신경 전도 속도의 차이가 큰 점이 활차상 주근에 의한 주관터널증후군과 특발성 주관증후군의 중요한 구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강선고정을 이용한 전위성 비구 골절의 치료

        김종관 ( Chong Kwan Kim ),진진우 ( Jin Woo Jin ),윤종호 ( Jong Ho Yoon ),정성원 ( Sung Won Jung ),팽정욱 ( Jung Wook Peang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전위성 비구골절 환자에서 강선 고정을 이용한 내고정술 시행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강선고정을 이용한 내고정술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etournel의 분류상 양주 골절 9예, 횡 골절 5예, 후방 반횡 골절 3예 및 T-형 골절이 2예였다. 13예에서는 강선 고정만 시행하였으며, 6예에서는 강선고정과 금속판 또는 금속나사 고정을 함께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정복의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Matta의 평가법에 따른 정복의 정확도는 해부학적 정복 12예, 불완전 정복 4예, 불량 정복 2예, 수술적 이차 상합관절 (surgical secondary congruence) 1예였다. Matta의 등급에 따른 임상적 결과는 우수 12예, 양호 4예, 보통 2예, 불량 1예였으며, 방사선적 결과는 우수 10예, 양호 4예, 보통 3예, 불량 2예였다. 합병증으로 심부 감염이 1예, 외상성 관절염이 1예, 이소성 골화가 2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전위성 비구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강선 고정술은 정복과 고정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내고정물로 사료되며, 골절 형태에 따라 금속나사 및 금속판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정확한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wire fixation in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5, 19 cases of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 were treated with wire fixation. According to Letournel`s classification there were 9 both column fracture, 5 transverse fracture, 3 anterior column with posterior hemitransverse and 2 T-type fracture. Only wire fixation in 13 cases and wire with plate or wire with screw fixation in 6 cases. Results: We evaluate the accuracy of reduction by Matta` criteria, anatomical reduction in 12 cases, incomplete reduction in 4 cases, poor reduction in 2 cases and surgical secondary congruence in 1 case. The clinical results showed excellent in 12 cases, good in 4 cases, fair in 2 cases and poor in 1 case. The radiological results showed excellent in 10 cases, good in 4 cases, fair in 3 cases and poor in 2 cases. There were 4 cases of complication; wound infection in 1case, post-traumatic arthritis in 1 case and heterotopic ossification in 2 cases. Conclusion: The cerclage wiring is a preferable method in internal fixation of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that can facilitate reduction and achieve stable fix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