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페미니즘으로 모색하는 변혁이론과 운동의 대변환

        태혜숙(Heasook Tae)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2

        오늘날 지구지역시대에 성/인종/민족/세대/계급/종 차별 문제는 더욱 복잡하게 얽히고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이 문제들의 해결은 하나의 이론으로, 하나의 운동으로 가능하지 않다. 그래서 기존 변혁이론과 운동의 대변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NGA/SF(Network for Glocal Activism/School of Feminism)의 공동창립을 위한 국제포럼은 그러한 대변환을 페미니즘으로 모색하자고 제안한다. NGA는 이론센터, 지구지역 포인트들 사이의 네트워크, 지구지역 활동가들을 위한 페미니즘 학교로 구성된다. 이 글에서는 이 기획의 핵심적인 면모를 1)지구지역성과 페미니즘에 기반을 둔 액티비즘 2)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라는 남반구 세 대륙의 지역들을 잇는 트리콘티넨털(tricontinental) 액티비즘의 페미니즘적 재구축 3) 그동안 서로 단절되어 왔던 이론(연구)-(자기)교육-운동(실천)의 연계를 실행하는 학교 공간의 창조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기획의 의의는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로 넓혀진 페미니즘에 기반을 둔 지구지역행동의 남반구 중심 네트워크’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고 주장된다. 이 가능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들의 동참이 요청된다. This article provides new directions and methodologies of a transformation of theory and activism for social change through Feminism while discussing the major aims of NGA(Network for Glocal Activism)/SF(School of Feminism). Today, in the era of ‘glocal’ age, problems of discrimination in terms of gender, sexuality, race, class, nationality, generation, and species have become more intricate and increasingly intensified. In order to address such complex issues, Joint International Forum for the Creation of NGA/SF was held in Seoul on April 18, 2009 and publicized a new collaborative organization linking Asian, African, and Latin American regions, based upon the concept of ‘glocality’ and Feminism widened by Marxism and Ecology. The horizon of so-called tricontinental activism is reconstructed by diverse women activists’ voices of glocal points such as China, South Africa and Mexico. NGA is composed of centers for theory, glocal point network, and School of Feminism. As a starting point for NGA and a new space for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among glocal activists, SF is to bring convergence of theory-(self)education-movement. The significance of NGA/SF project lies in proposing and demonstrating the viability of the South-centered glocal activist network permeated through Feminism as an alternative thought-movement system. In order to bring this potential to reality, cooperation of Marxist scholars are being called for.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

        태혜숙(Tae Heasook)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식민지 근대를 여성주의 문화론으로 접근해 보는 것이다. 여기서 여성주의 문화론이란 서구가 주도한 근대화로 인한 지배적 현실로서의 근대, 해방의 동력이라는 이념으로서 근대, 모순적 경험으로서 근대라는 근대성의 다의적 측면 속에서 비서구의 진로를 찾아보기 위해 여성의 일상성과 체험을 규명하려는 이론을 말한다. 이 여성주의 문화론을 구성하는 두 층위로서 젠더와 하위성(subalternity)이라는 정치적 입장과 ‘여성공간’이라는 방법론적 개념이 제시된다. 한국의 식민지 근대는 전근대/근대라는 구분이 표상하는 서구적 근대의 따라잡기로 이해됨으로써 그 지정학적ㆍ공간지리적 차이가 시간적 차이로 환원되어 왔다. 그러한 서구적 근대의 강력한 자장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 집단과 식민지 민족주의 남성 집단이 주변화시켜 온 여성이나 농민과 같은 하위주체들의 공간은 비서구적 인식과 상상력을 잠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식민지 근대 시기의 여성공간은 전통적인 사적 공간인 ‘가정’ 영역이 근대적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모성공간과 가사노동공간으로 분화되고, 식민지의 근대화를 통해 교육공간, 소비공간, 공적 노동공간과 같은 공적 공간이 여성에게 새로 제공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 공간들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젠더와 하위성의 입장 에서 살펴본 바, 이질적이고 서로 분리되어 보이는 여성공간들은 그 토대인 가부장적 식민주의 자본과 연결되어 공사 구분이 무색할 정도로 민족, 계급, 젠더의 복잡한 동시적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생성하는 균열이나 모순에 초점을 둘 때, 여성주의 문화론은 식민성으로 인한 억압과 착취를 극복하는 비서구적 근대성의 자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Korean colonial modernity from a perspective of Feminist Cultural Theory which attempts to construct the basic concepts and research methodologies for analyzing the cultural meanings in everyday experiences of women. To do this, the complex and multivalent conceptions of modernity such as the western modernization as ideology, the ideal of emancipatory dynamics, and a particular mode of experience, are requested. Then, the political positions of gender/subalternity and a methodological concept of 'Women's Space' are presented as two constituents necessary to explore Korean colonial modernity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The constitution of Korean colonial modernity has been understood as following that of Western modernization model, where the priority of the modern implied in the distinction of the premodern/modern was historically established. So, geopolitical and spacial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non-Western countries have been reduced to one of time lag. In other words, Korean colonial modernity was primarily experienced by being exposed to the violent power of western modernity. Emphasizing the analytical frame of space is, therefore, crucial to pursuing the non-Western or nonmodern way. The focus on women's space should be situated in that context. During the Korean colonial modem period, women's spaces consist of maternal, private labor, educational, consumptive, public labor space. The important points in the analysis of such women's spaces are to show the spatial politics of women's differences by dealing with the multiple and simultaneous intersections of nation, class, and gender, and to search for the interconnections among apparently heterogeneous and separate spaces in relation to patriarchal colonial capitalism.

      • 탈식민 페미니즘과 외국문학 연구

        태혜숙(Heasook T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人文 科學 Vol.2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인문학의 주요 영역으로서 외국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탈식민 페미니즘이 갖는 이론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 작업을 위해 먼저 탈식민주의에 페미니즘의 문제의식이 결합되어온 과정을 살펴본다. 그 결합의 결과로 형성된 탈식민 페미니즘의 핵심은 상호교차하는 ‘인종-젠더-계급’의 역학과 서발턴(subaltern) 관점이라고 제시된다. 그러한 탈식민 페미니즘은 외국문학 연구를 어떻게 쇄신할 수 있을지 『제인 에어』다시 읽기의 예를 통하여 그 윤곽을 그려본다. 그 예를 기반으로 탈식민 페미니즘은 서발턴 인문학 연구에 필요한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원천이라고 주장된다. This paper tries to illuminate the theoretical meanings of postcolonial femininism in relation with Foreign Literary Studies as a crucial area of Humanities. To do that, first, the developing process of Postcolonialim is summarized through the discussions of Frantz Fanon, Edward Said, and Homi Bhaba. Their ommission of gender and sometimes class being problematized, the desirable process of combining postcolonialism with feminism is examined through the theories of Gayatri Spivak developed in her In Other Worlds (1987). Thus, the heart of her postcolonial feminism is outlined as the dynamics of ‘race-gender-class’ and subaltern perspective. As a result of rereading Jane Eyre by operating the dynamics from the subaltern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ch as Jamaica, Madeira, and India represented in the novel, it is clarified that not only is the problematic of gender closely interconnected with those of class and race but also the colonial subaltern invisible are hovering over the empire. Furthermore, this result will open the possibility of making visible the new decolonial agencies from the subaltern colonial cultures denigrated for so long time. This refreshing Foreign Literary Studies through Race-Gender-Class Dynamic and Subaltern Perspective will also promote a kind of Subaltern Humanities.

      • KCI등재

        『버마 시절』과 아시아 여성의 재현

        태혜숙(Tae, Heasoo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2

        이 논문에서는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버마의 북부 하위지역 카우크타다를 다룬 『버마 시절』(1934)을 ‘인종과 젠더의 역학’에 따라 읽어본다. 그러한 읽기는 오웰의 반제국주의 입장에 내재된 남성중심성을 드러내는 가운데 ‘아시아 여성의 재현’이라는 문제틀을 부각한다. 이 문제틀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먼저 소설에 그려져 있는 버마의 자연과 문화를 살펴본다. 그 결과, 버마적인 것은 ‘야만적’인 것이자 위로를 주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주요 영국 및 버마 남녀 인물들을 그들의 인식 및 행위능력에 제국주의 이념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상호 침투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특히 인종적으로 또 성적으로 약자인 버마 토착 여성들이 가장 부정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이 밝혀진다. 소설에서의 이러한 부정성과 한계를 넘어 민족주의 의식을 갖고 행동하는 버마 여성을 재현하고 있는 영화 <더 레이디>(2012)를 『버마 시절』과 함께 상호보충적으로 읽어보는 것은 ‘아시아 여성의 재현’이라는 문제틀의 이론적 유효성을 입증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George Orwell’s first novel Burmese Days(1934) describing the colonial northern Burmese subregion life of Kyauktada through the dynamics of race and gender. These dynamics can reveal the men-centeredness of Orwell latent in his anti-imperialism and prompt us to propose ‘the representation of Asian women’ as a significant problematic. To operate that problematics, first, the nature and culture of Kyauktada are illuminated as both savage and comforting. Next, the interpenetrating aspects of imperial and patriarchal ideologies in the main British and Burmese characters" knowledge and agencies are critically examined. Because most Burmese women are located in racially and sexually minor positions, they tend to be represented in a doubly negative manner. Thus, the supplementary reading of Burmese Days with <The Lady> released in 2012 proves the theoretical effectivity of the problema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Asian women’ since the movie shows us a remarkable Burmese woman who has acted according to her faith and courage for Burmese nationalism and democracy together with other Burmese women, university students, monks, citizens, and private soldiers.

      • KCI등재후보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젠더번역’에 대한 탐색

        태혜숙(Tae, Heasoo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1

        이 논문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젠더번역’을 제안하고 그 이론적 방법론적 윤곽을 그려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 작업을 위해 먼저 ‘번역’을 원본에 의존하는 부차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들이 비판되며, 발터 벤야민, 자크 데리다, 호미 바바, 로버트 영의 문화/번역 이론들이 검토된다. ‘문화번역’의 맥락에서 그들의 진전된 논의에도 불구하고, 젠더의 문제틀은 일관성 있게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먼저 번역과 젠더를 연결하는 두 가지 방식인 ‘번역의 젠더화’와 ‘젠더화된 번역’을 살펴본다. 그 결과 ‘번역의 젠더화’는 그 역사적 현상을 비판하는 데 머물고 있으며, ‘젠더화된 번역’은 고려중인 텍스트들에 나타나는 젠더화된 정체성의 양상들을 언급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러한 한계들은 ‘젠더번역’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창안하도록 우리를 자극한다. 이 개념은 젠더라는 인식소를 번역에 집요하게 개입시킴으로써 ‘젠더’와 ‘번역’을 동시에 비판적으로 재구축하는 이론적 방법론적 지평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가야트리 스피박의 벵골 소설 ?젖어미? 읽기는 문화번역이라는 전복적 행위를 젠더라는 중단 없는 인식소와 결합함으로써 ‘젠더번역’의 윤곽을 예시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theoretical terrains of ‘gendertranslation’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cultural studies. To do that, first, I criticize the tendencies of ignoring ‘translation’ as something secondary to and dependent on the original text and examine the cultural/translation theories of Walter Benjamin, Jacques Derrida, Homi Bhabha, and Robert Young. In spite of their developed discussions in the context of ‘cultural translation’, the problematics of gender is consistently omitted. There have been two ways of connecting translation and gender: ‘gendering translation’ and ‘gendered translation’. The former tends to criticizing the historical phenomenon of ‘gendering translation’ while the latter merely mentions the aspects of ‘gendered translation’ in the texts concerned. Those limitations incite us to invent a new concept, such as ‘gender-translation.’ It attempts to intervene the translation persistently through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frame of gender, and critically reconstructs both gender and translation at the same time. As Gayatri Spivak’s translation of a Bengalese short novel “Breast-Giver” prefigures, ‘gender-translation’ is to combine the insurgent activity of cultural translation with the incessant episteme of gender.

      • KCI등재
      • 차이'의 정치학과 여성의 목소리 : 여성심리학의 올바른 입지를 위하여 Toward a Gaining Ground of Women's Psychology

        태혜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女性問題硏究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sirable ground of women's psychology by examining Carol Gilligan's In a Different Voice(1982, 1993) in the light of psychoanalytic feminism and ecofeminism. Gilligan's book is supposed to represent women's psychology written by women after 1960's. Reflecting the intellectual tendency of American Feminism after 1960's, the book is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tic feminism, Gillian's position is said to be centered on the experience and psyche of heterosexual normal white women. According to Freud, however, femininity and masculinity are not so fixed and stable but flexible and open. In view of ecofeminism, a different voice or ethics of caring Gilligan points out in women's psychology is too relativistic and eclectic to be enhanced to the level of a positive value enabling us to overcome the patriarchal and imperialistic value-system. In conclusion, a different voice of women or the value of femininity Gilligan emphasize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xperience and value-system of white heterosexual American women but be expanded to many different and marginal voices of women. Further, it shoud be lifted from merely one more voice to a true and restoring ground of our whole being. That is the way how we gain ground of women's psyc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