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스토리텔링’ 개념을 통한 역사문화콘텐츠의 사회문화적 의미

        태지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0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ncept of ‘historytelling’.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pproached storytelling from a macro perspective, exploring th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be combined with history in the present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In this context, storytelling has confirmed that it is a concept that can explain the current aspects at the visual, digital and convergence levels. Through this, this study presented how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be understood as a new area of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historytelling, digital historytelling, and convergence historytelling. Altogethe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make history re-recognized, because it discusses the historical practice of daily life, and involve media in the course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re areas that deal with the present as well as the past, and can be understood as areas that deal with history based on media rather than text. In conclusion,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be described as being transformed into "history doing," not conventional "history writing." 본 연구는 ‘히스토리텔링’ 개념을 통한 역사문화콘텐츠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다룬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것이 현재의 사회문화적 조건 속에서 역사와 결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토리텔링은 비주얼, 디지털, 컨버전스 차원에서 현재의 국면들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비주얼 히스토리텔링, 디지털 히스토리텔링, 컨버전스 히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새로운 역사 연구 영역으로서 역사문화콘텐츠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 역사문화콘텐츠는 역사를 다시 인식하게 한다, 이는 역사문화콘텐츠가 일상의 역사적 실천을 논의하는 것이며, 역사적 해석과 그것의 생산 그리고 소비의 과정에서 미디어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문화콘텐츠는 과거와 더불어 현재를 다루는 영역이며, 텍스트가 아닌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여 역사를 다루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역사문화콘텐츠는 종래의 ‘역사쓰기’를 넘어서 ‘역사하기’로 변화되는 모습으로 설명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태지호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a theoretical exploration that appropriates 'Cultural Studies' as a methodology for resear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the main concepts of ‘Cultural Studies’. This is a premise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appropriate 'Cultural Studies' to research methodology.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popular culture, practicality of every day culture and representation. Afterwards, this paper examine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through the problem framework of 'experience' and 'structure'. This is a discussion that examines the theoretical horizon of ‘Cultural Studies’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At the same time, this is also a discussion to confirm how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is related to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through the concepts of culturalism, structuralism, and hegemony. Since then, the appropriation of ‘Cultural Studies’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has been dealt with through the analysis point of production, contents, and consumption, which are the process of cultural circul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study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deals with the present and every day, and that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only as a specific commodities should be avoided.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위한 이론적인 탐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은 우선 ‘문화 연구’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를 연구 방법론으로 전유하기 위한 역사문화콘텐츠에 관한 전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를 대중문화, 일상문화의 실천성, 재현의 개념들 속에서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후 본 논문은 ‘문화 연구’의 입장을 ‘경험’과 ‘구조’라는 문제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작업이다. 동시에 이것은 문화주의, 구조주의, 헤게모니의 개념을 통해 ‘문화 연구’의 지적 전통이 역사문화콘텐츠 연구에 어떻게 맞닿아있는지를 확인하는 논의이기도 하다. 역사문화콘텐츠 연구를 위한 직접적인 ‘문화 연구’의 전유는 문화의 순환 과정인 생산, 콘텐츠, 소비라는 분석 지점을 통해서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역사문화콘텐츠 연구가 현재와 일상을 다루는 것이며, 특정한 재화로서만 역사문화콘텐츠를 접근하는 관점이 지양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문화적 기억으로서 ‘향수 영화’가 제시하는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태지호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6

        본 논문은 영화〈써니〉(2011)와〈건축학개론〉(2012)의 사례 연구를 통해 문화적 기억으로서 향수 영화가 과거를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이는 어떠한 문화적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우선 문화적 기억이 기억의 재현 가능성과 그 담론 작용에 초점을 두는 것임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향수는 그러한 문화적 기억의 한 종류로서 ‘과거 지향적’이고 ‘낭만적 모습’을 띠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향수 영화는 향수의 특성을 내포하며, 그에 따른 양식성을 가지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론으로 그레마스의 기호 사각형과 더불어 영화 속에 부재하고 억압되는 것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징후적 독해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논의된 점은 다음과 같다. 이들 영화는 우정과 사랑이라는 보편적 의미를 제시하며, 이를 위해 영화는 과거를 다양한 맥락이 배제한 채 판타지로서 기억하였다. 또한 이들 영화는 ‘기억하기’를 영화를 표현하는 형식으로 활용하며, 이는 현재 한국 사회의 모습을 재현하는 기제이자, 역사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재현의 본질적 특성을 보여주는 징후로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뉴미디어를 활용한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 - 봉화군의 청량산 박물관을 중심으로-

        태지호,권지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This Study is about the study about the composition of exhibition contents of local museum resulting from the changes of new-media exhibition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n its sec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this thesis discussed the allotment of economic role to local museum, the development of new media’s exhibition technology, the deterioration of exhibition contents, and the changes in audiences’ demand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And this thesis discussed the ‘story’s space’ from the planning viewpoint and the ‘spatial story’ from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and investigated the role of material for composing a museum as a story space and finally the planning process. Based on such theoretical discussion, this thesis recomposed the exhibition contents in Chongryang-san Museum. First of all,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materials relevant to Chongryang-san, the theme of Chongryang-san Museum, this thesis could materialize the heritage culture like Yoosangi (mountain-travel record), Ju, Se-Bung, Lee-Whang’s students, and immortal sayings in the Yoosangi, the ecosystem of Chongryang-san, the sightseeing, Choi, Chi-Won, Kim-Saeng, King Gongmin, Buddhism, Civil Army, folk tales as the Mt. Chongrayng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composed the Chongryang-san Museum into the 5 heritage culture exhibition halls and 6 Chongryang-san culture exhibition halls, and established each scenario for each space like space concept and its story. And the exhibition halls of Chongryang-san museum was zoned. Each heritage culture hall was partitioned into 5 theme spaces and 19 sub-theme spaces, and Each Chongryang-san culture hall was partitioned into 6 theme halls and 19-sub-theme halls. After designing the all spaces, this thesis designed the exhibition contents for each space. For it,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interactive-type, the screen-type, the special-effect-type, the location-based-type, VR‧AR‧Hologram-type new media and their exhibition effects, respectively.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thesis established audience’s exhibition experiences and an exhibition contents scenario. As seen the above results, this thesis was purposed for applying the changes of exhibition environment caused from new media to the exhibition contents in the Chongryang-san museum. However, this thesis was limited in that it only emphasized the appropriateness for utilizing the new media in the exhibition contents, but did not discuss the exhibition effect to be generated in case of really applying the exhibition contents of Chongryang-san museum from the audience. As the exhibition effect can become another research theme, so this thesis leaves it for future studies. 본 논문은 뉴미디어 전시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에서는 지역 박물관을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획의 관점에서 ‘이야기의 공간’과 해석과 수용의 관점에서 ‘공간의 이야기’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박물관을 이야기의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한 소재의 역할과 기획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를 재구성해 보았다. 우선 청량산 박물관의 주제인 ‘청량산’을 소재 조사한 결과, 유산기, 주세붕, 이황의 후학, 유산기 속 명언 등의 유산문화와 청량산의 생태, 관광, 최치원, 김생, 공민왕, 불교, 의병, 설화 등의 청량산 문화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청량산 박물관을 5개의 유산문화 전시공간과 6개의 청량산문화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공간별 컨셉, 스토리 등의 공간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그런 연후에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 공간을 조닝하였다. 유산문화 전시관은 5개의 주제공간과 19개의 소주제 공간으로 구획하였으며, 청량산문화 전시관은 6개의 주제공간과 19개의 소주제 공간으로 구획하였다. 공간 설계 이후에 각 공간의 전시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인터랙티브형, 스크린형, 특수효과형, 위치기반형, VR‧AR‧홀로그램형 뉴미디어와 전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관람객의 전시경험과 전시콘텐츠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본 논문은 뉴미디어로 인해 야기된 전시환경의 변화를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시콘텐츠의 뉴미디어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적용되었을 경우, 전시 효과에 관한 수용의 맥락을 논의하지 못한 것이 한계로 남는다. 이 또한 또 하나의 주제가 될 수 있기에 향후 연구로 남겨두겠다.

      • KCI등재

        1919년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를 중심으로

        태지호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memory of the 100th commemorative address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100th commemorative addr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dealt with the fact that the commemorative address is memory narrative reproducing the past in a special way, and that it implies a special cultural restraint logic as a public memory in that it is officially presented by the state’s institutional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100th commemorative addres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s summed up as ‘a country of past liquidation and innovative engagement’. The 100th commemorative addr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the ‘Inheritan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Better Republic of Korea’, which formed the meaning of the memory narrative. In addition, it discussed that the two commemorative addresses are not meant solely by the commemorative address, but rather present the present meaning by intersecting various memory practices. 본 연구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를 통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기억이 현재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념사는 과거를 특별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는 기억 서사이며, 국가의 제도적 절차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시되고있다는 점에서 공적 기억으로서 특별한 문화적 구속 논리를 내포하고 있음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 방법론으로서, 기념사 전문에 대한형태소 및 빈도 분석과 더불어 기념사의 서사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계열체와 통합체적 관점에서 기호학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의 의미는‘과거 청산과 혁신적 포용국가’로 요약된다. 이를 위해 ‘빨갱이’, ‘유관순’과 같은 대중기억을 활용하여 공적 기억을 재구성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는 ‘임시정부 계승과 더 좋은 대한민국’으로 기억 서사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정부 지도자들이라는 권위 의존적 기억을 통해 공적 기억을 강화하였다. 아울러 이 둘 기념사는 기념사 단독으로 의미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억 실천들과 교차하면서 현재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기념사는 우리 사회의 집단 정체성을 강화하며, 과거를 계속해서 구성 및 재구성하는 문화적 실천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우리는 왜 1990년대를 기억하는가: 1990년대 문화의 양상과 그 기억의 현재성

        태지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2

        본 논문은 ‘우리는 왜 1990년대를 기억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1990년대는 이미 지나간 과거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우리 사회에 소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문화가 현재의 시공간에서 다시 부각하는 현상이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그것이 ‘왜 1990년대인가’ 그리고 ‘왜 지금인가’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1990년대 문화의 특징에 대해서 아르준 아파두라이의 정경 개념과 레이몬드 윌리암스의 감정구조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추어, 1990년대 문화는 국내외적인 정치 및 경제 그리고 국제 질서의 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감정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지배적인 것으로 소비문화와 문화산업, 잔여적인 것으로 정치 권력의 작용 및 반작용의 문화 그리고 부상하는 것으로 디지털 문화는 상호 공존하며 1990년대 문화의 감정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후의 논의는 기억 개념을 중심으로 이러한 1990년대의 문화가 소환되는 양상 그리고 그 현재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루었다. 우선 1990년대 문화는 현재에는 잔여적인 것이지만 그것은 경제적인 가치와 더불어 현실의 모순으로부터 도피처를 제공하게 되면서 일종의 신화가 되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1990년대 문화를 기억한다는 것은 개인들이 연결과 참여를 확대하고 지속하는 방식의 일환이며, 이 시대의 공동체적 역능이 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1990년대 문화를 기억한다는 것은 그 잔여적인 것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자, 구성원들이 정체성을 유지, 확인 그리고 구성하기 위한 수행의 일환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영화 <작은 연못>이 재현하는 노근리 사건과 한국 전쟁의 대중 기억 구성

        태지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3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9

        을 규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한국 전쟁과 관련된 기억의 유형과 양상은매우 다양하지만, 본 연구는 노근리 사건을 최초로 다룬 영화 <작은 연못>을 통해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화 텍스트와 그 수용이라는 두가지 연구방법론적 입장에 근거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는 <작은 연못>의 서사, 표현, 상징 등과 같은 재현 그 자체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그것을 대중들이 어떻게수용 혹은 의미화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다루었다는 것을 뜻한다. 연구 결과, <작은 연못>은 기존 한국 전쟁 영화의 장르적 관습을 벗어나 기교나 표현을 최소화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작은 연못>은 노근리 사건에서 발생했었던 죽음이나 희생만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그 기억을 재생하거나 환기할 것을 유도하였다. 두 번째로 리뷰 분석을 통해, <작은 연못>을 매개로 하여 한국 전쟁의 대중 기억이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 유형의 특징은 이념적 대립의 소환, 인간성의 회복과 참회, 기억 그 자체에 대한 평가, 영화라는 재화에 대한 평가, 상호텍스트적 기억 등으로 요약된다. 종합하면, <작은 연못>은 단순히 시각적 경험을 제시한 영화가 아닌 기억의 정치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실천이며, 그에 따라 대중 기억또한 다양한 기억들 간의 경합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The question of how to remember the Korean War is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society and its members to this day. There are many types and aspects of memory related to the Korean War, bu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its meaning through the movie <A little Pond>(2010). <A little Pond> was the first film to deal with the Nogeun-ri incident, a civilian massacre, through the popular media of the movie, and it is clear that it is an example of popular memory about the Korean War. To this end, this study was discussed based on two research methodological positions: film text and its audience. This means that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 itself, such as the narrative, expression, and symbol of <A little Pond>, as well as the issue of how the audience accepts or means i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little Pond> rejects the genre conventions of existing Korean war movies and minimizes technique or expression. <A little Pond> encouraged the regeneration or evocation of memories beyond describing only the death or sacrifice that occurred in the Nogeun-ri incident. Second, through review analys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opular memories of the Korean War appeared in various ways through <A little P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are summarized as summon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restoration and penance of humanity, evaluation of memory itself, evaluation of the goods of film, and intertextual memory. In conclusion, <A little Pond> is not just a movie that presents visual experiences, but a cultural practice that reveals the politics of memory, and according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popular memory is also composed in competition among various memories.

      • KCI등재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문화콘텐츠 방법론으로서 담론분석 - 문화 분석의 전통과 담론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태지호,권지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5

        This study desires to examine methodological tradition and limit of analytics and structuralism as analyzing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and to seek a chance of Foucault’s discourse analysis as this alternative. In addition, the study will discuss what is an undertone of discourse analysis as methodology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a smart media environment. For this, this study discusses a metho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structuralist methodology and analytical methodology that are the time-honored tradition of cultural analysis, an undertone of them and the limit were discussed. In addition, as alternative methodology of this, discourse-analytical methodology of Michel Paul Foucault is suggested. Discourse is a collection of statements about a method to think things as a special meaning and a method that we act on the basics of the thought, and means special knowledge about how to understand the world and how things are put. Discourse is important because of viewpoint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An analysis on this discourse not only supplements the limit of structuralist methodology and analytical methodology, but also considers a social meaning of a lot of cultural contents mass-produced in various places in a smart media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analysis can help discuss status of producer and consumer who are the main agents of cultural contents and discuss the setting of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is study is that big data triggered by smart revolution of the day is operated by discourse. The bigges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possibility of a discourse analysis was investigated as methodology to supplement the tradition of structuralism and analytics. 본 연구는 텍스트로서 문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기존의 텍스트에 관한 연구 방법론의 전통으로서 구조주의와 해석학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푸코의 담론 분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문화콘텐츠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담론 분석이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문화 분석의 오랜 전통인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을 고찰하며 이들에 대한 함의와 그 한계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미셸 푸코의 담론 분석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담론이란 특별한 의미로서 사물이 생각되어지는 방법과 우리가 그 생각의 기초위에서 행동하는 방식들에 대한 진술들의 집합인데, 이는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사물들이 놓여 있는지에 대한 특별한 지식들을 말한다. 담론이 중요한 점은 문화와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의 관점에 있어서이다. 이러한 담론에 대한 분석은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해 줄 뿐 아니라,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있어서 다양한 지점에서 양산되는 수많은 문화콘텐츠들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문화콘텐츠의 주체인 생산자, 소비자의 위상과 이들의 관계 설정을 논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오늘날의 스마트 혁명으로 촉발된 빅데이터가 담론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담론 분석이 구조주의와 해석학의 전통을 보완하는 방법론으로써의 가능성을 밝힌 점이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서 본 한국전쟁의 기억과 정치적 함의

        태지호(TAE Jiho),정헌주(JUNG Heonjoo)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단둥에 위치한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 중국이 한국전쟁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고, 그 정치적 함의를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중국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의 중요성, 전쟁 기념이라는 사회적 실천과 정치적 의미, 그리고 문화적 기억으로서 기념관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접 항미원조기념관을 방문하여 현지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기념관이 내포하고 있는 특정한 서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서사 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기념관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과 그에 따른 ?담화? 구성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항미원조기념관은 한국전쟁을 통해 미국의 침략에 맞서 중국과 조선이 정당한 전쟁을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영웅들의 헌신적 노력과 조·중간 혈맹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결국 애국주의의 고취로 귀결되는 반면, 당시 북한의 역할, 중국의 내적 갈등과 국제관계 등 많은 중요한 것들은 망각되어진다. 21세기 G-2로 부상한 중국에게 있어서 미국과의 새로운 결전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러한 애국주의이며, 한국전쟁은 그렇게 탈맥락화되어 기억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ina"s memory of the Korean War by analyzing ?Memorial of Resisting U.S. Aggression and Aiding Korea (Korean War Museum)? in Dandong, China and to discuss its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we take a close look at thre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to China, the memory of war as social and political practice, and museum as cultural memory. Then, based on the site visit and observation, we analyze what and how the museum delivers to the audience in order to understand its specific narrative by employing narratology. The paper finds that while the museum remembers the War was a just war as a response to the American imperialism and fought with heroes" dedication and Sino-DPRK friendship, it forgets the role of North Korea, domestic problems of China, and international context. What China, an emerging G2, requires to meet the new challenge is a renewed patriotism for which the Korean War is de-contextualized and remembered as su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