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달의 과학자-수학연구로 과학기술발전에 공헌 포항공과대 수학과 최희준 교수

        최희준,Choe, Hui-Ju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5 과학과 기술 Vol.28 No.1

        「이달의 과학자」로 선정된 최희준교수는 물리현상 및 공학현상의 수학적 모델인 포물선형 편미분방정식과 변분부등식 해의 행태 등의 연구로 과학기술분야의 균형적 발전에 큰 공을 세웠다.

      • KCI등재

        Use of Sentinel Lymph Node Biopsy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xillary Node-Positive Breast Cancer in Diagnosis

        최희준,김이삭,Emad Alsharif,박성민,김재명,류재민,남석진,김석원,유종한,이세경,이정언 한국유방암학회 2018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1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on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cytology-proven axillary node metastasis. Methods: We selected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nvasive breast cancer an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and were treated with NAC followed by curative surgery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4.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hree groups: group A, negative sentinel lymph node (SLN) status and no further dissection; group B, negative SLN status with backup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 and group C, no residual axillary metastasis on pathology with standard ALND.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51 months (range, 3–122 months) and the median number of retrieved SLNs was 5 (range, 2–9). The SLN identification rate was 98.3% (234/238 patients), and the false negative rate of SLNB after NAC was 7.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xillary recurrence-free survival (p=0.118), diseasefree survival (DFS; p=0.578) or overall survival (OS; p=0.149) among groups A, B, and C. In the subgroup analysis of breast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pCR)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FS (p=0.271, p=0.892) or OS (p=0.207, p=0.300) in the breast pCR and non-pCR pati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NB can be feasible and oncologically safe after NAC for cytology-determined axillary node metastasis patients and could help reduce arm morbidity and lymphedema by avoiding ALND in SLN-negative patients.

      • KCI등재

        Effect of Poloxamer-Based Thermo-Sensitive Sol-Gel Agent on Upper Limb Dysfunction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최희준,유재민,채병주,김은규,민준원,신혁재,남석진,유종한,이정언,이세경,김석원 한국유방암학회 2021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4 No.4

        Purpose: Restricted shoulder motion is a major morbidity associated with a lower quality of life and disability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antiadhesive effect of a poloxamer-based thermosensitive sol-gel (PTAS) agent after ALND. Methods: We designed a double-blind,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PTAS in reducing upper-limb dysfunction after ALND. The primary outcome was the change in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shoulder before surgery and 4 weeks after ALND (early postoperative period). Secondary outcomes were shoulder ROM at six months, axillary web syndrome, and lymphedema (late postoperative period). Results: A total of 170 patients with planned AL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2 groups (poloxamer and control) and 15 patients were excluded. In the poloxamer group (n = 76), PTAS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operative field after ALND. ALND was performed without the use of poloxamer in the control group (n = 79).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the poloxamer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early postoperative restrictions in total shoulder ROM at four weeks (−30.04 ± 27.76 vs. −42.59 ± 36.79; p = 0.0236). In particular, the poloxamer group showed greater reductions in horizontal abduction at four weeks (−3.92 ± 9.80 vs. −10.25 ± 15.42; p = 0.0050). The ROM of the shoulder at 24 weeks, axillary web syndrome, and lymphedem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in either group. Conclusion: We suggest that poloxamer might improve the early postoperative shoulder ROM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ve undergone ALND.

      • KCI등재

        신라의 우산국 복속과 연륙항로

        최희준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7

        본 논문은 신라와 우산국 사이의 연륙항로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 결과물이다. 먼저 우산국의 건국은 5세기 중후반에 강원도와 경상북도 해안 일대의 濊人 중 일부가 바다를 건너 울릉도에 정착한 뒤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우산국인들은 어로와 경작을 통해서 기본적인 경제생활을 영위하였고, 한반도 동해안 지역의 재지세력과 교역을 통해서 부족한 식량과 물자를 수급하였다. 그러던 중 신라가 6세기 이후 동해안 지역에 대한 통치 방식을 기존의 간접지배에서 직접통치로 전면 전환함으로써 우산국과 갈등을 야기하였고, 그 결과 신라는 512년 군사를 내어 우산국을 정벌하고 우산국의 항복을 받아냈다. 512년 이후 신라와 우산국의 관계는 宗屬關係로 규정할 수 있다. 우산국은 독립국으로서 매년 신라에 토산품을 공물로 헌상하였고, 신라로부터 다양한 물품과 문화를 수입·수용하였다. 양국의 이 같은 교류는 신라-우산국 연륙항로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 항로의 신라측 입·출항지는 죽변항이나 구산항과 같이 오늘날 울진 지역의 포구였고, 우산국측 입·출항지는 울릉도 북부의 현포항에 비정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prepared to clarify the sea route between Silla and Usan-guk in detail. First, Usanguk was identified as a country founded by some of the Don-Ye(東濊) from the coast of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in the mid-to-late fifth century after they crossed the sea and settled on Ulleungdo Island. They led essential economic lives through fishing and cultivation and supplied insufficient food and supplies through trade with local forces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cross the sea. Meanwhile, Silla, which dominated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completely changed its rule style over the region from the existing indirect rule to direct rule after the 6th century. Usanguk which was trading with the ruling forces on the east coast, had a conflict with Silla, and as a result, Silla conquered Usanguk in 512 with military forces, and Usanguk surrendered to Silla. After 512,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Usanguk can be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zerain and the subordinate country(宗屬關係). Every year, Usanguk dedicated indigenous products to Silla as a tribute and imported and accepted various goods and cultures from Silla. Such intercourse between the two countries took place through the sea route of Silla-Usanguk. The entry and departure point for Silla on this sea route was a port in today's Uljin area, such as Jukbyeon Port(竹邊港) and Gusan Port(邱山港). And the entry and departure point toward Usanguk can be fixed at Hyeonpo Port(玄圃港) in the northern part of Ulleungdo Island.

      • KCI등재

        Patterns of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in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최희준,김재명,류재민,김이삭,남석진,유종한,이세경,이정언,김석원 한국유방암학회 2018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1 No.4

        Purpose: The recent trend in breast cancer treatment is to minimize axillary dissection. However, no pattern of axillary metastasis has been precisely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tastatic lymphatic pattern using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with indocyanine green (ICG) in breast cancer with cytologically proven axillary metastasi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We evaluated 147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volving cytologically proven axillary metastasis, and compared physiological and nonphysiological lymphatic metastasis. Results: We performed lymphatic mapping for 64 patients who exhibited level II lymphatic flow on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with ICG, and found that all had axillary metastasis: 51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and 13 patients post- NAC. Of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NAC, 32 had physiological lymphatic metastasis and 19 had nonphysiological lymphatic metastasis. The risk factors for nonphysiological lymphatic metastasis were age ≥55 years, high Ki-67 index (>20%), and perinodal extension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p<0.05). Conclusion: Patients with identified risk factors in cytologically- proven axillary metastasis who did not receive NAC may have nonphysiological lymphatic metastasis.

      • KCI등재

        신라 하대의 쿠데타와 대외교섭

        최희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6 No.-

        쿠데타는 체제 내 중요 권력을 가진 인물이나 소수 그룹이 갑작스럽고 불법적인 방법으로 정부를 전복하고 권력을 장악하는 정치 행위이다. 신라 하대는 쿠데타가 자주 발생했던 시기로, 155년 동안 14차례의 쿠데타가 시도되었고, 이 중 5건이성공하여 약 35%의 성공률을 보였다. 이 시기의 성공한 쿠데타로는 780년 김양상, 785년 김경신, 809년 김언승, 838년 김명 및 김우징의 쿠데타가 있으며, 이는 주로하대 초기 60년 동안에 집중되었다. 840년대 이후의 쿠데타 시도는 모두 실패로돌아갔는데, 이는 신라 국왕들이 쿠데타에 철저히 대비했을 뿐만 아니라, 중앙귀족중심의 신라 사회가 해체되어 가는 과정에서 민중 봉기 등 다양한 방식의 저항이강화된 결과로 보인다. 쿠데타로 집권한 왕들은 대외교섭을 활발히 진행하였는데, 특히 당과의 관계를 통해 정치적 안정과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관련하여 선덕왕과 헌덕왕은 즉위 초기에 대당 외교 교섭에서 전왕의 사망과 자신의 즉위 사실을 의도적으로 숨기는 비정상적인 외교 행태를 보였다. 이는 쿠데타 왕권의 정당성과 정통성 결여에 기인한 것으로, 당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전략이었다. The late period of Silla was marked by frequent coups, reflecting the internal instability and political volatility within Silla society. These events played a crucial role in shifting the power dynamics and reshaping the political order within Silla. When successful, new monarchs would actively engage in foreign diplomacy, especially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the Tang, as part of their efforts to overcome political instability and secure international legitimacy. Such diplomatic activities were essential for elevating Silla's international standing and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the new monarch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e kings who ascended to power through coups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prioritizing relations with Tang, the major power of the time, was a critical strategy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Friendly relations with Tang provided Silla with political support and stability, contributing to overcoming internal instability caused by coups and securing recognition and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dispatch of envoys to Tang by the kings who ascended through coups right after their coronation can be seen as part of this strategy, revealing Silla's intention to emphasize its legitimacy internationally and to secure internal political stability through diplomatic relations. Specifically, the use of unconventional diplomatic strategies by Kings Seondeok and Heondeok, such as intentionally concealing the news of their accession,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overcome the legitimacy deficit caused by the coups. The prioritization of diplomacy with Tang by the monarchs of late Silla who came to power through coups was a pragmatic choice considering Sill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The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ng brought political stability and international support to Silla,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overcoming the internal instability caused by the coups. This strategy indicates Silla's efforts to secure international legitimacy and overcome the political instability resulting from the coups. On the other hand, the lack of official diplomacy with Japan suggests that Silla did not see significant benefits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at the time or placed more emphasis on its relations with Tang. This indicates that Silla's foreign policy was focused on securing its position and legitimacy in the international arena, primarily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ang, rather than establishing formal diplomatic ties with Japan.

      • KCI등재

        신라 황룡사구층탑의 건립과 국제정세

        최희준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본고는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과정을 640년대 전반의 신라가 처해 있던 국제정세와 그 변화 속에서 재검토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642년 백제의 침공으로 발생한 국내외 위기를 수습하려고 당에서 구법 중이던 승려 자장을 643년 3월 신라로 귀국시켰다. 또한, 백제와 고구려의 연합 공격을 막기 위해서 643년 대당 청병외교를 추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여왕 통치의 정당성 문제가 재차 수면 위로 떠 오르게 되었다. 이에 자장은 신라 선덕왕에게 황룡사에 9층탑의 건립을 요청하였다. 선덕왕과 그 지지세력은 황룡사구층탑의 건립을 추진하여 선덕왕의 신성성과 권위를 강조하고 여왕 통치에 대한 세간의 불만을 불식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준비가 진행되던 644년 여름, 당으로부터 대고구려 원정에 참전하라는 요구가 신라로 전달되었다. 신중한 논의를 거쳐 신라는 결국 파병을 결정하였고, 그사이에 발생할지 모를 백제의 역습에 대비하기 위해서 644년 9월부터 백제와 공방을 재개하였다. 마침내 당의 고구려 원정이 개시되었고, 신라도 645년 5월에 3만 명의 군사를 내어 참전하였다. 그러나 전쟁은 당 태종의 철군으로 별다른 성과 없이 종식되었고, 참전을 주장했던 선덕왕과 여왕지지세력은 책임을 지고 권력을 분점해야만 했다. 한편, 계속되는 고구려·백제와의 전쟁으로 당시 신라인들을 불안에 떨었고, 이에 신라는 전쟁으로 흔들리는 민심을 안정시키고 규합하기 위해서 황룡사구층탑의 건립에 더욱 박차를 가하였다. 그 결과 대고구려 전쟁이 실패로 끝나고 여왕 반대세력과의 권력 분점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황룡사구층탑 건립 사업은 지체없이 추진되어 마침내 646년에 완공하게 되었다. 결국 황룡사구층탑은 그 건립 과정을 거치면서 여왕의 신성성과 권위를 증명하는 장치를 넘어서, 전쟁의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로운 시대가 도래하기를 희망하는 신라인들의 간절한 염원이 강하게 투영된 상징물로 자리매김하였다.

      • KCI등재후보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최희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논총 Vol.36 No.-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는 신라가 황룡사구층탑을 세우기 위하여 백제에造塔技術者를 요청하였고, 이에 백제가 아비지라는 工匠을 신라에 파견하여 탑을완성시켜주었다는 내용이 전한다. 그러나 그 배경이 되는 640년대의 양국 관계는백제의 신라에 대한 波狀공격으로 그 어느 때 보다도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당시의 백제가 황룡사구층탑 건립을 위하여 신라에 工匠아비지를파견해 주었다는 황룡사구층탑조의 내용은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 『三國遺事』 황룡사구층탑조에는 곳곳에 설화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으며, 또한일부에서는 고려 초의 인식이 투영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 조목 중 탑의 연기와 관련된 부분의 서술은 고려 초에 성립된 설화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백제의 아비지 파견 역시도 이야기의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설화적 요소 중 하나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같은 이야기의 모티브가 된, 『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의 기록에서와같은 ‘大匠百濟阿非’라는 문구는 “大匠의 직을 맡은 백제인 아비”라는 의미이며, 그는 백제 중앙에서 활동하다가 백제 정계의 정치적 혼란을 피하여 신라로 망명한匠人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최희준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7 No.-

        Sill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党項城) w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and bridgehead of diplomat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illa and Tang. Originally, the name of the castle had been written 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唐項城). in Chinese characters, meaning a “castle on the road to Tang.” Silla organized Namyang region into Tangsŏng county(唐城郡), with Tanghang Castle as the capital city of the county. The name of the county, Tangsŏng(唐城), came from the Tanghang Castle, omitting the word “hang(項)” from Tanghang Castle(唐項城). Later, Silla changed Chinese characters of the name from Tanghang sŏng(唐項城) to Tanghang sŏng(党項城) in the second year of King Sŏndŏk(善德王). The new Chinese characters for the castle, Tanghang(党項), referred to Tangut(党項), an ethnic group in the west frontier of the Tang Dynasty. Silla’s intention to change the name was to congratulate the Emperor of Tang on Tangut’s submission to his rule. It was a desperate diplomatic measure of King Sŏndŏk, who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about her legitimacy of succession because of her gender; the king attempted to conciliate Emperor Taizong(太宗), who had boycotted installation of King Sŏndŏk, and ultimately pacify the opposition in the political sphere of Silla.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cation war in the 7th century, Tanghang Castle consistently played a critical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from Silla. Yet after the end of the war, Silla reorganized the system of regional governments on a nationwide scale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神文王). In this process, the capital city of Tangsŏng county transferred to flatland, and evidently Tanghang Castle lost its status as a capital city, and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본 논문은 신라의 ‘党項城’에 대해서 기존 연구들이 가지고 있던 개략적인 이해를 비판하면서, 그 구체적인 연혁을 사료에 입각하여 새롭게 밝혀보고자 한 결과물이다. 党項城은 신라의 對唐 교류에 있어 교두보이자 관문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 城이다. 본래 신라는 당항성을 “唐으로 가는 길목의 城”이라는 의미로 ‘唐項城’이라 한자 표기하고, 治所로 삼아 남양 지역 일대를 唐城郡으로 편제하였다. 여기서 唐城郡의 ‘唐城’은 ‘唐項城’에서 ‘項’자를 생략한 뒤 郡의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이후 신라는 善德王 2년(633)에 ‘唐項城’의 한자 표기를 ‘党項城’으로 수정하였다. ‘党項’이란 隋·唐代 중국의 서쪽 변경에서 활동하던 이민족, 탕구트(党項, Tangut)를 가리키는 특수한 단어였는데, 신라가 이를 對唐 교류의 관문성 명칭으로 차용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전 해(632)에 있었던 당 태종의 탕구트 복속과 서쪽으로의 당 영토 확장을 축하하는 의미뿐만 아니라, 당 태종이 탕구트에 대해 펼친 위무책으로 인해 서방 진출의 중요한 발판을 확보할 수 있었던 사실을 환기시키고, 이에 견주어 선덕왕에 대한 책봉을 긍정적으로 재검토하게끔 만들 명분을 제시하고자 한 계산까지도 담겨 있었다. 이는 새롭게 왕위에 오른 善德王이 여왕의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불거진 정통성과 정당성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꺼내든 여러 외교적 카드 중 하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党項城은 7세기 삼국통일전쟁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對唐 통교의 관문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다가 삼국통일전쟁이 종결되자 신라는 神文王代 전국적으로 지방행정구역의 정비를 단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당항성에 위치해 있던 唐城郡의 治所가 평지로 이전되게 되었다. 이에 党項城이 지니고 있던 郡治로서의 지위와 對唐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