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전서사 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하여

        최호석 (재)한국연구원 2020 한국연구 Vol.0 No.4

        본 연구는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현황과 남은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본고에서는 활자본 고전소설을 ‘20세기 초에 출판 자본가들이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하여 연활자를 활용하여 대량 출판한 단행본으로, 그 내용은 국내외의 고전소설과 그것의 개작, 고전이나 역사에서 유래한 서사적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라고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의에 따른 최초의 활자본 고전소설은 1906년에 박문사, 대동서시 등에서 발행한 『서상기』이며, 그 마지막 작품은 1978년에 향민사에서 발행한『박씨전』, 『홍길동전』 등이다.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는 MS Office Acce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활자본 고전소설의 서지 정보를 충실하게 담을 수 있는 41종의 항목을 설계하였다. 그리고조희웅의 『고전소설 이본 목록』과 『고전소설 연구보정』을 참고하여 작품의 표제를 선정한 뒤, 각종 목록에 소개된 작품들과 영인본, 그리고 주요 도서관 소장본과 개인 소장본의 서지 정보를 각 항목에 맞게 입력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는 수요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조건’의 ‘검색’, 조건에 따른 ‘정렬’과 이를 이용한 ‘통계’, 그리고 ‘접근성’과 그것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음과 같이 수정, 보완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 먼저 활자본 고전소설 판권지에는 ‘판(版)’과 ‘쇄(刷)’의 구별이 없이 ‘판(版)이라는 용어만 사용하고 있어 각 판본간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필자가 작성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도서관 소장본의 경우 해당 도서관의 URL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다가 바로 각 도서관의 검색 결과창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각 도서관의 URL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할 때 참고한 각종 목록과 각 도서관에 소장된작품들 가운데에는 서지 정보가 불분명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이러한 목록과 도서관 정보에 의해서만 작성된 것은 지속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안성판과 경판의 거리

        최호석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본고는 19세기 후반에서 1920년대까지 안성에서 간행한 방각본의 특성과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성판의 현황을 검토한 다음 안성판과 경판을 비교한 결과 새롭게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박성칠은 1910년대에 북촌서포와 박성칠서점을 경영하면서 19세기 말에 동문리에서 간행한 방각본 고전소설 7종 가운데 3종의 판목만 인수, 간행하였다. 그리고 동문리에서 간행한 적이 있는 작품인데도 이를 활용하지 않고 새로운 판목을 조성한 것을 볼 때, 박성칠이 동문리 방각소를 운영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성판 방각소설은 경판 방각소설의 자장(磁場) 안에 있었지만 경우에 따라 경판 방각소설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에 안성에서 간행된 실용서적과 아동용 학습서는 서울에서도 유통이 되었지만, 안성을 중심으로 하는 상당히 넓은 배후지에 유통되었다. 이처럼 안성판 방각본은 경판 방각본과 관계를 맺으면서 때로는 자체적인 필요에 의해 생산, 소비되었다. 그리고 안성판 방각본이 안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다양한 지식을 전파하였다는 점에서 당대의 지역 사회, 문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made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Banggakbon which had been published in Anseo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1920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Anseongpan and the comparison of Anseongpan with Gyeongpan, New findings are come out as follows. Park Seong Chil took over and published only 3 kinds of wood block among 7 kinds of classical Banggakbon novel published in Dongmun-ri in the late 19th century while he was running Bukchonseopo and Park Seong Chil Seojeom in 1910s. In addition, it seemed that he had not operated Dongmun-ro Banggakso as he formed new blocks not utilizing such works which had been ever published in Dongmun-ri. Besides, Anseongpan Banggak novel was belonged to an area of Gyeongpan Banggak novel, but situation gave it opportunities to rather have an influence on Gyeongpan Banggak novel. In addition, Practical books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ildren published in Anseong in 1920s were distributed not only in Seoul but the wide range of hinterland centering around Anseong. As such, Anseongpan Banggakbon entered into a relation with Gyeongpan Banggakbon and sometimes became the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necessary. It may be recognized that Anseongpan Banggakbon gave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local society and culture of the age as it diffused various knowledge to the area centering around Anseong.

      • KCI등재

        습곡관련 구조요소들을 이용한 다양한 습곡축 측정방법의 실제적 적용성과 문제점: 충북 단양지역에서의 예

        최호석,김영석,Choi, Ho-Seok,Kim, Young-Seog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2

        대표적인 연성변형구조인 습곡에서 습곡축의 자세는 3차원 습곡구조의 발달양상뿐만 아니라 변형 당시의 최대 수평주응력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습곡축의 자세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습곡축이 노출되는 경우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습곡과 관련된 구조요소들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측정방법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이들 방법들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같은 습곡에 대해 다른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습곡축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습곡구조가 잘 발달해 있는 충북 단양지역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층들과 평안누층군의 만항층에 걸쳐 6곳의 노두에서 습곡구조의 습곡축 자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다른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들도 대부분 서로 잘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 다양한 측정방법들의 실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단양지역의 습곡구조는 서북서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노두에서 모두 북-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보였으며, 이는 서북서-동남동 내지 북서-남동 방향의 최대수평주응력 환경에서 만들어진 습곡들로 판단된다. 서북서 방향의 습곡축은 다른 시기의 습곡작용을 지시하는 것으로 보이며, 북-북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습곡구조와 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습곡구조 사이의 주향 차이는 하나의 습곡작용에서 습곡구조의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생긴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증거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old axis of fold, a representative ductile deformation structure, is importan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3D fold structure and the orientation of max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at the time of deformation. For this reason, several fold axis measurement methods based on the fold-related structural elements have been suggested and used even in areas wher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it directly. Thus, these various measurement methods are briefly introduced here, and the measured data with different methods are compared to estimate these methods' reliability. For this purpose, we acquired fold axes at six sites across the Manhang formation of the Pyeongan supergroup and limestones of the Joseon supergroup in Danyang, Chungcheongbuk-do, where fold structures are well developed. The data from the different methods are generally consistent, indicating practical applicability. Most of the fold axes from the measured sites show NNNE or NE trends indicating WNW-ESE or NW-SE trending max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except for the one site with a WNW trend. The WNW-ESE trending fold axis might be related to a different orogeny or secondary folding. The minor difference in the trends between N-NNE and NE was interpreted as being due to different scale;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창서관의 고전소설 출판에 대한 연구

        최호석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research explores KANG Eui-yeong, who founded and managed Yeongchang Publishing Company,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publishing company in Korea in the early part of 20th Century, and the classic novels published by Yeongchang Publishing Company. Followings had been foun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KANG Eui-yeong had learned publishing business in Bakmoon Publishing Company. In 1914, KANG Eui-yeong began his own publishing business by founding Sechang Publishing Company with WANG Se-chang as partner. In 1915, Sechang Publishing Company published “General Yeo’s story” and “LEE Tae-baek story”. In 1917, KANG Eui-yeong established Yeongchang Publishing Company, which became a big success in commercial publishing focusing on profit. Yeongchang Publishing Company published more than 160 classic novels. With such success, KANG Eui-yeong also served in the education field. He established Yoo-ha Foundation and became the first Director of Ehwa Girls’ High School. Influenced by the success of KANG Eui-yeong, many of KANG Eui-yeong’s relatives worked in publishing business. KANG Ha-hyeong, the son of KANG Eui-yeong’s male cousin, managed Taehwa Publishing Company and Daesung Publishing Company. KANG Eun-hyeong managed Deasung Publishing Company and KANG Geun-hyeong managed Younghwa Publishing Company. SHIN Tae-sam, the son of KANG Eui-yeong’s sister, founded and managed Sechang Publishing Company, after he had worked in Youngchang Publishing Company. 본고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한국 출판계를 대표하는 출판사였던 영창서관(永昌書館)을 경영한 강의영(姜義永, 1894~1945)과 영창서관의 고전소설 출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밝혀진 것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출판과 관계된 일을 배운 강의영은 1914년에 세창서관을 왕세창과 공동 경영하면서 출판업에 투신하여, 1915년에는 <여장군전>과 <이태백실기> 등을 발행하였다. 이후 1917년에 영창서관을 세워 상리(商利)에 중점을 둔 출판 활동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60여 회에 걸쳐 고전소설을 발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교육사업에도 헌신하여 1944년에는 유하재단을 세워 이화여고의 초대 재단이사장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강의영의 친인척 중에는 강의영의 성공에 힘입어 출판업계에 종사한 사람이 많았다. 강의영의 종질인 강하형은 태화서관과 대성서림을 경영하였으며, 강은형은 대성서림을, 강근형은 영화출판사를 경영하였다. 그리고 강의영의 생질인 신태삼은 영창서관에서 일하다가 독립하여 세창서관을 경영하였다.

      • KCI등재

        活字本 古典小說에 대한 統計的 考察

        최호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3

        This thesis looked into the overall tendency of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by making an analysis on the surge database of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that the author of this thesis is currently drawing up. Started with publication of <Seosanggi> in 1906,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were started to be published in earnest from 1912. They were much published from 1913 through 1929 and continued to be published until 1978 even after liberation by some publishers including Saechang Seogwan Press.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were mostly published in Seoul and other places except Seoul, Jaejeondang Seopo Press and Hyangminsa Press in Daegu and Dongmyeong Seogwan Press, Songgihwa Shop and Gwangmun- chaeksa Press in Pyeongyang published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as well. The price of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had relevance to the quan- tity of a book.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business consideration of publishers ed much influence in setting a price on the printed type classical novels. 본고에서는 필자가 작성하고 있는 活字本 古典小說 書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활자본 고전소설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활자본 고전소설은 1906년 「西廂記」의 發行에서부터 시작되어 1912년부터 本格的으로 발행되었다. 그리고 1913~1929년에 많이 발행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世昌書館을 비롯한 몇몇 출판사에 의해 1978년까지 계속하여 발행되었다. 활자본 고전소설은 거의 대부분이 서울에서 발행되었는데, 서울 외에는 大邱에서 在田堂書鋪와 鄕民社에서, 平壤에서는 東明書館과 宋基和商店, 光文冊肆에서 활자본 고전소설을 발행하였다. 활자본 고전소설의 價格은 책의 分量과 관련이 있었으나 활자본 고전소설의 가격 책정에는 출판사의 事業上의 考慮가 더욱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