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현상학과 해석학 - 뽐 리꾀르의 변증법적 해석

        최태연 ( Taeyon Choi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인문학연구 Vol.26 No.-

        주지하는대로 하이데거 이후의 현대 해석학의 전개는 결정적으로 훗설 현상학에 힘입고 있다. 그러면 현상학과 해석학은 구체적으로 어 떤 관계에 있는가? 필자는 프랑스의 대표적 해석학자 쁠 리피르 (Paul Ricoeur)의 명제들과 이에 대한 독일의 남미계 현상학자 안토니오 아기레 (Antonio Aguirre)의 반론을 다시 검토해 봄으로써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대답을 시도하고자 한다. 리피르는 이미 그의 철학의 초기인 40년대로부터 현상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훗설의 저작에 대한 번역들과 더불어 훗설의 선험 현상학에 대한 비판적 논문들을 발표했다. ‘실존론적 현상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시기의 현상학적 연구의 기반 위에서 리찌르는 60년대 이후 해석 학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다. 따라서 리피르의 해석학은 그 자신이 인정하는대로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과 가다머의 ‘현상학적으로 정위된 해석학’의 틀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렇게 그의 철학을 형성하는 현대철학의 두 가지 중요한 방법들의 관계를 리피르는 70년대 중반에 이르러「현상학과 해석학」(Phenomenologie et hermeneutique)이라는 논문에서 다시 체계적으로 반성한다. 여기서 그는 중심명제를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해석학은 일차적으로 현상학을, 엄밀히 말하면 현상학에 대한 “훗설 자신의 관념론적 해석을 파괴” 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상학과 해석학 사이에는 ‘상호귀속적 관계’가 성립 한다. 다시말하면 현상학은 그 기본개념의 일반적이고 비관념론적인의 미차원에서 “해석학의 필수불가결한 전제.”로 남는 동시에, 해석학적 전 제, 특히 ‘해석’(Auslegung)이라는 방법적 개념의 도움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다빈치 코드」와 페미니즘

        최태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 인문학 Vol.4 No.3

        This paper discusses the feminist motive to the Da Vinci Code, an extremely popular novel by Dan Brown. His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Christianity is a radically feminist one because of four reasons: 1) the biblical God Yahweh (Jehovah) was a bisexual (hermaphroditic) God; 2) Jesus was the first “feminist” and was married to Mary Magdalene, who was intended by Jesus to be head of the Church rather than the apostle Peter; 3) the Emperor Constantine consolidated male power in the Church and collated the Bible; and 4) the Gnostic Gospels suggests a feminist origin of Christianity. I think that there is too little substance or documentation for Dan Brown’s “feminist” theory. I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the biblical God does not truly have gender, although he is represented as father, king, and husband, for he is not a physical creature that has male or female gender. There is no reliable document supporting the marriage of Jesus with a woman. Furthermore,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Jesus a “feminist.”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first century. It is not true that the Roman Emperor Constantine strengthened the male-dominated church. It is historically true that Constantine invited about 300 bishops from across the Roman Empire to the Council of Nicea (325 AD). But these bishops were already male, and women did not hold such positions. A common characteristic of Gnosticism is paternalism rather than feminism. Even if Brown’s feminist critique went the wrong way, the problems of paternalism in the Church should necessarily be examined through a genuinely biblical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