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의 성과와 과제 분석

        최진혁,송은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arents on the 4 major areas of the 5th Special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Plan ('18~'22) and to explore primary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through IPA.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variou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teachers and teacher assistants), researchers, and parents. A total of 376 responders’ data were analyzed. Via pared t-te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4 major areas, 13 major tasks, and 38 sub-tasks of the 5th Special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Plan ('18~'22) was analyzed. The IPA matrix was present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5th Special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Plan ('18~'22), the major area of 'I. Ensuring Equal and Fair Education Opportunities' showed the importance was highest. Areas I and 'Ⅳ. Spreading the Empathy Culture of Disability and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highest. The major area of 'II. Enhancing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Servic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biggest. Second, the IPA matrix represented that the several tasks of the major Areas I and IV need to be continuously promoted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represented that the tasks of Area II should be concentrated.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ain achievements of 5th Special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Plan ('18~'22) and future potential tasks for the next 5-year Special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Plan ('23~'27)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의 4대 분야 추진 과제에 대한 특수교육 교직원(특수교육 지원인력 포함),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 특수교육 전공 교수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주요 성과와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교직원,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 특수교육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7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의 4대 분야, 13개 중점 과제, 38개의 세부 추진 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의 추진 과제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중요도는 ‘Ⅰ. 균등하고 공정한 교육기회 보장’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행도는 ‘Ⅰ. 균등하고 공정한 교육기회 보장’ 분야와 ‘Ⅳ. 장애공감문화 확산 및 지원체제 강화’ 분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는 ‘Ⅱ.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내실화’ 분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아서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과제는 ‘Ⅰ. 균등하고 공정한 교육기회 보장’ 분야의 ‘1. 특수교육 기관 확충 및 설립 다양화’, ‘3. 정당한 교육편의 제공’ 과제와 ‘Ⅳ. 장애공감문화 확산 및 지원체제 강화’ 분야의 ‘12. 범국민 장애공감문화 조성’ 과제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Ⅱ.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지원 내실화’ 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5차 특수교육 5개년(’18~’22) 계획의 주요 성과와 차기 5개년 계획을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제6차 특수교육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조사

        최진혁,김대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poli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guardian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Method: A survey was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consisted of a total of six policy areas and four to seven major policy tasks for each policy area. 20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150 guardian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for each area to select the three policies that they perceive as the most important.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each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importance of participants' policies related to primary special education policies; a)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on, b) improv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supports by individual’s special needs, c) enhancing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 expanding/advancing special education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e) cultivating Special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for future competencie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policy import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clients for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future of the National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특수교육 종사자,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가 인식하는 정책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교직원 200명,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 150명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등을 통해 도출된 총 6개의 영역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별 주요 정책과제 4~7개를 제시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책 3가지를 다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설문 문항에 대해 기초 통계량(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의 질 고도화, 장애정도를 고려한 맞춤 지원 내실화, 특수교육 교원 전문성 제고, 진로와 직업교육 확충, 장애영유아 특수교육 확대/고도화,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안착과 관련된 연구참여자들의 정책의 중요도를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특수교육 종사자 및 이용자의 정책 중요도를 조사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발전계획 수립과 관련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