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층 주거지 무단투기 실태 분석을 통한 지역 특성 기반의 주거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중랑구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선 한국사진지리학회 202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저층 주거지 거주 지역 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상습 무단투기 장소의 실태를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층 주거지는 아파트에 비해 주거환경이 취약하여여러 민원이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길거리에 방치된 쓰레기는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저해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주요 연구 방법은 상습 무단투기 장소에 대한 현장 조사와 동별 의견조사 및 주민 인터뷰이다. 연구 결과, 저층 주거지 내에서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무단투기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고, 무단투기거점으로 인식하는 장소는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로 무단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 무단투기는 제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인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근본적 해결에 이르기까지는 관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상습적인 무단투기에 대응하기 위해 관은 시스템을 개선하고, 지역주민의 참여를 독려하여 함께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저층 주거지라 하더라도 지역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를 고려한 차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SAMR 모델로 분석한 초등 수학 수업에서의 공학도구 역할
최지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공학도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학도구 활용에 대한 신념이 높은 두 교사의 수학 수업을 분석하여 공학도구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두 교사가 개별적으로 진행한 알지오매스3D를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쌓기나무 모양 찾기 수업을 관찰하고, SAMR 모델을 사용하여 수학 수업에서 공학도구의 역할을 대체(Substitution), 증강(Augmentation), 수정(Modification), 재정의(Redefinition)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수업에서 알지오매스3D의 역할은 대체 수준 또는 증강 수준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수업에서의 공학도구 활용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use technologies effectively in mathematics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technologi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ssons. We analyzed the mathematics lessons of two teachers with high beliefs in using technologies in mathematics lessons. The SAMR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two teachers' lessons on finding the shape of a stackable tree in 6th grade using Algeomath3D. The mathematics less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identify what it's role of Algeomath3D among substitution, augmentation, modification, and redefinition in the less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les of Algeomath3D were either substitution or augmentation in primary mathematics lessons.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role of technologies in primary maths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