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략형 학업 정서반응 척도(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의 개발 및 타당화

        최정아(Choi J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국내 학습자의 학업관련 경험을 반영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학업관련 정서반응을 측정도구를 제작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학습자의 보고내용을 토대로 학업관련 정서 반응 척도를 제작하고, 220명의 20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2요인 9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2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MIN/DF가 2.336, NFI가 .938, IFI가 .964, CFI가 .963, TLI가 .936, RMSEA가 .078로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별 신뢰도 분석결과, 학업 정적정서가 .81, 학업 부적정서가 .89로 나타났으며, 학업 정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학업 부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부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향후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용도로 본 척도를 사용할 수 있는 임상적 함의를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the academic related affective reactions by reflecting the academic experiences of Korean learners. The scale was prepa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earner s academic related experiences.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220 learners in their twenti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219 people, the model fits of two factor model were good: CMIN / DF was 2.336, NFI was .938, IFI was .964, CFI was .963, TLI was .936, and RMSEA was .078.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es by sub-scales,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1 and the nega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9.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cademic reactions and task difficulty, academic procrastination, fear of failure, and lack of motivation and vice versa. This suggests a clinical implication that this scale can be used for futu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평가, 대처, 가족의사소통, 우울의 관계: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 ( Jung Ah Cho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평가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가족의사소통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스트레스 평가와 우울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재학생 1,2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ing의 2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평가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접근대처와 가족의사소통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적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appraisal on adolescent depress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theoretical model where stress appraisal was hypothesized to affect depression either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controlling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grad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was also hypothesized. The data of 1,238 adolesc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tress appraisal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In addition, the effect of approach coping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family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suggested not only to improve coping skills and family communication respectively but also to develop ways increasing synergy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interven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최정아(Choi Jung-Ah)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자아통제력, 그리고 학교적응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상호연관성은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별잠재성장모형 및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구성하여 한국청소년패널(KYPS)중학교 2학년 데이터 1~5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년 동안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차년도에 측정한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동일한 시기의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고,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1차년도에서 5차년도까지 부모지지 수준이 급격하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자아통제력 수준이 가파르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의 증가폭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부모지지 및 자아통제력이 학교적응에 횡단적으로뿐 아니라 종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청소년의 학교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부모 및 청소년에 대한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from Grade 8 to Grade 12 by repeated assess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of 8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er five years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Latent growth model showed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n increase in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five years. In additio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ggested that parent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control. The evolution of parent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evolution of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evolution of self-control.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support and self-control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정아(Choi J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기존의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가 지닌 제한점을 보완하는 측정도구를 제작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를 제작하고, 2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2요인 8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2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MIN/DF가 1.757, NFI가 .950, CFI가 .977, TLI가 .956, RMSEA가 .058로 나타나 우수한 적합도임을 확인하였다. 하위척도별 신뢰도 분석결과, ‘관계갈등 정서에 대한 주의곤란’이 .73, ‘관계갈등 정서명료화 곤란’이 .84로 나타났으며, 본 척도와 TMMS의 ‘정서에 대한 주의’, 본 척도의 ‘관계갈등 정서명료화 곤란’과 TMMS의 ‘정서에 대한 명확성’ 하위척도간 상관분석결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어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TMMS의 ‘정서에 대한 주의’와 달리, ‘관계갈등 정서에 대한 주의곤란’은 대인관계문제척도의 세 가지 하위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용도로 본 척도가 사용될 수 있는 임상적 함의를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Emotional Awreness Difficulty Scale during Interpersonal Conflict”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motional clarity scale (TMMS). The final two factors, eight items, were made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263 student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224 students, the model fits of two factor model were good: CMIN / DF was 1.757, NFI was .950, CFI was .977, TLI was .956, and RMSEA was .058. In addition,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each sub-scale were .73, and .84.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is scale and TMMS proved discriminant validity. Unlike TMMS s “Attention to feelings”, “Difficulty in Attention to feeling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hree sub-scales of the Interpersonal Problem Scale, which suggests a clinical implication for futu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최정아,서준호,양지연,Choi, Jung-Ah,Seo, Jun-Ho,Yang, Ji-Yeon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특정전공 대학생들이 해당전공을 선택하기까지 전 학령기에 걸쳐 형성되는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을 조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커리어오그램을 사용하여 글로벌통상학과와 영문학과 대학생들이 초·중·고·대학에 이르는 진로발달과정자료를 수집,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 진로발달양상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달시기별 진로목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맥락적 요소는 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의 경우 전 학령기 중 중학교 시기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가정환경 및 친구와 함께 개인의 진로포부수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진로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빅데이터와 상담학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한 학령기 진로지도 및 교육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onvergence study for investigating main featur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roughout the whole periods of education, that might influence their ultimate choice of majors. We collected data of career development process at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levels using career-o-grams, for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English Lang/Lit and Global Commerce, and we applied text mining techniqu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Two major factors influencing career goals were parents and teachers. In particular, teachers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career decision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eachers, family situations, and peer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career aspiration. The findings would serve as a guide for career consultants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ers.

      • KCI등재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Jung-Ah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그리고 우울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자기은폐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이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그리고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은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and the gender differenc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The data collected from 307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d effects on depression indirectly through self-concealment, and self-esteem also 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e indirect effects of self-conceal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ncealment should be focused to prevent or alleviate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 탐색

        최정아(Choi, Jung Ah)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nd Empathic Ability compared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A total of 73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459 enginerring students and 280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We tested research question by employing the t-test. The result showed that engineering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clarity of feelings, perspective taking, empathic concern and lower level of attention to feelings, personal distres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Moreover, engineering students showed lower level of cold, socially avoidant, exploitable problem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We dicussed that programs aiming at developing engineering students emotional awareness and improv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최정아(Jung-Ah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의 공격성 수준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가족요인, 즉, 부모애착, 부모감독, 가족갈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KYPS) 초등학교 4학년 1~5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다층모형을 구 성하여 가족요인을 시간의존적 변수로 처리한 후 시간독립적 효과와 시간의존적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 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년 동안 청소년의 공격성 수준은 증가하다가 그 증가율이 감소하는 이차함수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부모애착, 부모감독, 가족갈등은 공격성에 유의한 시간독립적 효과를 보이는 반면, 시간의존적 효과를 보이는 가족요인은 가족갈등 뿐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기 공격성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early adolescent aggression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factors on 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ggression over time and the effects of three family factors,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 on the changes using multilevel modeling.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of fourth graders who were followed over five year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verage increase followed by a slight decrease in aggression over time; that is, the data followed a quadratic trend.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 had significant time-independent effects on aggression, while only family conflict had a significant time-dependent effect on agg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amily factors need to be emphasized in plann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 KCI등재

        청소년기 아들의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에 관한 연구

        최정아(Jung-Ah Choi),조희선(Hee Sun Cho),이재림(Jaerim Lee)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아들이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무엇을 체험하며, 그 체험 속에 드러난 아버지와의 관계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살고 있는 남자 중・고등학생 6명과 개인별 3회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점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보이지 않는벽’, ‘불거지는 갈등’, ‘성장의 길목에서의 아버지’, ‘마음 속 아버지의 자리’, ‘아버지와 가족’, ‘희망사항’이라는 총 6개의 주제를 통해 남자 청소년과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의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체험의 구조 속에서 ‘거리두기’, ‘부재 속의 고투’, ‘두 마음의 부딪침’, ‘보이지 않는 끈’이라는 4개의 관계 체험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로부터 신체적, 정서적으로 거리를 두면서 탈이상화된 기반 위에서 아버지와의 관계를 현실적으로 재조정하였다. 아버지는 ‘그냥 돈을 벌어오는 사람’, ‘말만 아빠’라고 느껴질 뿐 아버지로부터 관심이나 애정을 체감하기 어려웠으며, 아버지와의 피상적이고 공소(空疎)한 관계 속에서 청소년기의 힘겨운 고투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빈약한 정서적 유대관계 속에서도 아버지에 대한 갈망을 드러냈으며, 아버지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독립적인 것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의존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가 존재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와의 동질성과 일체감을 인식했으며, 무의식적으로 연결된 무언의 힘을 느꼈다. 아버지의 모습을 내재화하며 동일시 하였고, 아버지는 아들의 삶 속에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아들의 관점에서 아버지와의 관계를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청소년기 부자(父子)관계의 의미를 발견하고 원만한 부자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재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Korean male adolescents’ lived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s and the meanings underlying these lived experiences.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male adolescent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van Manen’s phenomenological approach guided the entire research process. Our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ed in six main themes: invisible walls, emerging conflicts, a bumpy road to growth with an indifferent father, the father’s place in the son’s heart, the father and his family, and wish lists. In addition, the four overarching meanings throughout the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s were distancing, lonely struggles in the distant relationship, conflicting ambivalent emotions, and invisible ties. Most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a distant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s and were physically and emotionally separated from their fathers. These participants re-adjusted their expectation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s on the basis of de-idealization in a realistic manner. Most of the father-son relationships were not meaningful but empty and shallow while the participants struggled with a bumpy road in their adolescence. The male adolescents viewed their fathers simply as someone who was in charge of economic responsibilities. The sons wanted to be independent from their fathers, but they simultaneously had a longing for their fathers and wanted to rely on them and be 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s.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ir own similarities with their fathers and that there were invisible ties between the son and the father. They identified with their fathers, and the father had an influence on the sons’ l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us understand the deeper aspects of father-son relationships by listening to adolescent sons’ voices and providing suggestions for harmonious father-son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