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리를 통한 세계시민성교육의 전략 및 효과 분석 -커피와 공정무역을 사례로-

        최정숙 ( Jeong Suk Choi ),조철기 ( Chul 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한영 지리 교과서의 커피관련 내용 분석에 근거하여 커피의 공정무역과 윤리적 소비의 관점에서 텍스트를 재구성한 후, 세계시민성을 함양을 위한 수업 전략의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커피에 대해 어른들과 책을 통해 주로 형성된 부정적 이미지와 TV광고를 통해 주로 형성된 긍정적 이미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지만, 수업 후 커피에 대한 이미지는 비판적 관점에서 재구성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한 국가의 빈곤이 그들 국가만의 문제로 인식하여 단지 동정과 연민에 기반하고 있었으나, 수업 후 학생들은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 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그들의 책무성을 깊이 있게 인식하게 된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학생들은 커피의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불균등의 문제가 불공정한 무역에서 초래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고, 나아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 의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실천적 의지는 공정무역 제품의 제한적 유통구조라는 현실적 장벽에 의해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커피를 소재로 한 세계시민성교육의 실천 전략은 공정무역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 소비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지리가 학생들로 하여금 진정한 글로벌 장소감을 학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적에 맞는 텍스트의 재구성과 함께 현실적 제약의 극복이 전제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struction strategy for global citizenship after reconstructing text in terms of the fair trade and ethical consumption of coffee based on content analysis related coffee of Korean and English geography textbook. The finding is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 learners had both positive images from adults and books and negative images from advertisement on TV, after classes they reconstructed images of coffee critically. Secondly, while the learners recognised that a country`s poverty was due to its problem and felt only a sympathy, after classes they recognised not only interdependence but also responsibility of them. Finally, after class learners recognised that unfair trade caused spatial inequality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process of produce, flow, and consumption of coffee, moreover became to have practical will to solve these problems. But learners` practical will was interfered with current barriers of limited structure of flow on online and off-line. This strateg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coffee was successful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fair trade and practice of fair trade. But reconstruction of geography text and the solution of actual limitation is prerequisite for global sense of place through geography.

      • KCI등재

        김소월 시의 민속적 상상력

        최정숙 ( Choi Jeong-su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민속은 한 나라의 기층문화이며 오랜 시간을 지키며 전승되어 온 살아있는 민중의 영혼이며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그대로 담겨있는 정신문화이다. 이러한 민속적 소재를 작품으로 형상화한 소월의 시에서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시대에 우리의 얼을 지키려는 민족자존 의식이 있었다. 일제에 의해 전통적인 풍속이 비근대적이라는 이유로 폐지된 현실 속에서 식민지적 근대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띤다. 일제는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풍습을 전근대성, 비생산성, 비문명성이라는 이유로 배척하였다. 고유한 민간 전통을 경찰이 관리하게 함으로써 독자적인 사상과 문화전통을 사회질서의 차원에서 통제의 대상으로 만든 뒤 지배적인 일본문화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김소월은 시에서 민속 수용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향토적인 소재나 민담적인 배경 등과 어울림으로써 더욱 민족적. 민중적인 호소력을 유발하였다. 그 구체적인 시적 형상화로 죽음의식이나 전통적인 시간의식을 표현하여 시에서 민속적인 정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사라져 가는 민속적 소재를 통해 전통을 계승. 유지하려는 의지를 잘 표현하였다. 김소월 시에 표현된 민속적 상상력의 갈래는 다음과 같다. 태양의 순환과 절기, 그리고 넋맞이와 닭의 상징성, 칠성제와 죽음의 상징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전통적인 풍습에 따른 체험은 동일한 문화와 풍습을 공유하는 집단의 내적인 집단 무의식을 전제로 한다. 전통적인 시간의식은 인간존재에 대한 성찰의 의미도 더불어 지니며, 인간 존재의 내면화를 표방한다. 풍습에 의해 체험된 시간은 동일한 문화와 풍습을 공유하는 집단의 내적인 교감을 전제로 한다. 전통적인 시간의식에 내재한 변화는 태양의 순환과 계절의 변화를 바탕으로 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인간존재의 무상성을 인식하게 하며 그것을 통해 자연과 인간, 동일자와 타자의 경계를 지우고 초월하려는 새로운 형태의 사유를 열어준다. 넋맞이 라는 민속적 상상력에서는 죽음과 저승세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차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민요와 같은 전통시가의 율조를 활용하여 민속적인 정감과 어우러져 민족의 감성에 호소하고 있다. 칠성제와 죽음의 상징성에서는 님을 향한 그리움이 저승 세계와 더불어 부활의 영원성으로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민족과 시대를 배경으로 그 역경을 전통과 민속적 리듬으로 승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우리 것을 지키려는 마음으로 민족의 정한을 전통적 정서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Folk culture is the gicheung culture of a nation, and it is a spirit of living that has survived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spirit of the spirit and spirit of our people. These folk material features to the Sowol of the city to our national conscious that you want to protect the tradi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colonial period. This consciousness has melted into literature and forms the basis of forming a flow of anti-Korean sentiment. Japanese custom, tradition set by the abolished because of resistance to colonial in the modern reality of familiar enemies on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is a pre-modern counterproductive, and bimunmyeong because of exclusion. A unique private traditional independent thought and culture by police manage social order after made the subject of the control of the dominant culture Japan. To replace. Kim Sowol is therefor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a big contribution to city folk in. Oullim with more ethnic background or a local folktale, generate popular appeal. The specific awareness or a traditional poetic imagery to death represents the city folk in sentiment by expressing a sense of time. In particular, a vanishing folk tradition through the expressed willingness to keep well. In the symbolism of the death of chilseongje(七星祭), the longing for Nim(主) is directed toward the permanence of rebirth along with the next world. Therefor the nation on this background of folk and time, has tried to sublimate its adversity into tradition and folk rhythms. To protect ours, he expresses the collective spirit of the nation which have performed as a traditional emotion.

      • KCI등재

        요하문명의 문화기호론적 탐색

        최정숙 ( Choi Jeong Su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이 연구는 문화기호론적인 관점에서 요하문명과 불신(火神) 숭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따르면, 요(遼)의 자원(字源)은 불신을 상징한다. 불과 철기문화는 불가분의 상관성을 지닌다. 요하문명의 초점 지역이라 할 홍산문화(紅山文化)의 하가점(夏家店) 지역, 특히 우하량(牛河梁) 지역의 유물 유적들은 그런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비파형동검이나 투구, 그리고 옥기(玉器), 단(壇), 묘(廟), 총(塚)으로 대표되는 유적들이다. 이러한 불신 숭배는 만족과 한반도에 분포되는 샤머니즘(스승) 문화와도 깊은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사제들의 제의는 망제(望祭)와 요제(遼祭)로 요약된다. 이러한 논거는 요하의 요(遼)로부터 파생되는 국명과 지명, 전설과 민속으로 개연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청동기와 고인돌, 적석총으로 이어지는 고조선의 문화적인 특징과도 맞물려 있음 또한 주목에 값한다. 고조선의 문화영토임을 드러내는 문화론적인 징표이기도 하다. This paper aims at the research about Liaohe(遼河) Civilization and Fire God(火神) worship in north-east China. According to the view point of cultural semiotics concentrating on Liao(遼), the main contents is as follows ; 1) The Liao(遼) of Liaohe(遼河) symbolizes Fire God which implicates the Sun. The structural elements of letter Liaohe(遼河) are formed of sin(??) plus huo(火->小) which is similar to liao(燎). Sin(??) means religious piety praying shaman’s desire as the highest priest. Sometimes Shaman(薩滿) was called as Tangeol (撑犁孤塗) in Manchuria. The Fire God gives us the light and heat, they believe. By using heat and light, people who lived in Liaohe(遼河)’s basin cultivated grain and crops. Sometimes they made iron at Liaohe(遼河) district in China’s early ancient prehistoric age. Such archaeological artifacts were excavated and reported by Chinese authorities to scholar circles of the world during 1980’s officially. Among artifacts, items were found such as platform of Fire God(壇), God’s shrine(廟), stone grave(塚), and jade(玉) including korean mandolin-like knife, We called it Bipahyeongdonggeom(琵琶形銅劍). 2) The highest priest was called as Shaman(薩滿). Sometimes The word Tangeol(撑犁孤塗) belongs to the ancient manchu language shows wide distribution across Altaic language area. 3) When Nurhachi(奴兒哈赤) founded the Geum(金), he called the nation as Nuzhen(女眞). After then, he renamed the nation as Manchu(滿洲). Successively his son Hongtaiji(皇太極) renamed the nation as Qing(淸). Maybe these kinds of names were originated from Shaman(薩滿). Here the Sa(薩) means clearness and medium(間<訓蒙字會>). At the same time, Zhen(眞) means Shaman, the highest priest. As it were, Tangol(壇君) such as Shaman in Korean language means exorcist. 4) There are two kinds of rituals in serving Fire God(火神). One is called Liaoji(燎祭), the other is called Wangji(望祭). The relics of Wangji and Liaoji could be considered to be as the names of places and nations. For instance, we can exemplify it such as Liaoyang(遼陽) where Liao’s capital city located for some years. And the name of a nation founded by Yelubaoji( 耶律阿保機) is Liao(遼). Same time we can see a common sememe,‘f ire(火)’, among place names of liao-(遼-), re-(熱-), and chi(赤-). Because we can find out that Chifeng(赤峰) city was attached to Rehesheng(熱河省) traditionally. 5) The worship of Fire God can be seen in state founding myth on Gochoseon(古朝鮮) and Haemosu(解慕漱). On the other hand, we could exemplify the case of county on self-governing system as 6 units(縣, xian) of Manchu tribe(滿族) in China.

      • KCI등재

        미당시의 제의적 변용에 대한 고찰

        최정숙(Choi, Jeong-suk)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7

        이 논문의 목적은 미당 서정주 시의 제의성 분석을 통해 미당의 시 문학에 내재해 온 상상력의 또 한 층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후기 시집 『질마재 신화』와 『서정주 문학전집』에 수록된 시 중에서 시적 화소가 질마재라는 문학공간에서 어떠한 상징적 변용을 이루어 나아갔는지를 형상화 과정에 주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변형과정의 원형성은 삼국유사나 마을의 전설에서 드러나는 주술성을 기반으로 한 서사성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문학공간으로서 질마재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같은 영상기술(CT)과 접목하여 문학교육의 효용성 제고에도 주목하였다. 이러한 원형 비평적 관점은 신화나 무속에서 신이나 정령과 직접 동기 감응하고 그 사이에 신탁(神託)과, 예언, 병치레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의례를 행하는 주술 행위를 하는 종교적 직능자인 샤먼에 기반 한다. 미당의 시는 그 원형적 의미에서의 샤머니즘과 주원의 시적 이미저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해 냈다는 점에서 담론의 의미가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 질마재의 세계에서는 신과 인간의 소통은 결국 질마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인간 전체의 소통으로 이어진다. 미당의 시에서 민간신앙적인 시적 제재는 과거와 현재를 시적인 영감으로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그 요소는 샤머니즘적인 문화공동체적 삶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 연구가 미당 시의 제의성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데 자그마한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최정임(Choi, Jeong-Im),최정숙(Choi, Jeong-Suk)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촉진 전략 중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이러닝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1학기 컴퓨터활용 사이버강좌를 수강하는 수강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졌으며, 실험 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업을 듣는 동안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을 적용한 SRL(Self-Regulation Learning)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별도의 보조프로그램 없이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였다. 6주간의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에게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자료는 SPSS windows 12.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t = 2.54, p< .05). 또한 학업성취도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t = 2.06, p< .05).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며, 시간관리를 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특히 사이버강좌와 같은 이러닝의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learning plans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settings. Participants were first-year students in an online computer applications course at a university in Korea.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use the SRL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to record and manage their learning plans and time while they took the course online. The control group took the course online without using any other program. After 6 weeks, participants took a self-regulation skill test and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SRL program made more progress in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an the control group. Results suggest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at motivate students to set their own learning objectives, make study plans, and manage time on their own, turned out to b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develop autonomy for e-learning.

      • 정보 과학 기술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 비교- 두리틀을 중심으로

        최정숙 ( Jung Suk Choi ),김정아 ( Jeong Ah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프로그래밍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는 알고리즘적 사고를 위한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을 접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본 문법과 구조를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그래서 학습자가 학습 초기에 가지고 있던 의욕이나 동기는 상실되고 프로그래밍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만 남게 되어 원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차후 학습으로의 연계성이 결여된 채 프로그래밍 학습자체를 포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과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비교하고 두리틀이 프로그래밍 학습을 하는데 효과적이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적합한 언어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립정신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업무환경, 자아효능감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송은아 ( Song Eun A ),허명선 ( Heo Myung Sun ),안효자 ( An Hyo Ja ),최정숙 ( Choi Jeong Suk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7 정신간호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dex and address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happiness at work. Methods: Participants were 249 nurses working in 5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6 to July 30, 2016.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22.0. Results: Mean scores were nurses` emotional labor, 3.89, nursing work environment, 2.77, self-efficacy, 3.77, and happiness index, 3.5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happiness index for: department, type of work, career length, position and payment. Happiness index was influenced by self-efficacy,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9%.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th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Additionally, developing an effective program to facilitate self-efficacy of nurses and research studies to identify effects of such a program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