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반적 발화효과행위’와 극적 상황 -무대 언어 및 움직임이 야기하는 극적 상황에 대한 연구-

        최정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4 No.4

        본 연구는 오스틴(John Austin)의 화행론(speech act) 개념과 라반(Rudolf Laban)의 에포트(effort) 개념을 통해 연극 예술에서의 극적 상황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이다. 오스틴은 수행적 발화를 통한 의사소통의 궁극적 목적이 관련 행위 유발 및 완성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사유를 근거로 수행적 발화로 인한 부적절한 발화효과행위를 ‘배반적 발화효과행위’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발생이 극적 상황을 추동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배반적 발화효과행위는 발화자와 청자 사이에 갈등을 발생시키고, 관련 인물들의 감정을 고양시키며, 종국적으로 무대에서의 극적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연구자는 배반적 발화효과행위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라반의 에포트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궁극적으로 무대 위의 발화 및 수화의 목적이 행위 실행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극적 상황 발생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SCOPUSKCI등재

        RESIN 취급 주물공장 근로자들의 호흡기 건강에 관한 연구

        최정근,이창옥,백도명,최병순,신용철,정호근,Choi, Jung-Keun,Rhee, Chang-Ok,Paek, Do-Myung,Choi, Byung-Soon,Shin, Yong-Chul,Chung, Ho-Keun 대한예방의학회 1994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7 No.2

        The effects of resin on the respiratory health have been investigated in 309 workers from four iron and steel foundries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ose from 122 workers who were not significantly exposed to resin gas and silica dust at the same industries. Phenol-formaldehyde resin was used in the core making and molding processes and workers were exposed to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as well as to silica dust containing particulates. The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formaldehyde, dust and other gas exposures, and smoking habits were considered also in thi analysis. Standardized respiratory sympto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y trained interviewers. Chest radiograph, pulmonary funtion tests, and methacholine challenge tests were done. Environmental measurements at the breathing zone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levels of formaldehyde, respiable dust and total dust. Foundry workers had a higher prevalence of symptoms of chronic bronchitis with chronic phlegm and chronic cough when exposed to dust. Exposure to ga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ed $FEV_1$ and obstructive pulmonary function changes. Exposure to formaldehyde and phenol gas was associated with wheezing symptom among workers, but $FEV_1$ changes after methacholine challen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fferent exposure groups. When asthma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with more than 20% decrease in $FEV_1$ after methacholine challenge, 17 workers out of 222 tested had asthma. Fewer asthmatic welters were found among groups exposed to formaldehyde, gas and dust, which indicates a healthy worker effects ill a cross-sectional study.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gas ranged from 0.24 to 0.43 ppm among studied foundries. The authors conclude that formaldehyde and phenol gas from combusted resin is probably the cause of asthmatic symptoms and also a selection force of those with higher bronchial reactivity away from exposures.

      • KCI등재

        라반 이론의 철학적 함의와 확장성 고찰 - 라반 이론을 통한 푸코의 ‘체화된 미시권력’ 양상 고찰 -

        최정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3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 이론의 철학적 함의를 논의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라반 이론이 푸코의 체화된 미시권력 이론을 한층 더 심층적으로 논의하게 만든다고 제안하였다. 무용이론가와 실업가의 공동 창작물이었던 라반 이론은 단순히 예술 미학적 논의만을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었고, 그것의 확장성은 태동할 때부터 잠재되어 있었다. 우선 라반 이론의 개념 중 ‘움직임 요소(motion factors)’, ‘에포트 성분(effort elements)’, 그리고 ‘기본 에포트(basic efforts)’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그런 후에, 푸코의 미시권력이 이 세 가지 개념으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근본적으로 공연예술연구 방법론이 기타 학문의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Laban's movement analysis theory. Specifically, I have suggested that Laban's theory makes Foucault's embodied micro-power theory discussed more in-depth. Laban's theory may not be merely designed for artistic aesthetic discussion; the scalability of Laban's theory seems to have been latent since its inception. From the beginning, this theory was a co-creation of dance theorist and businessman. First of all, I have discussed “motion factors”, “effort elements” and “basic efforts” of Laban theory. After that, I have argued how Foucault's micro power could be explained by these three concepts. This discussion suggests fundamentally that the methodology of performing arts research can be applied in other academic fields as well.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수업에서의 논술 지도 방안: 초등 4학년 도덕과를 중심으로

        최정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07 초등도덕교육 Vol.0 No.25

        A Teaching Method of Essay Writing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Focused on Moral Education for 4th graders 논술은 자신의 생각을 일정한 주제에 맞게 체계화하여 글쓰는 작업을 의미한다. 도덕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토의(discussion), 토론(debate)을 거친 후, 자기의 생각을 체계화하여 논리적으로 합당한 논술을 하면 올바른 가치관을 습득할 수 있다. 올바른 가치관을 습득하면 인지적 측면에서 도덕적 덕목에 대한 사고력과 판단력을 향상시키고, 정의적 측면에서 도덕적 열정과 의지를 갖게 되고, 행동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상황에 맞게 계획을 세워 궁극적으로 도덕적 행동을 하는데 이르게 된다.초등학교 4학년 논술 지도의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교 4학년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논술을 하기 위한 주제를 선정한다. 즉 개인, 가정ㆍ이웃ㆍ학교, 사회, 국가ㆍ민족 등 4영역으로 구성된 교과서의 교육과정 상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논술하기에 알맞은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다. 둘째, 도덕성의 각 측면별로 학습지도 요소를 추출하여 논술의 내용으로 삼고 평가항목을 만든다. 즉 인지적 측면에서는 덕목의 뜻을 파악한 후, 덕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갈등 상황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논술한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모범사례를 통해 반성할 점과 본받을 점을 바탕으로 자신의 결심을 논술하면 된다. 행동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도덕적 상황과 과정에 합당한 실천 행동을 정당화하는 논술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학습지도 요소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논술을 하기 위하여 인지적 접근, 정의적 접근, 행동적 접근 3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주제어] 도덕성, 도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논술 지도법

      • KCI등재

        극 중 상황 속 연기자의 감정에 관한 연구-샌포드 마이즈너의 연기론을 중심으로

        최정근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tors’ emotions in theatric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contemporary emotion theories based on the suggestions of Sanford Meisner. I carried out this study under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First, this study aims at the academic an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actors’ emotions, and the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this discussion should be conducted. Second, despite the discussion on the universality of emotions, I suppose that emotions are cultural and social phenomena and cannot always be clearly indicated and described in specific words.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emotions of actors as natural people and those in theatrical situations are not largely distinguished. Based on these premises, I discussed three points as follow: actors’ emotions before the scene, actors’ emotions in the scene, and the relations between actors’ emotions and characterisation. The discussion about actors’ emotions before the scene was based on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positions of contemporary emotion discourses. The discussion on actors’ emotions in the scene was based on Sanford Meissner's suggestion that emotions are generated by the actual perception of the situation on the stage, which is supported by the concept of Charles Sanders Peirce and the enactive perception theories. Finally, the discussion on the actors’ emotions and characterisation was carried out in the light of the modern philosophical discussion of human identity. This study, as mentioned before, is believed to be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and empirical research,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study of the actors’ characteris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샌포드 마이즈너(Sanford Meisner)의 관련 제안을 기반으로 동시대 감정 담론에 따라 극 중에서 발생하는 연기자의 감정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다음 세 가지 점을 전제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연기자의 감정 발생에 관한 학술적․이론적 분석을 위한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까지 여러 연구자가 감정의 생물학적 보편성을 논의하였지만, 연구자는 감정이 사회문화적인 현상이고 항상 구체적인 언어로 명확하게 규정될 수 없다는 학자들의 의견을 따른다. 셋째, 연구자는 자연인으로서의 연기자 감정과 극 중 상황 속 인물로서의 연기자 감정이 그 발생에 있어서 유사하다고 바라본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연구자는 세 가지 흐름 즉 ‘장면 전 감정 발생’, ‘장면 속 감정 발생’, 그리고 ‘감정 발생과 인물형상화 사이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장면 전 감정 발생에 관한 논의는 동시대 감정 담론 중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입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장면 속 감정 발생에 관한 논의는 무대 위 상황을 실제 지각함으로써 감정이 발생한다는 마이즈너의 제안을,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개념과 지각에 관한 행화주의적 견해(enactive views of perception)에 따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 발생과 인물형상화에 관한 논의는 인간 정체성에 관한 현대 철학적 논의에 비추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기자의 감정 발생에 관한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연구에 이바지하고, 인물형상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