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온 상승에 따른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 변동 예측

        한점화(Jeom Hwa Han),조광식(Kwang Sik Cho),최장전(Jang Jun Choi),황해성(Hae Sung Hwang),김창국(Chang Gook Kim),김태춘(Tae-Choon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기온 상승이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시험장의 시간별 기온자료로 발육지수를 산정하고, 기상청 관측자료에 있는 67개 지역의 최고 최저 온도에 의한 발육속도로 평년 만개일 분포 및 온도상승에 따른 만개일 변화를 추정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발육지수는 0.9593이었다. 천안지역의 만개일 관측자료와 발육지수에 따른 예측자료와의 차이가 0-7일 범위였고, 일치한 해가 35.3%였다. 67개 지역의 평년 만개일은 4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분포하였다. 예측 만개일이 평년기온보다 5℃ 상승할 때까지 대부분의 지역에서 빨라졌지만 3℃ 상승부터 남쪽의 해안가 지역에서 늦어졌으며, 4℃와 5℃ 상승하면 제주, 고산(제주도 서부), 서귀포 지역에서는 개화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월 기온 상승 시 예측 만개일의 변화가 가장 컸고, 4월, 2월, 1월 및 12월 순이었다. 기온상승에 따라 우리나라 배 재배 주산지의 만개일이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full bloom date (FBD) of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tree by calculating the development stage index by hourly temperatures recorded at Pear Research Station,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f average FBD and the change of FB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ing by integrating development rate at 67 locations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ite. Development stage index of ‘Niitaka’ pear tree was 0.9593 at Naju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full bloom dates observed at Cheonan region and predictions by development stage index were 0-7 days, and matched year was 35.3%. FBDs of 67 location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4 to May 28. When yearly temperature was raised 1, 2, 3, 4, and 5℃ at 67 locations, predicted FBD was accelerated at most of the locations. However, FBD decelerated at south coast locations from 3℃ rise and did not bloom at ‘Gosan’, ‘Seogwipo’, and ‘Jeju’ locations from 4℃ rise. When monthly temperature was raised 1, 3, and 5℃ at 67 locations, predicted FBD was the most accelerated at March temperature rise, and followed by April, February, January and December. Therefore, global warming will cause acceleration of the full bloom date at pear production areas in Korea.

      • KCI등재

        배 품종별 꽃받침 탈리와 유전 양식

        강삼석(Sam-Seok Kang),김윤경(Yoon-Kyeong Kim),최장전(Jang-Jeon Choi),조광식(Kwang-Sik Cho),원경호(Kyeong-Ho Won),이한찬(Han Chan Lee),유덕준(Duk Jun Yu),이희재(Hee Jae Lee)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6

        배는 꽃이 진 후 꽃받침의 탈리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품종에 상관없이 꽃받침이 남아 있는 과실은 과정부가 비대하여 돌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방형 동양배 120품종, 북방형 동양배 52품종 및 서양배 34품종을 대상으로 꽃받침 탈리 여부에 따른 무체과 또는 유체과로의 발달 유무를 조사하고, 남방형 동양배 품종 간의 교배 조합 후대 실생의 유체과 발생률을 조사하여 꽃받침 탈리에 대한 유전 양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이거나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무체과와 유체과가 혼재되어 발생하는 품종의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방형 동양배, 북방형 동양배, 서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품종의 비율이 높은 반면 서양배, 북방형 동양배, 남방형 동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높았다. 꽃받침의 탈리 정도가 다른 품종 간의 교배에서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실생이었으며,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높은 실생이었다. 무체과 품종이 화분친인 경우에는 종자친의 유체과 정도와 상관없이 무체과인 후대가 많은 반면, 종자친이 무체과이고 화분친이 다양한 수준의 유체과 발생률을 나타낸 교배 조합의 경우에는 후대에서 무체과와 유체과 실생의 비율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꽃받침의 탈리는 종자친보다는 화분친의 특성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꽃받침의 탈리 유무는 질적 형질이며 꽃받침의 탈리층 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이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During pear fruit development, calyx can abscise from fruitlet following petal fall. The calyx abscission varies with pear cultivars. The presence of calyx on pear fruit makes the fruit shape calyx end protr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degrees of the calyx abscission were examined in 120 Southern-type Asian pear (Pyrus pyrifolia), 52 Nothern-type Asian pear (P. ussuriensis), and 34 European pear (P. communis) cultivars, and its inheritance was investigated using cross combinations between the Southern-type Asian pear cultivars showing different degrees of calyx abscission. Majority of the cultivars produced < 10% or > 90% calyx-perpetual fruit, but the cultivars producing both calyx-perpetual and -deciduous fruit were in minor frequency. The cultivars producing < 10% calyx-perpetual fruit were in higher frequency in Southern-type Asian, Nothern-type Asian, and European pears in that order, while those producing calyx-perpetual fruit were in higher frequency in European, Nothern-type Asian, and Southern-type Asian pears in that order. In the cross between the parents producing < 10% calyx-perpetual fruit, most of the F1 seedlings also produced < 10% calyx-perpetual fruit. In the cross between the parents producing > 90% calyx-perpetual fruit, on the contrary, most of the F1 seedlings also produced > 90% calyx-perpetual fruit. When the paternal parent produced < 10% calyx-perpetual fruit, most of the F1 seedlings also produced < 10% calyx-perpetual frui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alyx abscission in the maternal parent. When the cross was between the maternal parent producing < 10% calyx-perpetual fruit and the paternal parent showing different degrees of calyx abscission, the F1 seedlings showed similar degrees of the calyx abscission to those in the paternal pa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yx abscission is influenced more greatly by the paternal parent than by the maternal parent, and the calyx abscission in Southern-type Asian pears is a qualitative trait which is governed by dominant g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