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苛性소다 狹窄에 續發한 食道癌의 1例

        崔日薰,金潤光,康相均 최신의학사 1967 最新醫學 Vol.10 No.9

        Authors performed autopsy on a 14 years-old male who had lye ingestion in his past history, at age of 3. Since then, he complained recurrent esophageal stricture and several attempts of dilatation for stricture were performed without successful effect. Fistula was developed between the esophagus and trachea, and consequently difficulty of swallowing was complained. On autopsy, solid protruding tumor was noted on the upper 2/3 of the esophageal mucosa, and the trachea and adjacent lymphnodes were affected with neoplastic tissue. Histological study revealed well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The conclusion is that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e theory of chronic irritation as carcinogen, though we happen to see a case of carcinoma occurred in the esophagus of a young boy followed by lye ingestion and longstanding irritation.

      • KCI등재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일훈,소금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ergy education applied to systems think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ergy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s. Pre- and post-tests on energy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s were conducted among 26 sixth-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s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First, energy education with systems thinking positively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ergy literacy. Second, energy education with systems thinking positively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Third,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nergy education with systems thinking was high, and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with traditional education. Students developed integrated thinking, understood the connections between various phenomena,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through energy education using systems thinking. Therefore , energy education using systems thinking positively impacted the scientific attitudes and energy litera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과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소양을 신장시켰다. 둘째,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높은 관심과 흥미를 보였으며,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을 통해 통합적 사고능력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현상을 연계성 있게 이해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최일훈,소금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3D프린팅 활용 에너지교육을 적용하고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에 초등학생들은 많은 관심 및 높은 흥미도를 보였고,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높은 수업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학생들은 3D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을 통해 통합적,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중심의 학습을 수행하며 해결 계획을 수립하는 것부터 3D 모델링, 출력, 수정 및 공유 등의 활동을 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최일훈,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사전과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수업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깊은 학습(Lid)을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높은 수업 만족도와 흥미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이후 생활 속 주제와 관련하여 스스로 탐구하는 자기주도적인 실천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주제를 다방면으로 탐구하면서 사고의 유연성을 확장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lying project classes using Learning in Depth (Li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101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n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ject classes using Learning in Depth (LiD)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project classes using Learning in Depth(Li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showed high class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project classes using Learning in Depth(Lid). After the project class using Learning in Depth (LiD), students had a self-directed sense of practice that explored themselves related to topics in their lives, and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flexibility in thinking by exploring topics in many ways. As such, it is judged that project classes using Learning in Depth (Li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최일훈,심재호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과학 영재반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투입하였으며, 프로그램 투입에 따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science storybook cre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school.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dministered to 60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clas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cience storybook making clas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effect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dditionally, these classes were found to improve their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일훈,소금현,Choi, Il-hoon,So, Keumhyun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환경감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환경감수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환경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고,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환경보호 실천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활용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 및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fine dus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ools. We applied this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The study was conducted on 29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tests g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ine du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ool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ir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fter applying the program,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fine dust. Additionally, they had a sens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ractice in connection with their daily lives. As such, it is concluded that the fine du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oo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