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 파장 보정방법 기반 다이나믹 분광타원편광계의 안정도 최적화

        최인호,헤리저데헌거흐 사이드,최석현,황국현,심준보,김대석,Choi, Inho,Kheiryzadehkhanghah, Saeid,Choi, Sukhyun,Hwang, Gukhyeon,Shim, Junbo,Kim, Daesuk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1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20 No.3

        This paper describes a dynamic spectroscopic ellipsometry based on dual-wavelength calibration. DSE provides ellipsometric parameters at rates above 20 Hz, but the interferometer's sensitivity to temperature makes it difficult for that proposed system to maintain stable 𝜟k over long periods of time. To solve this problem, we set up an additional path in the DSE to perform simulations of the polarization phase calibration method using dual wavelengths. Through simulation, we were able to eliminate most of the polarization phase error and maintain a stable 𝜟k in the long-term stability experiment for 10 hours. This is the result that the 𝜟k sta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is improved tens of times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 KCI등재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Choi, In-Ho,Kim, Seong-A,Kim, Na-Hong,Lee, Yong-Sa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2

        심미와 기능이 조화를 이루는 총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상하악 관계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딕아치 묘기법은 하악의 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정확하고 반복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확립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고도의 치조제 흡수를 갖는 환자에서는 총의치의 적절한 유지 및 안정을 얻기가 어려운데, 이런 경우 환자의 생리적인 동작으로 변연을 형성하여 의치상연 주위가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도록 하는 폐구 인상법이 유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우측 하악과두골절 병력과 고도의 하악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 폐구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로 수복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It is essential to record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accurately for the harmony of esthetic and function in complete denture. Gothic arch tracing visually demonstrates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is useful to establish accurate and reproducible centric relation. Proper retention and stability of complete denture in patients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s difficult to attain. In such case,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might be recommended. The denture border and impression are determined by patient's physiologic movement in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nd, denture peripheral border is entirely closed with oral mucous membrane. This report presents satisfactory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using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nd gothic arch tracing in patients with mandibular condyle fracture and severe absorption of mandibular alveolar ridge.

      • KCI등재

        지황백호탕(地黃白虎湯)으로 호전된 연하장애(嚥下障碍)와 언어장애(言語障碍)를 동반한 뇌졸중(腦卒中) 환자 치험례

        최인호,김나영,홍솔이,신미란,Choi, In-Ho,Kim, Na-Young,Hong, Sol-Yi,Shin, Mi-Ran 사상체질의학회 2008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0 No.2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Gihwangbaekho-tang which is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 the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 who has suffered from dysphasia and dysphagia. 2. Methods The subject is about 69-year-old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 suffering from dysphasia and dysphagia who was diagnosed as Soyangin interior overheated disease based on his nature & emotion, physical chracteristics, symptoms, and we have prescribed Gihwangbaekho-tang. 3. Results and Conclusions Cerebrovascular accident parient is suffering from dysphagia, dysphasia, insomnia, constipation, quadroparesis treated with Gihwangbaekho-tang were improved. This study describes the improvement of dysphagia, dysphasia and other general sypmtoms using Gihwangbaekho-tang. Gihwangbaekho-tang takes effect Soyangin interior overheated disease.

      • KCI등재
      • 수중의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세라믹 소재 개발

        이용환(Yong-Hwan Lee),최인호(In-Ho Choi) 한국환경관리학회 2006 環境管理學會誌 Vol.12 No.4

        본 연구는 수중에 용해된 인과 질소 제거효과를 갖는 세라믹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감람석을 이용한 인의 제거효과는 “이”와 “최”의 연구에서 수행된바 있으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질소제거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감람석(Olivine)과 제올라이트(Zeolite)를 서로 다른 부피 혼합비에 따라 혼합한 후 소성하여 얻어진 세라믹을 이용하여 수중에 용해된 총인(Total-Phosphorus)과 총질소(Total-Nitrogen)의 제거효과를 회분식 실험(batch reactor syst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인의 경우 감람석과 제올라이트의 부피 혼합비가 1:2의 경우 최고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시험개시 30분 일 때 96.0%, 4시간일 때 95.1% 의 인이 제거되었다. 총질소의 경우 감람석과 제올라이트가 1:6일 때 시험개시 30분일 때 93.6%, 4시간일 때 97.4%의 질소가 제거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ceramic material to be able to eliminate phosphorus and nitrogen in water. Olivine was found to remove phosphorus in aqueous phase, which was demonstrated by Lee and Choi.1) The nitrogen removal using zeolite has been demonstrated by many researchers.2,3) Hence, utilization of mixed-typed material of Olivine and Zeolite is expected to achieve simultaneous elimination of phosphorus and nitrogen in water.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P(Total phosphorus) and T-N(Total nitrogen) were investigated using ceramic material in batch reactor system, which was produced by incinerating after mixing Olivine and Zeolite with different ratio.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phosphorus was achieved under the condition of 1: 2 mixing volume ratio of Olivine to Zeolite. The phosphorus of 93.6% and 97.4% (as T-P) was removed for 0.5hr and 4hr, respectively. For the nitrogen,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of 93.6% and 97.4% (as T-N) were obtained under the condition of 1:6 mixing volume ratio of Olivine and Zeolite.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신문의 프로모셔널 저널리즘 경향성 비교 - 대기업 호의보도와 광고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최인호 ( Inho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신문의 호의보도와 기업 광고가 대가성을 가지고 교환되는 형태의 프로모셔널 저널리즘 현상이 한국과 일본의 신문에서 나타나는지 검증하고 비교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한국과 일본신문에서 대기업에 대한 호의보도량과 광고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지, 각 나라별로 이들의 상관관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호의보도의 양 및 광고의 양적 차이는 어떠한지, 이들의 상관관계가 매체의 성격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신문과 대기업 사이의 호의보도와 광고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선행연구(최인호 등, 2011)를 바탕으로 replicate 연구를 실시하여 일본의 신문과 대기업 사이에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하였고 한국과 일본의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2년간 한국의 경우 조선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신문에 실린 국내 5대 그룹의 호의보도량과 광고량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일본의 경우, 분석대상 한국 신문인 조선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신문과 발행부수, 논조, 위상 등에서 유사한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를 분석대상 신문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일본의 분석대상 기업 선정은 한국의 5대 재벌그룹의 사회경제적 위상과 의미에서 유사한 일본의 기업집단을 선정할 만한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관계로, Forbes Global 500대 기업을 기준으로 8개 대기업(Honda, Toyota, Nissan, Canon, Sony, Panasonic, NTT, KDDI)을 선정하여 호의보도량과 광고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일본의 경우, 전체 호의보도량과 광고량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정의 상관관계보다는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1일분 신문 1개에 게재되는 1개 대기업의 평균 호의보도 건수의 경우, 일본은 0.11건, 한국은 0.19건으로 한국이 2배 가까운 호의보도량을 보였고, 평균 광고 건수의 경우, 일본은 0.18건, 한국은 0.10건으로 일본이 2배 가까운 광고량을 보였다. 신문사별 분석에서는 일본의 경우 한국과 달리 호의보도와 광고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신문에 있어서 호의보도와 광고 간 교환 현상으로 보이는 프로모셔널 저널리즘이 관측되기는 하지만, 상관관계의 정도와 호의보도의 양적 측면으로 비교해볼 때, 한국의 경우보다 정도가 심하지 않고 매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is a replicate study us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Choi et al., 2011) and methodology that proved if promotional journalism, a form of journalism wher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favorable news coverage and advertisement of companies, between domestic newspapers and conglomerates took place.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if Japanese newspapers and companies were engaged in promotional journalism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studies done in Korea and Japan. To that end, the correlation between favorable news coverage and advertising of five big conglomerates in newspapers including Chosun Ilbo, Kyunghyang Shinmun, Maeil Economic Newspaper was studied for 12 years from 1998 when the Asian financial crisis began to 2009. In Japan, the correlation between 8 conglomerates (Honda, Toyota, Nissan, Canon, Sony, Panasonic, NTT, KDDI) and the favorable news coverage and advertisement in Japanese newspapers including Yomiuri Shimbun, Asahi Shimbun, and Nihon Keizai Shimbun was research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Japan, there was an overall correlation between the favorable news coverage and the amount of advertisement (r=0.299, p<0.01). However, in Korea, there was more strong correlation (r=0.331, p<0.05). The number of favorable news coverage of one big company in one newspaper in a day recorded 0.11 in Japan and 0.19 in Korea, showing that Korea had twice the favorable news coverage than Japan. In terms of the number of advertisement in average, Japan had twice the advertisement than Korea as the number was 0.18 in Japan and 0.10 in Korea. Analysis based on each newspaper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avorable news coverage and advertisement was not distinctive from one newspaper to another in Japan, which was not the case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even though promotional journalism is seen in Japan, when considering the amount of coverage and advertisement, the scope is not as severe as in Korea and the phenomenon is not so distinctive according to different newspapers a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미국법상 불법방해(Nuisance)와 유지청구 - 수인한도론과 위법성단계설을 중심으로 -

        최인호 ( Inho Choi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2

        이 논문은 판례법의 발전을 통해서 환경침해사건에서 손해배상과 함께 유지청구제도를 발전시켜 온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법제에 중요한 교훈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법상 환경침해에 대한 유지청구의 대표적인 법적 근거인 사적 불법방해를 중심으로 그 의의와 요건을 고찰하면서, 유지청구와 손해배상청구의 관계 및 관련 개념인 공적불법방해와의 관계를 함께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법제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유사점 내지 공통점이 발견되고 있다. 첫째, 미국법상 사적 불법방해는 우리나라 민법 제214조의 방해와 개념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둘째, 미국법상 사적 불법방해는 불법행위의 특수한 유형에 해당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가해자의 고의 또는 과실이 유지청구의 주관적 요건이 되지만, 손해배상청구와 유지청구는 그 기능상의 차이 외에도 계속적 · 반복적 침해가 있으면 고의의 성립을 인정하는 판례의 경향으로 인해 사실상 구분되고 있다. 셋째, 미국법상 사적 불법방해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침해의 상당성과 불합리성이 인정되어야 하며, 그 평가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수인한도론에 상응하는 이익형량의 원칙이 적용된다. 넷째, 미국 법원은 피해자에게 상대적으로 중대한 손해가 발생하면 침해행위가 갖는 고도의 공공성에도 불구하고 손해배상책임을 부과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손해배상청구와 유지청구에 있어서 이익형량의 단계가 구분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익형량의 원칙은 우리나라의 위법성단계설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반면, 미국법상 환경침해에 대한 유지청구는 내용과 운용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법제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미국법상 이익형량의 원칙은 그 근본취지와 내용 면에서 우리나라의 수인한도론과 동일하지만, 미국 법원은 150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방대한 내용의 판례법을 축적함으로써 정교하고 세밀한 유지청구의 심사기준을 발전시켜 왔다. 그 핵심은 손해예방조치의 기술적 · 경제적 실행가능성 여부에 따라 유지청구의 인용 여부와 인용 시 유지명령의 내용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때 미국 법원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침해행위의 공공성을 고려하면서도 피해자의 구제라는 정의의 관점을 중시한다. 둘째, 미국법상 공적 불법방해는 사익이 아닌 공익을 침해하는 특수한 불법행위로써 대륙법체계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영미법상의 독특한 제도로써, 주로 주민의 환경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주정부에 의해 제기되는 유지청구의 법적 근거가 되어 왔다. 끝으로 수인한도론 또는 위법성단계설의 적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사적 불법방해에 관한 미국의 판례법은 별도의 입법조치 없이도 해석을 통해 얼마든지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법원은 미국 법원에 의해 정교화된 유지청구의 심사기준을 적극적으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민법 등의 개정을 통해 이익형량의 기준을 구체화하는 것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은 연방임밋시온방지법 제14조와 민법 제906조 제2항에서 이익형량의 기준을 구체화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미국법상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독일법을 전면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이 경우에도 사적 불법방해에 관해 형성 · 발전된 미국의 판례법은 중요한 해석 내지 입법지침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discuss nuisance and injunctive relief under the U.S. law. In particular, it takes an in-depth look into how the balancing approach applies in nuisance cases, alo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nctions and monetary damages. Both private and public nuisance form the basis for the granting of injunctive relief. They are defined as a substantial and unreasonable interference with the use and enjoyment of land or a right common to the public. The interference in question is determined as unreasonable where the gravity of the harm outweighs the utility of the actor`s conduct, and the reviewing court must consider the relative hardship likely to result to defendant if an injunction is granted and to plaintiff if it is denied in deciding to grant or withhold an injunction. This is termed as a balancing approach.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clude: (a) The extent and character of the harm involved; (b) the social value that the law attaches to the primary purpose of the conduct; (c) the suitability of the conduct to the character of the locality; (d) the impracticability of preventing or avoiding the invasion, etc. The balancing approach tends to disappear at the liability determination stage, as far as significant or severe harm is concerned, while it plays a prominent role at the remedial stage. The U.S. courts have made great efforts to strike a proper balance between public interests, represented by the tortfeasor`s conduct, and the victim`s private interests. If the impracticability of preventing or avoiding the invasion is found, they tends to refuse to grant injunctive relief with exceptional cases, in which severe harm to personal life and safety is involved. On the other hand, the U.S. courts have issued a variety of injunctions by exercising equitable discretion where they found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feasible preventive measures to be existent. These preventive measures are divided into operational changes, best pollution control technologies, and conditional injunctions. The conception of private nuisance and the operation of the balancing approach are very similar to the statutory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Korean civil law with regard to injunctive relief. The Korean judiciary needs to accept the relevant U.S. case law as important interpretive guidance in that the U.S. courts have developed fine-tuned and detailed decisional standards on whether private nuisance is found, and the granting of an injunction can be justified in light of the equities of the parties. Alternatively, the Korean Civil Code needs to be revised to embody objective standards for balancing. This can be a viable solution becaue it enhances predictability. The German approach, as well as the U.S. approach, must be closely examined as a legislative model or interpretive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