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기 됨’을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원형심리학적 접근 시론

        최인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7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Narrative Literacy can be grafted onto Personality Education which pursues healthy personality of harmony and balance.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Narrative is an important medium which structures and restructures mind, so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 method for healthy personality with harmony and balance. This research postulates Healthy Personality Education which pursues being the self as whole personality where consciousness integrates with unconsciousness. Healthy Personality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insight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which exists inside the self with individual consciousness. When this harmony is broken, human self is separated from oneself, loses vitality, energy, and life force, and experiences emptiness and meaninglessness. Therefore, Personality Education must teach this harmony before social relationship skill improvement and moral value acquisition. In this kind of Personal Education, Archetypal Motif of Mythology is very valuable educational material, because mythology can have an insight into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rough Archetype which is a basic form of human thought and emotion rooted in experience humankind has accumulated from ancient times. Besides, Archetype can be used as a psychological supporter that compensates for various values and wishes unaccepted in social collective consciousness. This research tries expansive reading in modern novels and fairy tales focused on Hermes Archetype and Demeter Archetype. Hermes Archetype appears both in The Catcher in the Rye and in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in common. The characters in both novels have ag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as wanderers and border riders, help vulnerable people, and try to find their self consciousness against absurdness of modern societies. By interpreting the Archetype`s behaviour methods, advantages, resources, and limits in modern literary works, we can bring our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to consciousness and expand limited consciousness. Narrative Literacy Skills are very important. Understanding the complex meaning network of the crisis, opportunity, limit and meaning of life particular Archetype is in charge of depends on the narrative skill. If archetypal exploration is done through these various texts, we can create our own myth using expanded consciousness. Above Archetypes are very helpful for main character`s integrated role and meaning structure in our own myth. Archetypes give integrating power to various and contradictory roles and needs of life, and make it possible to structure their own personality and identity. 이 글은 내러티브 교육의 확장을 꾀하는 가운데 원형 심리학의 도움을 받아 신화의 원형상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는 마음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주요한 매체라는 점에서 인성교육의 중요한 매체가 될 수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신화의 원형상을 통한 심리적 내러티브 읽기에 주목하였다. 신화의 원형상은 인간의 근원적 자연 본성을 통찰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인성교육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동안 인성교육이 건전한 인성, 바람직한 인성에 주목해 왔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한 인성교육이 중요하다. 이 글이 전제한 ‘건강한 인성교육’은 의식과 무의식이 통합된 전체 인격으로서의 ‘자기 됨’의 추구를 목표로 한다. 이 통합이 깨어졌을 때 인간의 자아는 자기와 분리되어 활기와 에너지를 상실하고 공허함과 의미 상실을 겪는다. 신화적 원형상은 인류가 본성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기본적인 정서와 사유의 형식의 ‘내가 모르는 나’를 통찰하게 하여 인간의 내면적인 인격과 조화를 이루고, 자기됨의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은 현대 사회에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인간 본연의 가치와 소망을 보상함으로써 심리적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청년기에 주로 마주치는 ‘방랑자 원형’을 <호밀밭의 파수꾼>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확인하였다. 이들 주인공은 모두 방랑자이자 경계인인데 비록 외면적으로는 일탈적이고 무책임하게 행동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자기 내면을 탐구하는 성숙한 변화를 일구고 있다. 곧, <호밀밭의 파수꾼>의 주인공은 일탈적 충동에서 오랜 방황을 하지만 결국 상처받기 쉬운 아이들을 위한 구호자로서의 자기 역할을 발견한다. 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도 소설가 주인공은 생활과 예술, 자기 의식과 사회의식의 경계 속에서 방황하지만 글쓰는 자로서의 자기 의식을 확보한다. 청년 독자들은 이 ‘방랑자 원형상’의 읽기를 통해 사춘기의 혼돈과 방랑에서 만나는 자신의 진솔한 내적 인격과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자아 정립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격려받는다. 그것은 주어진 사회적 역할과 규범에 적응을 독려받는 인성교육과는 구별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는 읽기 뿐 아니라 자기 신화 쓰기로 이어질 수 있다. 곧, 이 신화적 원형상은 주인공이 자기 자신의 신화를 탐구함에 있어, 현실 생활에서 대면하는 복잡하고 모순적인 자기 역할을 통합하고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자원을 마련해 준다. 이 글은 원형심리학이 내러티브 인성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시론으로서,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 기회로 미루겠다.

      • 국어교육 현장연구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적 접근법 고찰

        최인자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mmarize the narrative approach for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mpirical research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to interpret the exper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y is the narrative Approach important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contributes to think the classroom field narratively. If we think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narratively, we overcom the limitation of the free-contextual positivism. So, we interpret the teaching in context of the schooling and the subject's histor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earners have own history and individual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teacher's subject and practical knowledge can be understood. The attribute o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narrative knowing. Because this knowledge is constructed with teacher's belief and experience. The narrative of the learner and teacher is important domain in narrative approach. For the collection of material, the reacher must the record the subject's narrative during the long time. In the narrative approach, the probabilty is more important than validity. 이 논문은 국어교육 현장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러티브적 접근’의 의의와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현장 적합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에 의한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질적 연구는 실제 지금,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나아가 격변하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이론 모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내러티브적 접근은 탈맥락적 실증주의나 행동주의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어교육 경험을 실제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그리고 개별 주체의 주관적 의미를 복원하는 데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국어교육 현장을 서사적으로 생각한다면, 그곳은 특정의 인물이 나름의 역사와 지향성을 가지고 특정의 사회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장이 되며, 그것을 내러티브화하는 과정에서 심층 의미를 성찰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국어교육 현장연구에서 내러티브적 접근은 언어 경험과 정체성의 연관성, 또 언어교육 경험의 맥락적, 역사적 성격을 복원하여 표준 교육과정의 탈맥락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연구 내용으로 보자면 국어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이해, 성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되는데, 특히 그들의 주관적 신념이나 딜레마 혼돈을 드러냄으로써 국어 수업의 전체상을 심층 해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학습자들의 배움의 서사를 연구할 수 있다. 서사화된 배움은 지식적 앎 그 자체에만 국한하지 않고, 삶과의 연관 속에서 실천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내러티브적 접근에서 자료는 다양한 유형의 자전적 서사와 대화적 서사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내러티브적 연구는 일반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타당성, 신뢰성 보다는 개연성을 통한 심층 해석의 기능에 중점을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