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 미국 온라인 경제 교육 플랫폼 현황 분석 - AP Classroom 및 EconEdLink를 중심으로

        최윤경 ( Yoonkyung Choi ),조영달 ( Young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상 경제 교육 현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경제 교육 온라인 플랫폼, AP Classroom과 EconEdLink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기능 차원의 분석과 내용 측면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능 차원에서는 두 가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주요 교수학습 기능과 이 플랫폼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역할 분석에 중점을 두고, 내용 차원에서는 미국 CEE가 개발한 Voluntary National Contents Standard 및 경제 사회 변화 내용 적용에 중점을 두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능적 측면에서 두 개의 경제교육 관련 온라인 링크에서 모두 교육 내용 제공, 학생 관리, 평가, 각종 수업 자료 등을 제공하는 ‘다기능’적 역할이 이루어지며 경제교육 플랫폼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미국 CEE가 개발한 내용 요소들의 반영과 함께 코로나 시대의 내용을 반영한 경제 교육 자료 등 넓은 스펙트럼의 교육 내용 제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두 플랫폼 모두 기능적인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 교육에 끼칠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며, 앞으로도 시대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를 반영하는 경제 교육 분야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status quo of economics education in the U.S. in post COVID 19 era based on two distinguished online platforms-AP Economics Classroom and EconEdLink. The analysis of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link was based on main teaching and learning tools as well as functional roles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spect was based on contents relation with 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 provided by CEE and adoption of contents related to changes of economic society.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functional aspect, it could be found out that ‘multi-functional’ platforms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be engaged in economics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various functions provided. Secondly, from the contents aspect, there was a wide-spectrum of contents provision, especially dealing with topics related to current world-wide situations. Overall, it is clear that the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depend on the contexts of society. Therefore, showing interest in new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for providing optimized education in this fast changing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유탕 사각 부산어묵 제품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

        최윤경(Yoonkyung Choi),김민수(Minsoo Kim),이지현(Jeehy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시판 어묵 제품의 소비자 기호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적 요소들을 확인하고, 어묵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섭취 습관을 조사하여 이후 어묵 제품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시판 어묵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제품 특성별 기호도 및 강도와 유사하였고, 특히 생선맛과 감칠맛의 기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당 척도를 사용하여 제품의 특성강도를 평가하여 제품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적당 척도의 응답 빈도 경향을 함께 고려하고, 적당 척도 결과에 따라 소비자 기호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어묵 제품의 비린내 특성이 소비자 기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비린내 특성의 적당 척도 응답 경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의 상관관계 분석 시, 다섯 개의 시료에서 특성이 강하다고 인지될 때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높은 계수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비린내 특성의 적당 척도 응답에 따른 기호도 잔차분석 시 한국인들이 어묵 제품을 섭취할 때 보통 강한 비린내에 거부감을 느끼지만, 도리어 비린내가 약하게 인지되는 경우에도 만족감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가 부정적으로 인지할 가능성이 있는 특성을 평가할 때는 적당 척도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어묵 제품의 비린내 특성의 경우 강도가 강할 뿐만 아니라 약하게 인지될 때도 소비자 기호도의 감소를 일으키므로 적당 척도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감칠맛과 기름맛의 소비자 기호도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추후 연구를 통해 어묵 특성 간의 교호작용 분석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기호도가 가장 높았던 시료 S2, S4, S6의 적당성은 다음과 같다. S2는 유의적으로 기호도를 변화시키는 특징적인 특성 강도가 없었다. S4는 짠맛이 (너무) 강하다고 인지한 소비자 군(n=41)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군의 평균 기호도는 9점 기호 척도에서 5.83을 나타내었고, 비린내가 (너무) 강하다고 평가한 군(n=46)의 평균 기호도는 5.93이었다. S6은 특히 짠맛과 기름맛이 적당(n=69, n=69)해서 기호도 증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특성의 강도가 (너무) 약하거나 강하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20% 미만으로 유의성이 판별되지 못해 약하거나 강한 두 특성 중 어느 상황에서 기호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비린내가 약해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평균 기호도는 6점이었고, 특성별 적당성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5의 감칠맛은 약하다고 응답한 소비자들에 의해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5점 대의 기호도를 나타내 기호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S1과 S3의 경우, 일부 특성의 강도 인식에 따라 기호도 평균이 감소하였는데, S1에서는 특히 조직감이 강하고 감칠맛이 약했으며, S3에서는 특히 기름맛이 약하고 비린내가 강해서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호도가 가장 낮았던 시료 S7의 경우, 특히 감칠맛이 약하고 조직감이 강해서 기호도에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고, 특성별 적당성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기호도가 3~4점으로 낮은 편에 속하였다. 한편 특성 적절성에 따른 기호도 증감이 유의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적당 척도에서 너무 약하거나 강하다고 응답하였더라도 9점 강도 척도에서는 평균 4~6점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비자 만족(기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특성을 먼저 고려하기 위해서는 특성의 강도를 강도 척도가 아닌 적당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하며, 전반적인 기호도와 특성별 기호도 및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더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5점 적당 척도를 선택하는 빈도 경향성을 전반적인 기호도와 함께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된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 시, 사용한 분석법에 따라 먼저 고려해야 할 유의적인 특성이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추후 적당 척도 분석시, 이러한 통계학적 단점을 고려하여 단일 분석이 아닌 복합적인 결과 도출이 필요할 것이며, 결과 해석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어묵 제품 개발 트렌드로 거론되는 특징으로 ‘건강’, ‘제품의 고급화’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소비자들이 부산어묵의 이미지와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산어묵’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부산에서 제조된 어묵’으로서 ‘전통성’이 있는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으나, ‘부산어묵’에 대한 브랜드는 생산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기에 실제 부산에서 어묵을 생산하는 업체에 대한 인식은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어묵’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한 가치를 제시하여 부산지역 어묵 업체의 제품 홍보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variety of ‘Eomuk’ products is available in Korean marke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ffecting consumer acceptability of Eomuk products, and 2) to determine consumers’ attitude and context regarding Eomuk. One hundred consumers evaluated seven commercial products using hedonic, intensity, and Just-About-Right (JAR) scale for sensory attributes and described/selected their product perception and consumption experience. For hedonic and intensity data, the numeric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For JAR data, the selected frequencies were used for a contingency table to calculate the percentage ratio of each scale. And using both acceptability and JAR results, Spearman’s correlation and penalty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correlated with the liking of most attributes, but 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fish flavor and umami in one particular product. The intensity evaluation of consumers might slightly be ambiguous for Eomuk products. However, by using JAR scale and its penalty analysis, significant attributes for consumers’ liking could be determined. Korean consumers might recognize fishy attribute as a flavor component of Eomuk because liking tended to decrease when the intensities that corresponding with JAR scale (much) too strong or (much) too weak. Consumers noticed the brand value/authenticity for ‘Busan Eomuk’, however they did not recognize what products were originally manufactured in Bus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료시설 병동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경,최윤경,Lee, Sukyung,Choi, Yoonkyung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7 의료·복지 건축 Vol.2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interrelation between healthcare policies, design standards and hospital architecture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50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changes. Methods: In this study, reviewing the overall healthcare system, design standards and inpatient care facilities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50s, a total of five inpatient care facilities, one for each period,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patial maps of Space Syntax were employed for analyzing five case studies. Results: The distance between the nursing station, the support service, and inpatient room were getting closer. The spatial structure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is transformed from tree structures to annular tree structur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between patient, staff and support service is higher and the depth of the spaces is getting deeper, which indicates that efficiency for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affect the spatial structure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Implications: In the future, if Korea's health policy is changed to a demand-oriented health care policy, this conclusion predicts medical planning of hospital will be focused on the efficiency.

      • KCI등재

        미국의료시설 응급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경 ( Lee Sukyung ),최윤경 ( Choi Yoonky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8 의료·복지 건축 Vol.24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Chronologically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changes.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eight emergency departments, one for each period,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patial maps of Space Syntax were employed for analyzing case studies. Results: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has been changed from five or more emergency department specialties to four or less specialties such as psychiatric, pediatrics, emergency, and trauma. In the case of care initiation area,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mode was switched from the distributed arrangement mode. The spatial maps indicate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tree structure changes to an annular structure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ac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s shows that the space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emergency department will be more focused on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as in the cas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한국 상담자의 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최윤경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2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상담에 대한 일반사회의 관심과 요구는 상담자의 역할이나 활동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청소년문제, 가정기능의 악화 등에 대한 문제해결과 예방에 대한 기대를 대변한다고 하겠다. 학회의 양적 발전과 상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에 비하여 상담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2년간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상담자의 전문직무나 직무영역에 관한 정의, 역할에 대한 합의된 기술이 전무하다. 이에 한국상담자의 전문업무의 성격과 내용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원 산하 전국 시·도 청소년 상담기관의 상담자들과 각 대학의 상담소 및 개인상담소 소속의 상담소 및 수련상담자 251명을 대상으로 현재 하고 있는 상담업무와, 전문상담자로서 수행해야한다는 이상적인 전문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자의 전문업무는 ① 상담연구, ② 상담행정, ③ 중·장기성인상담, ④ 교육·훈련·자문, ⑤ 단기문제해결상담, ⑥ 기관상담, ⑦ 진로 및 학업상담, ⑧ 사례관리 및 검사활동의 8개로 밝혀졌는데, 현재 상담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이상적인 전문업무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입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상담소에서는 중장기성인상담과 진로 및 학업상담을, 대학원 소속 상당자들은 진로 및 학업상담과 단기문제대결상당을, 청소년상담기관에서는 진로 및 학업상담과 기관상담, 상담행정을 주요 전문업무로서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개인상담소에서는 중장기성인상당과 교육훈련자문을, 대학교수는 상담연구와 교육·훈련자문을 주요한 전문업무로서 수행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문상담자들은 상대적으로 연구 및 행정업무 보다는 개입업무(중장기성인상담, 단기문제해결상담, 기관상담)의 비중이 높고, 특히 진로 및 학업 상담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원의 상담전공 교육과정내용은 상담개입에 관한 상담접근일 이론위주의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좀더 실제적이 며, 실습이 보강된 상담전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tasks performed by counselors in Korea. Among the 720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from 251 counselors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local youth counseling centers, and private centers were examin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included demographic data as well perceptions on professional tasks using a counselor activity list. The results show that: 1) A significant level of difference was discovered between the ideal tasks and reality which includes eight major tasks carried out by counselors; ①counseling research, ②administrative tasks, ③mid-term and long-term adult counseling services, ④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for counseling trainees as well as consultation, ⑤short-term problem solving counseling, ⑥counseling services for agencies/institutions, ⑦career counseling and study skills counseling, and ⑧case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testing. 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ypes of tasks performed by counselors depending on their affiliatio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focused on mid-term and long-term adult counseling and short-term problem solving counseling, while youth counseling centers performed job or study related counseling, counseling services for agencies/institutions, and administrative tasks. Private centers provided mid-term and long-term adult counseling services as well as education, training, and consultation. University faculty undertook counseling research, education, training, and consul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