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 분석 연구

        최원실,정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3

        Since the recent financial crisis in universities has caused the decrease of academic library budget, the resource sharing has been considered by utilizing inter-library loan (ILL) data for solving the financial defici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llection profiles of western monographs’ ILL data among 4-year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s ILL data from 2011 to 2017 using the bibliographic data and ILL transactions of the KERIS union catalog.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the western monographs was significantly provided by large-scale academic libraries in 2011, however, the extent of major regions expanded, and the number of influential institutions rose in 2016. Second, in 2012, the influence in the ILL network increased in the quantity of western monographs holdings and the proportion of commo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in 2016, it was also shown that the influence in terms of provision in the ILL network increased in the proportion of unique collections. Lastly, the ILL participating academic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lusters by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holdings and ILL indexes. 대학의 재정 악화는 대학도서관 예산 삭감으로 이어지고, 특히 자료구입비 예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호대차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과 같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KERIS 종합목록의 서지와 상호대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대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1년에는 대규모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양서 상호대차의 제공이 이루어졌으나, 2014년 이후 점차적으로 고유장서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주요 권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권역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기관이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2012년에는 서양서 소장 종수가 많고, 공통장서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고유장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제공 측면에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서양서 소장과 상호대차 지수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에 따른 6개 군집의 대학도서관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자원공유를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허태호,이상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농촌경제 Vol.43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motivation types on urban-to-rural migrants’ intention and behavior to re-migrate to urban areas. The motivat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economical and non-economical factors. By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we analyze the effect of economical and non-economical factors on the intention to re-migrate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effect of economical and non-economical factors on the actual decision to re-migrate to urban areas is estimated based on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urban-to-rural migrants who put economical reasons first are more likely to choose to re-migrate to urban ares.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urban-to-rural migrants who took prior education before migration or moved with their families are less likely to decide to return to urban areas. 본 연구는 도시민이 귀농·귀촌을 결심할 때 고려하는 동기 유형이 역 귀농·귀촌 의향과 실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 등을 이용하여 귀농·귀촌 동기 유형을 경제적 동기와 비경제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동기가 귀농·귀촌인의 역 귀농·귀촌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다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동기로 귀농·귀촌한 이주민은 도시로 역 귀농·귀촌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귀농·귀촌과 관련한 교육 이수 시간이 높거나 귀농·귀촌 초기부터 가족과 함께 이주한 경우 등이 실제 역 귀농·귀촌을 결정할 확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식품 표시 위치가 식품 표시 활용과 WTP에 미치는 영향 -계란을 대상으로-

        최원실 ( Choi Won-sil ),이상현 ( Lee Sang-hyeo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1 食品流通硏究 Vol.38 No.4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hrough labels can help consumers reduce the cost of acquiring information and reduce the likelihood of making poor choices. However, the utility of food labels has not been fully realized due to the complicate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consumers. In previous studies, consumer label utilization rates and economic value measures for labels have been shown to be very differen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generally relied on hypothetical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that can achieve similar results to actual purchasing activity, although Internet-based questionnaires are used. In addition, we measured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labels and verified that the location of the labels gave rise to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s and the values of the label.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utilization of the labels were also estim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ge and gend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food labels.

      • SCOPUSKCI등재

        가래나무 수액와 고로쇠나무의 출수량에 미치는 영향 인자 분석: (3) 인제 지역

        최원실 ( Won Sil Choi ),최인규 ( In Gyu Choi ),박미진 ( Mi Ji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6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지역의 가래나무의 수액 출수와 영향인자들을 분석하여 고로쇠나무 수액의 대체자원으로서 최적의 수액 출수 조건을 얻고자 출수량, 흉고직경, 시험지의 기온과 상대습도를 2008년 2월 1일∼3월 31일의 기간에 측정하여 출수량과 다른 측정값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고로쇠나무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가래나무 수액의 출수는 고로쇠나무 경우와 유사한 출수 시기와 출수 기간을 가지고 있었으나 가래나무 수액출수는 출수 기간의 초기에 집중되었다. 동일 지역의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량은 나무의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한 것과 달리 가래나무 수액의 출수량은 흉고직경 증가에 따른 뚜렷한 증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수액출수량이 높은 개체의 경우 고로쇠나무와 가래나무 모두 단위 흉고직경 당 출수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로쇠나무의 흉고직경 당 출수량은 전체 평균 0.9 ± 0.1 ℓ/cm으로 가래나무의 평균 0.3 ± 0.1 ℓ/cm에 대비하여 3배에 달하였다. 수액이 많이 출수되는 날의 기온와 상대습도는 고로쇠나무와 가래나무 경우 모두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 가래나무 수액 출수는 고로쇠나무의 경우와 같이 외부 기후 조건에 많이 영향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액출수량과 기온 및 대기 습도와의 상관 분석에서 가래나무의 경우 일중 최저 기온(P < 0.05)이, 고로쇠나무의 경우 기온차(P < 0.01)가 수액 출수량에 가장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가래나무의 수액 출수는 고로쇠나무와 유사한 기후 조건에서 발생하나 그 수액 출수량은고로쇠나무보다 적고 이에 영향하는 주요 인자 또한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an for sap exudation of Juglans mandsburica in comparison with Acer mono Max. tree in a site of Inje-Gun, Gangwon-Do, Korea. Amount of sap exudation, air temperature, relative air humidity and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ere monitored for the priod of February 1 through March 31, 2008, and correlation analysis of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ap exudation was carried out. Sap exudation from J. mandsburica initiated on Feb. 28 as the same time in case of A.mono and continued for a month, and enhanced in early March compared to around the middle of March for A.mono. The amount of sap of A.mono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but there was no apparent relationship for J. mandsburica. As the amount of sap exudation per tree increased then sap exudation per unit DBH was also linearly proportional in both J. mandsburica and A.mono. The amount of sap exudation per unit DBH of J. mandsburica were 0.3±0.1ℓ/cm on average, which was one third times of 0.9±0.1ℓ/cm for A.mono. During the days of enhanced sap exudation, the atmospheric condition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round J. mandsburica trees we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A.mono. The minimum tempereatur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amount of sap J. mandsburica whereas the range of temperature was the principal factor A.mono. In conclusion, the sap of J. mandsburica exudated in atmospheric conditions similar to A.mono, but the amount of sap was affected by different atmospheric factors compared to A.mono.

      • KCI등재

        관광객의 위험지각이 농촌관광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원실(Won Sil Choi),김현노(Hyun No Kim),김경량(Kyung Ryang Kim) 한국농업정책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 2017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4 No.2

        As rural areas have been changing rapidly due to international trade liberalization, the importance of nonfarm income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fo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economy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a rural tourism business in order to increase nonfarm income and consequently the demand for the rural tourism has been increased. However, inevitable incidents continue to occur in the tourist sites. Whenever these dangerous disasters happen, the tourists are aware of the potential risks and tend to avoid or cancel their plans to visit rural areas. In tourism sector, the perceived risk has been regarded as the important variable which can have an influence on individual’s preference or intention of revisiting.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isk perception associated with disasters that occur persistently and inevitably in the rural touris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ourists’ risk perception on rural tourism using the survey data obtained from the potential rural tourist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y and policy associated with a risk management, which can be useful for the re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