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전선별법을 이용한 석탄회로부터 미연탄소분 제거에 관한 연구
崔佑鎭 水原大學校 1999 論文集 Vol.17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process for removing unburned carbon from fly ash. The process utilizes the difference in electrical charg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organic material (carbon) and the mineral matter (fly ash). In the present work, dry separation tests have been conducted on Samchunpo fly ash samples using a bench- scale analytic separator. The test variables studied include air rate, feed rate, electric field strength, particle size, charger material and length, etc. The best separation results were obtained at the air rate 50 l/min, feed rate 15g/min and voltage 15kv. The fly ash with carbon content below 1 % was obtained with over 65% recovery.
무선 ATM LAN 환경에서 경로 확장 기법의 루프 제거 및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연구
최우진,박영근 한국통신학회 2000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5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broadband services to mobile terminals. Wireless ATM will be used to support broadband services for future generation mobile service. We propose an algorithm for handover in wireless ATM LANs. We have studied how to treat the loop cancellation and optimization of path extension handover scheme, and present path optimization algorithms : polyangular loop cancellation and triangular loop cancellation. We express the location of MT(mobile terminal) by direction angle, and the direction angles can be converted into direction vectors. Using direction vectors, we can find the current optimal path of MT. The analysi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anchor rerouting scheme in average handover delay, handover disruption delay, and buffer requirements.
최우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1
광산폐기물은 크게 폐석과 선광공정에서 배출되는 광미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광석으로부터 유가자원회수 또는 금속 추출시 제련공정 등에서 얻어지는 광미나 잔류물은 자원 고갈에 따른 재이용 및 환경보전 측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광미의 경우 일반적으로 함유된 유가자원의 품위가 원광에 비해 낮으나 처리비용은 기존의 선광 처리 비용에 비해 휠씬 저렴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휴ㆍ폐광산 지역에서 광미 재처리를 시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방치된 광산폐기물의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원처리 및 회수기술의 개발은 물론 회수된 자원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광산폐기물의 재활용기술개발 및 적용 현황, 향후 기술개발 전망 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