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에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

        남일현(Il Hyun Nam),김대근(Dae Geun Kim),이영훈(Young Hoon Lee),이동현(Dong Hyun Lee),최영득(Young Duk Choi),이희형(Hee Hy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에서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로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무지외반 변형으로 장 회전 scarf절골술을 시행한 36명 56예 중 3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4명 3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73.9세였으며, 전 예에서 술 전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1년이었다. 골두를 포함하는 족저 골편을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교정하였으며, 위 아래 골편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안정성을 갖도록 하였다. 변형 교정 후 2-3개의 무두 나사못을 사용하여 두 골편을 견고히 고정하였다. 수술 당시에 교정 전 및 교정 후의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측정하였고, 술 전 및 최종 추시에서의 무지외반각, 제1-2 중족골간각 및 제1 중족족지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고, 임상 점수로는 AOFAS 점수를 사용하였다. 술 후 1주째부터 보조기 착용하에 부분적 체중 부하 보행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피로 골절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술 전 시행한 골다공증 검사에서 T-score는 평균 -3.54였다. 수술 당시에 측정한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은 교정 전은 평균 24.8°에서 교정 후에 6.7°로 교정되었다. 제1-2 중족골간각은 술 전 평균 17.6°에서, 최종 추시 6.2°로 교정되었고, 무지외반각은 술 전 평균 36.7°에서 최종 추시 시 6.5°로 교정되었다. 제1 중족지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37.4°에서 64.3°로 관절 운동이 개선되었고, AOFAS 점수는 평균 56.4점에서 89.2점으로 호전되었다. 수술 당시 관찰상 troughing은 한 예도 경험하지 않았으며, 3예에서 나사못 고정의 실패를 경험하여 1개의 나사못을 추가로 고정하여 해결하였다. 최종 추시 시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피로 골절 등은 경험하지 않았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에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은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의 교정과 troughing 및 피로 골절 등의 예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이에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 치료에 장 회전 scarf절골술은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교정시킬 수 있고, 증상을 호전시키는 술식의 하나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paper reports an experience of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for elderly patients with a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4, 37 cases in 24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who received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for hallux valgus and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3 years, were evaluat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checked in all cases preoperatively. The mean age at surgery was 73.9 years ol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1 years. The plantar head fragment was rotated medially to correct the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and to cross the two cortices to form an “X” shape to prevent troughing. In the operating room, the DMAA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rotation of the plantar head fragment. The hallux valgus angle, 1st intermetatarsal angl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and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were measured both preoperatively and in the final follow-up. In addition, stress fractures were checked in the routine follow-ups. Results: The average T-score of the preoperative BMD was -3.54. The mean DMAA measured in the operation room was corrected from 24.8° to 6.7°. The 1st intermetatarsal angle was corrected from 17.6° to 6.2° and hallux valgus angle was corrected 36.7° to 6.5°. The averag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MTP joint was improved from 37.4° preoperatively to 64.3° in the final follow-up, and the average AOFAS scores were improved from 56.4 preoperatively to 89.2 at the final follow-up. No troughing was observed in any of the patients. In 3 cases, screw fixation failure made an additional screw necessary to obtain stability between the two fragments. No stress fractures were observed at the follow-up. Conclusion: The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produced the effect of a DMAA correction. The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might correct the DMAA and improve the clinical score in elderly hallux valgus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