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multi-Level)분석

        최연선 ( Yeon Seon Choi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1 사회복지실천 Vol.10 No.-

        본 연구는 다수준 모형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조직과 조직에 속한 조직구성원을 동시에 분석단위로고려한 실증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은 그들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과 분리될 수 없으며, 조직과 조직구성원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총 126개 사회복지조직의 1,69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각 조직별로 차이가 있다는것과,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최고관리자가 발휘하는 리더십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수준요인으로 중요하게 설명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This research, by theory of actual proof considering both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the member of staff of it as an unit of analysis of organization`s symptom characterized as multi-level, has verified th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hall not be separated from their organization where they belong and also organization and the member of it have an effect on mutually themselves.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survey out of total 1,690 members of 126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used. After this research, it is verified that chief executive`s leadership is importantly regarded as the factor of the level of organization by the research that shows the effect by job-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s in each organizat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 to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사회복지와 윤리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최연선(Choi Yeon-Seon)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20 인권복지연구 Vol.22 No.1

        사회복지는 실천학문이자 윤리적 의사결정의 과정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윤리는 가치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행동지침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사회복지의 윤리강령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에 적용할 적절하고 타당한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윤리적 실천은 선택이 아닌 의무이며 윤리적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 상황을 해석하여 대안을 탐구하고자 하는 윤리적 민감성의 고양은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Social welfare ethical aspects to an extent that it would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represents a practical learning and a process of ethical-decision making. Ethics set forth the guideline of action based on values and provides a basis for judging right and wrong. The ethics of social welfare serves the function of proving appropriate and reasonable standards and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question of how to resolve ethical problems arising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Such ethical practice is an obligation, not a choice, and it would be essential to enhance ethical sensitivity for exploring the alternatives based on recognition of ethical problems which exist and analyses of concerned situation.

      • KCI등재
      •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과정을 이수한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변화

        이종국(Jong-Gook Lee),이용석(Yong-Suk Lee),최연선(Yeon-Seon Choi),장화순(Hwa-Soon Chang),유명이(Myung-Yee yu)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3 사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과정이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봄으로써 그동안 수행되어온 전문요원 수련과정의 성과를 평가해보고 향후 수련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002년 3월에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을 시작한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수련 시작하는 시점과 수련을 마치는 시점에 각각 정신 보건문제에 대한 인식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두 차례 조사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는 간호사 119명, 사회복지사 24명 등 총 143명이었다. 통계분석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1) 수련생들은 정신보건 문제들의 심각도에 대해 수련전후에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치매 문제의 심각도 순위가 5위에서 2위로 높아졌다. 2) 정신보건 서비스의 필요도에 대해 수련전후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입원(입소) 시설, 가족모임 혹은 상담이었고 두서비스의 필요도가 수련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은 수련전후 모두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 수련과정을 이수한 수련생들은 자비심이 증가하고 사회생활제한은 감소하는 등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권위주의, 지역정신보건개념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을 통해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정신보건문제의 인식에도 부분적으로 변화를 보였다. 수련전후에 변화가 있는 것과 변화가 없는 것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수련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세부 과목과 주제들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