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화법과 작문’의 통합형 교수 학습 방안 탐색

        최숙기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grated learning way of ‘Speaking and Writing’ Subject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appli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argeting 24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peaking and Writing’ subject and the relation betweens achievement standards and subject competencies on ‘Speaking and Writing’ subject. As a result, 1) it 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y’ shows great influence and forms strong network throughout another subjects competencies. 2) the result of visual mapping revealed the closed relation of ‘data·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and ‘critical·creative thinking competency’. 3) central analysis result of 24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peaking andusageing’ showed that ‘communcation’, ‘convention’, ‘community’, ‘context condsideration’, ‘context’, ‘strategy’. ‘ego’ are key integrated maditating ingrements to teach ‘Speaking and Writing’ Subject. 4) the result of visual mapping revealed the closed relation of ‘context’ and ‘strategy’ and this result implicate that integrated teaching method based on ‘context’ and ‘strategy’ are effective when teach ‘Speaking and Writing’ subject.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교 선택 과목인 '화법과 작문'의 통합형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국어 교과 역량과 ‘화법과 작문’ 성취기준과의 관계와 ‘화법과 작문’의 24개 성취기준들의 핵심 학습 요소를 바탕으로 ‘화법과 작문’의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 역량에 대한 중심성 분석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핵심적인 통합 매개 역량으로 나타났고, 공동체 대인관계 역량 역시 타 교과 역량과의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 이 두 역량을 반영한 통합 지도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둘째, 국어 교과 역량에 대한 시각화 맵핑 분석 결과, 자료·정보 활용 역량과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과의 밀접한 개념 관계를 고려하여 통합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셋째, 학습 내용 요소에 대한 중심성 분석 결과, ‘의사소통’이나 ‘관습’, ‘공동체’, ‘맥락 고려’, ‘상황’, ‘전략’, ‘자아’를 중심으로 통합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넷째, 학습 내용 요소에 대한 시각화 맵핑 분석 결과, ‘상황’과 ‘전략’ 간의 밀접한 개념 관계를 고려하여 통합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KCI등재

        공통핵심교육과정(CCSS)의 읽기 텍스트 위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the text leveling methods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for English Language Arts & Literacy in History/Social Studies,Science, and Technical Subjects and to find proper text leveling process for reading education in the Korean reading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 Text leveling have been the topic of a substantial body of reading instruction including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For example, if a text is too difficult for readers, they may struggle, quickly become frustrated, and give up. On the other hand, if the text is too easy,readers may not be challenged, and become easily distracted or bored. so, we need to find the methods allowing them to track student progress and assign each student appropriate reading materials. But in our reading instruction context, readers have relied on teacher's judge or researcher's judge to find text difficulty of reading material or age appropriateness. However, those judges were often subjective or based on formulas that failed to reflect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 complexity model suggested by CCSS for reading standards is very useful tool. Text complexity provide a common scale for measuring text difficulty and student reading ability. As the most widely adopted reading measure in use today, text complexity offer a scientific approach that facilitates learning and instruction by improving interpretability and informing educational decision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ext complexity it is possible to match students with appropriate texts and track student reading ability. 2007년 국가수준의 읽기 교육과정이 개정된 이래, 읽기 텍스트 위계화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재편된 읽기 교육과정이 학년별 성취기준과 텍스트가 일대일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제시된 텍스트가 학생들의 학년별 읽기 발달을 반영하는 정도나 텍스트간의 연계성이 실제적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2011년 새 읽기 교육과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맥락에서 텍스트 위계화의 문제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동시에 본질적인 논의로 부각되었다. 현재까지 학생들의 읽기 발달 수준을 고려한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읽기 텍스트 위계화 방안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읽기 교육에서 대상이 되는 읽기 텍스트의 평가와 선정의 과정은 그간 부분적인 양적 이독성(readability)에 바탕을 두거나, 교사나 연구자들의 가설적 준거에 따른 판단에 의존하여 왔다. 이는 학생들의 읽기 발달에 근거한 이해 수준과 텍스트 수준을 고려한 학년별 텍스트 위계화의 방안이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2010년 6월에 발표된 미국의 공통핵심교육과정(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이하 CCSS)의 읽기 교육과정은 읽기 텍스트 위계화에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CCSS에서 제안한 ‘텍스트 복잡도 모형’(text complexity model)은 텍스트의 양적 차원과 질적 차원, 독자의 인지와 정의적 차원의 요소를 접목하여 학년 수준에 적정한 텍스트를 선정하고 위계화 하는 실증적 원리를 제공하여 주었다. 이처럼 CCSS의 텍스트 복잡도를 활용한 읽기 텍스트의 선정 및 평가 절차와 텍스트 위계화의 방안은 현행 읽기 교육과정 개발 뿐 아니라, 읽기 교재 및 읽기 능력 평가를 위한 지문 선정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읽기 교육 맥락에 적정한 텍스트 복잡도 지수를 개발하고, 읽기 텍스트의 선정과 활용의 방안을 모색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공통핵심교육과정(CCSS)의 읽기 텍스트 위계화 원리 및 방안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내용 요소 및 실현 양상 분석

        최숙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문식성 실현 양상을 다문화 제재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국어 및 생활국어 체제 및 내용 영역별 실현, 제재의 주제 범주화, 다문화 문식성과 연계한 활동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및 생활국어 교과서 총 50종으로 학기별로 200권의 교과서를 포함하였다. 1)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교과서 체제별로 다문화 제재 수록 양상은 큰 차이가 없었다. 2) 국어 교과서의 집필 기준과 달리 ‘읽기’와 ‘쓰기’, ‘문법’ 영역의 다문화 제재 수록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 중2 교과서의 다문화 제재 수록 빈도가 가장 높았고, 중3 교과서가 가장 낮았다. 4) ‘3.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양상 소개’를 다룬 다문화 수록 제재가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2.미국 등의 사회에서 경험한 차별, 분쟁 및 극복에 대한 소개’를 다룬 제재는 가장 적게 수록되었다. 5) ‘4. 다문화 사회로 변화할 한국사회의 미래지향적 과제 제시’와 ‘1.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다룬 다문화 제재는 유사한 수준으로 수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tent and application aspects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o analyze multicultural issue reflected in multicultural material of the textbook and the relation learning activity and multicultural literacy. Especially, targeted textbooks(N=200) was for secondary students(7-9th grade) and authorized by Korea Ministry of Education based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Results is as in the following. (1) there was not difference of multicultural materials selec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d 『Living Korean Language』. (2) multicultural materials were much more included in reading, writing and grammar domain of Korean textbook and in the 8th grade textbook. (3) the materials related ‘3. multiculturalism report of korea society’ were the most included and the materials related ‘2. discrimination, conflicts and overcoming experiences in United States as a multi-racial country’ were the least included in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 방안 연구- 국어 교사의 인식과 국어 교과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최숙기 청람어문교육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8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과정 중심 평가의 국어 교과 차원의 실행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 인식과 개념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국어 교사들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실제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화 양상은 상이하였다. 또한 국어 교사들은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교수 학습과 수업을 연계한 평가로서, 학습 지향적 평가로서 과정 중심 평가가 지닌 특성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 방향을 설정하고 1)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과 국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연계 설계, 2) 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피드백을 위한 채점 기준표의 개발, 3) 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성장을 위한 피드백 제시의 차원에서 국어 교과 차원에서의 실행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onceptual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PFA)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e PFA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reuslt, Although Korean languag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nderstood PFA well, the conceptualization of PFA differed. In addition, Korean language teache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FA as AFL, which is a linkage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국어 평가 시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and fulfillment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dopted after 'proposal to advanc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for secondary school announc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Findings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more than 50% of Korean language teacher reported nega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they do not expect that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dose not contribute korean language assessment improvement and dose not suggest plans to student' korean language ability progress.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 in high school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than in korean language teacher middle school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1-5 year education career reported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Third, Korean language teacher reported that they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well and describe the standard level of korean language well. But they reported problems about setting standard to evaluat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difficulty of cut-off score decision. Fourth, Korean language teacher’s fulfillment levels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i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and the lowest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ifth,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1-5 year education career reported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they reported difficulty when they develop korean language test items and grading students' korean language performance. 본 연구는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가 발표한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에 따른 성취평가제의 시행과 관련하여 현직 국어 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성취평가제와 관련한 국어 평가 시행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행복 교육의 실현과 학생들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해서는 경쟁 중심의 상대평가 체제에 대한 질적 전환이 요구되었고 이에 성취평가제를 통해 학생들이 본질적으로 도달해야 할 목표 중심의 성취평가로의 전환을 모색하였다. 국어 교과의 경우 2016년 현재 고등학교 3학년까지 성취평가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평가제에 대한 국어 교사들의 인식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첫째, 설문에 참여한 현직 국어 교사 중 67.1%는 성취평가제가 국어 교과의 평가 개선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성취평가제가 학생들의 국어 능력 향상 방안 마련에 기여한다고 응답한 국어 교사는 55%로 나타나 국어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이 중학교 국어 교사들에 비해 성취평가제를 통한 국어 평가 개선 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고 1-5년 근무 경력의 국어 교사들이 성취평가제에 대한 국어 평가 개선 효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 교사들은 성취평가제에 대한 이해, 국어과 학기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올바른 진술은 잘한다고 인식한 수준이 높은데 반해 국어 성취수준의 설정과 적용을 잘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성취수준에 대한 설정이나 예상 정답률 추정, 분할 점수 산출 등에 관한 시행 수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성취평가제 시행을 위해 출제 계획, 수행 평가 관련 채점 및 결과 보고 단계, 성취평가제 지원 체제의 활발한 차원에 관한 국어 교사의 시행에 대한 인식 수준은 모두 중학교, 인문계고,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1-5년 근무 경력의 국어교사들은 성취평가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문항 출제나 평가 및 채점 수행과 관련한 시행수준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작문 평가를 위한 ChatGPT 활용 방안 연구

        최숙기,박종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employing ChatGPT for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focusing on evaluating its performance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on actual student compositions.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I models like ChatGPT in the field of compositio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hen comparing evaluations of argumentative writing by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a Korean language teacher and ChatGPT, slight differences were observed, highlighting issues with grading variance and accuracy. Secondly, vThirdly,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ChatGPT as a writing feedback tool demonstrates the advantages of "immediacy," wide applicability in various writing contexts through "scalability," and the potential for providing feedback across different stages of the writing process. Fourthly, while generating writing feedback is achievable with a small amount of pre-training data,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prompt engineering to mitigate variability issues in feedback generation and ensure effective feedback provision.

      • KCI등재

        논설문 평가에 나타난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및 편향 분석

        최숙기,박영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1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based on Many-Facets Rasch model. For that, the 68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35 persuasive writ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randomly. the rating data was analyzed by the computer program FACETS (ver 3.66.1, Linacre, 2004), with FACETS analyses run on the persuasive writing.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14 teachers(20.58%) out of 68 were founded as overfiting raters. (2) the 10 teachers(14.70%) out of 68 were founded as underfiting or misfiting raters. (3) In the rater's gender, male and female teachers showed acceptable fit that means stable rating. But the female teachers had higher severity than that of the male teacher. (4) In the rater's career, teachers who above 20 years of teaching career reported the lowest severity level, and teachers who 1∼5 years of teaching career reported the highest severity level within teacher groups. (5) MFRM revealed several recurring bias patterns among rater subgroups. In rater–category and rater-examinee bias interactions, Some raters also rated more severely and more leniently than expected.

      •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국어과 평가 개선 방안 연구

        최숙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to shift current korean language assessment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 assessment for helping students’learning and growth. Especially, digital textbooks emphasized in SMART education policies of Korea are us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assessment methods. Currently, the interest in digital textbook studies is about developing the models of digit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Students’growth, school level and subject characteristics which are applicable to Korean education system changes. New digital textbooks have to reflect the current education eco system emphasizing assessment for individual, diagnosis and non-competition. The model of the digital textbook suggested in this study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assessment includes reports of korean language students’achievement status and profile and diagnosis of korean language students’strength and weakness, instructional feedback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model of the digital textbook is linked to external mobile applications(ex. Classting, SOCATIVE, Rubric scorer, etc) for activating the instant, interactive and individual feedbacks. These traits of the model can improv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and then can support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korean language abilities. 본 연구는 현행의 국어과 평가 개선의 방안으로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학습 지향적 평가로의 변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2011년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에 따라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는 교과서 형태인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그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교과서는 현재 2014년 전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 과학 등의 일부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보급되면서 그 실현 가능성을 확인 중에 있다. 분명한 것은 현 시점은 학습자의 발달과 학교 및 교과 특성을 반영하면서 현행의 교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시기라는 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교과서가 반영해야 할 교육 생태계의 주된 변화는 평가 체제의 변환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국어과 평가로의 전환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였다. 특히, 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개별 학업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피드백을 연계하도록 하여 본질적인 학업적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지향적 평가가 내재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의 실현태를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한 쓰기불안 척도 분석

        최숙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새국어교육 Vol.0 No.87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of the writing apprehension test(Daly & Miller, 1975). The writing apprehension refers to the tendency to avoid writing. For this purpose, all the original 26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the 1,273 high school students(male=779, female=493). Then, the participants'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the Rasch model.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First, To assess whether the test covers the subjects’ range of writing ability a map of persons and items was examined. WAT do not adequately cover the range of writing ability of subjects. There are no items targeting subjects at the upper end of the scale. Second, In the WAT, two misfitting items were found. Item 2 and item 7 were misfitting. Third, WAT seems to be reasonable as a method to define the writing apprehension by the result of Logit number distributions of each category, as the intervals of the categories. 본 연구에서는 Rasch 모형의 한 종류인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쓰기불안 측정 자료를 분석하고, 쓰기 불안 척도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Rasch 평정척도 모형은 서열화된 다분자료 분석을 위해 고안되었다(Andrich, 1978). Daly와 Miller(1975)의 WAT는 필자의 쓰기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쓰기불안척도가 적절한 반응범주를 구성하고 있는지의 여부나 학생들의 쓰기불안을 측정하는데 적합한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1,273명이었으며, 이 중 남학생은 전체 779명(61.2%), 여학생은 493명(38.8%)이었다. Rasch 모형을 적용한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와 쓰기불안척도의 범주별 logit 점수 분포에 따르면, 쓰기 불안의 중간 수준 문항들은 잘 구성된 반면, 높은 수준과 낮은 불안 수준 문항들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정된 문항 적합도에 관한 분석에서 WAT의 26개 문항 가운데 2번과 7번 문항은 부적합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항은 차원 내 다른 문항과 동질성을 갖지 않는 문항이었다. 셋째, 쓰기 불안 척도의 5점 척도 구성이 타당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반응 범주별로 산출된 빈도(%), 경계모수치(step calibration), 확률가능곡선에 대한 분석에서 쓰기 불안의 5점 척도 구성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어과 서‧논술형 수능 평가 문항 개발 방안 연구

        최숙기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develop essay test items for CSATs in relation to the transition to a future-oriented CSAT by analyzing the introductory evaluation cases of Germany's Abitur, the UK's GCE A-level,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essay test items. First, a plan was sought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written and essay-type evaluation of the CSAT and the design of evaluation elements for the evaluation of academic literacy. Based on the academic literacy required for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① data comprehension and analysis, ② argumentation, and ③ expressiveness were set as evaluation factors. Second, it is possible to compose ① data analysis-type questions and ② data utilization-type questions as data-integrated writing evaluation questions with Korean language essay and essay-type evaluation questions. Third, ① language, ② communication, ③ Characteristics of media or Internet media, ④ Literary themes, and ⑤ Academic and social themes were suggested as the themes of data texts, ③ various types of media data, and ④ processed data referring to ①-③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형 수능 체제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국어과 서‧논술형 수능 평가 문항 개발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일의 아비투어(Abitur), 영국의 GCE A-level(General Certificated of Education Advanced-level), 국제바깔로레아(IB)의 서논술형 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자국어 과목 내의 서·논술형 평가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서·논술형 평가 문항 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학문 문식성 평가를 위한 수능 서·논술형 평가의 목적과 평가 요소의 설계 차원에서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학의 학업 수행 과정에 요구되는 학문 문식성을 기반으로 하여 ① 자료의 이해력 및 분석력, ② 논증력, ③ 표현력을 평가 요소로 설정하였다. 둘째, 국어과 서·논술형 평가 문항으로 자료 통합형 쓰기 평가 문항으로 ① 자료 분석형 문항과 ② 자료 활용형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자료 텍스트의 주제로 ① 언어 일반, ② 의사소통 일반, ③ 미디어나 인터넷 매체 특성, ④ 문학적 주제, ⑤ 학문적, 사회적 주제을 제안하였으며, 자료 텍스트의 구성 유형으로 ① 권위 있는 학문 텍스트, ② 문학 텍스트, ③ 여러 유형의 매체 자료, ④ ①-③을 참조한 가공 자료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