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산지역 삼국시대 유·소아묘에 대한 검토 - 김해 예안리고분군 유·소아묘의 사례를 기준으로 -

        최수형(Su-hyoung, Choi) 부산고고학회 2011 고고광장 Vol.- No.9

        본 글은 인골이 확인되지 않는 삼국시대의 공동묘역을 대상으로 유·소아묘를 추출해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작성되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된 예안리고분군의 유·소아 목곽·석곽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분 내부 공간 장축 길이가 200cm이하, 피장자 매장 공간 장축 길이가 140cm이하라는 객관적인 기준이 설정되었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지역의 4~6세기 단일고분군 유적에 적용하여 유·소아묘로 추정되는 유구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울산지역 유·소아묘의 규모는 목곽묘보다 석곽묘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하나의 단일고 분군 내에서 유·소아묘는 약 20% 전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목곽묘보다 석곽 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유·소아묘와 성인묘의 배치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독립적 배치, 병렬상 배치, 반원상 배치 총 3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관계는 병렬상의 배치(목곽묘-석곽묘)에서 점진적으로 반원상의 배치(석곽묘-석실묘)로 변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다양한 철기 유물 중에서 철촉, 철겸, 철도자만이 한정적으로 유·소아묘에 부장된 다. 또한 철촉, 철겸은 소아묘(6~11세)에만 부장되는 유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 막으로 유·소아와 관련된 특정한 전유물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일부 무덤에서 유·소아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측되는 토구가 출토되었다. 이 토구의 용도와 쓰임새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어 어린이용 놀이 도구(장난감)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ways in sampling the infant and children tombs among joint tombs having unidentified bone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For this work, bones in a good condition from‘ Yean-ri ancient tombs’were analysed. As a result, the objective standard is created, which is the horizontal length in the inner space is below 200cm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buried person is below 140cm. After that, the standard was applied to the single-ancient tomb in Ulsan province during 4~6 centuries and the archeological marks from considered infant·children tombs were studied. The size of the stone chamber infant·children tombs has more variety than the on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In addition, infant·children tombs occupied around 20% in a specific ancient tomb’s group. In general, the rate of stone chamber tombs is relatively higher than wooden chamber tombs.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infant·children and adult tombs, it consists of independent, parallel, and semi-circle forms. It is considered that the arrangement gradually changed from parallel forms(wooden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to semi-circle ones(stone chamber tomb-stone room tomb). Iron-arrowheads, iron-sickles, and iron-knifes were limitedly buried as grave goods. Also, it is regarded that Iron-arrowheads and iron-sickles are grave goods only for the children tombs(age 6-11). Finally, special remains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were not identified. In some tomb’s groups, soil-tools presumed for infant·children were excavated. With the examples for tool’s use and service, it is supposed as children toys.

      •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위계구조 검토

        최수형(Choi, Su-H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중앙고고연구 Vol.0 No.12

        본 연구는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의 위계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신분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크게 6등급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각각의 등급 차이는 유물 내용상에서도 확연히 드러나지만, 특히 분포 권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Ⅰ등급에서는 다른 등급에서 확인되지 않는 금제 관, 금제·금동제 대금구, 유리제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최고 수준의 질적, 양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목곽의 규모에 있어서도 가장 큰 규모의 A, B군을 점한다. Ⅱ등급은 금동제 관,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목곽의 규모 는Ⅰ등급보다 작은 B, C군을 점하고 있다. Ⅲ등급은 관은 매납되지 않고 흉식,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며 목곽의 규모는 B, C군을 점하고 있다. Ⅳ등급부터는 앞의 Ⅰ~Ⅲ등급에 비해 유물 구성과 목곽의 규모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Ⅳ 등급은 일반적인 경식, 이식, 마구류 등이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Ⅰ~Ⅲ등급보다 월등히 작은 C, D군을 점하고 있다. Ⅴ등급은 착장형위세품과 보유형위세품은 보이고 않고 토기류, 농구·공 구류, 무구·마구류만이 매납된다.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Ⅵ등급은 오직 토기류만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최상위 위계에 속하는 Ⅰ·Ⅱ등급은 경주 중심권에만 분포하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위계의 정도는 점점 약화되어 간다. 이와 같은 위계 등급을 신라 신분 사회에 실질적으로 적용해보면 Ⅰ·Ⅱ등급은 왕·왕족, Ⅲ~Ⅴ유형은 귀족신분, Ⅵ유형은 일반민으로 상정된다. 그리고 Ⅰ~Ⅴ등급이 실질적으로 신라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배계층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신라인들은 신분(지위)과 혈연관계에 따라 특정 계층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정치, 사회, 경제적 특권과 의무가 뒤따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그들 내부에서도 서로를 구별지으려는 의식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묘제와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차별의식과 정체성은 사회 조직 내에서 신분 분화(위계화)의 심화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classes through the tomb builder's group. The tomb builder groups are divided into six classes. The class differences are not identified in not only relics,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Class1 included golden crowns, golden belts, and glasses, which is not found in other tombs. It was the best quality and quantity among all the other tombs. In addition, it had the biggest group A, B in the wooden tombs. Class2 included golden crowns and golden wares.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which is smaller than group A. Crowns were not included in Class3. But ornaments and golden wares were buried.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From the class4, there was a huge difference among class1~3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relics and the size of the tombs. In class4, necklaces, earings, equipments for riding horses were found. The size of the tomb was group C, D, which is much smaller than class1~3. In class4, the wearing and burial authority were not identified. In contrast, pots, farming tools, armors, and, equipments for horses were buried. The size of the wooden tombs are group C, D. Finally, class5 had only the pots and the size is group C, D. Class1, 2 included in the highest class were shown in the center area in Gyeong-Ju region and the class were getting lower in the country side. When the results is adapted to social class in Shila era in an actual way, class1, 2 are for the King, first class(Sunggoul), and second class(Jingoul), class3, 4 for the nobles, class5 for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class1~4 were the leader of the Shila society. The tomb builder groups had the mind for distinguishing themselves in their inner society, showing their ident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tombs. It is understood that the minds and identities led the deep differentiation of the classes in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