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파견학생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최선진(Choi, Seon-Jin)(崔善珍)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중국지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지역 교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역량 변화와 교환 전과 과정 중의 요인에 대한 문화역량의 관계를 조사·분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A 대학 중국학부 학생 중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지역으로 파견 간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교환 전과 후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차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동일 집단 53명을 연구대상 범위로 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주관식 의견을 토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3가지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교환학생 선발방법 변경 또는 추가 조건제시, 2)기 경험자가 참여하는 정보망 구축, 3)교환 전 교내에서부터 현지인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 하자이다. 본 연구의 제시방안을 활용하여 중국지역 파견뿐만 아니라 해외 교류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its language and cultur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make better programs or system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changes of cultural capacity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in China. F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s Chinese studie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change student program in China from 2016 to 2018. A group of 53 students responded survey on two separate occas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opinions on the subject matter,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current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and three options for educational methods. 1) Changing the method of selecting exchange students or suggesting additional conditions, 2)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with prior experience in exchange student, 3) Supporting various interacting programs with natives inside a college before exchanging.

      • 기업가정신 기반의 대학 기술사업화에 대한 연구

        최선,이민화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한국의 공공R&D투자는 그 규모가 18조원으로 GDP대비 세계 최고 수준이나 R&D성과의 활용인 기술사업화 수준은 매우 낮다. 기술사업화는 산학협력단, 기술이전조직(TLO),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창업선도대학 등 각종 기술사업화 관련 조직 및 정부정책에도 불구하고 공공R&D 투자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다. 대학은 교육과 연구 중심의 대학에서 기업가적 대학으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그에 따라 기술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술사업화의 방식은 기술이전, 기술창업, 기술투자 등이 있다. 최근 대학의 기술사업화 트렌드중 기술투자 방식인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는 아직 성과가 미흡함에도 불구하고, 발전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제도가 다른 기술사업화 방식에 비해가지는 강점에 대해 밝히고, 기술지주제도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가 통합되어 그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 기술사업화를 단계별, 영역별로 구분하여 대학 기술사업화 매트릭스를 그리고, 각 단계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의 핵심은 협력 연계의 부족과 기술과 시장의 연계 부족으로 모아졌다. 그리하여 1) 대학 기술사업화 추진체계의 일원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모듈의 공유 2) 통합된 기술사업화 시장플랫폼의 구축 의 두가지 큰 개혁방향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약학대학 학생을 위한 병원기초약무실습 교육도구 개발 및 적용 평가

        최선,최은영,이연지,나현오 한국병원약사회 2014 病院藥師會誌 Vol.31 No.3

        Since 2013,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BPP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underthe new six-year Pharmaceutical College curriculum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is implementation,the pharmacy department at St.Mary’s Hospital in Seoul has developed its own BPPE program which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10 education items: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evaluationmedicine prescription,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injectabledrugs preparation, drug information provision,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medical terminology,patient evaluation, and patient counse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PPE program and students’satisfaction,the first 20 students trained under the BPPE program were surveyed and practicallytested. The students rated their knowledge level of each education item pre- and post-BPPE: using the4-point Likert scale from 1 to 4, where 1 is very low, 2 is low, 3 is high and 4 is very high. The objectivepractical tests were done after the BPPE. The students’safety evaluation survey contained questions on overall satisfaction, self-sufficiency, benefits of the education, and self confidence in further advanced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All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For self-assessed knowledge level of each education item, theportion of positive responde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items in the post-BPPE survey (p<0.001), and‘medication safety evaluation’among the item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followed by ‘injectabledrug preparation’and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In the objective practical tests after theBPPE,‘ various dosage preparation’had the highest scores of 93.8±1.1 (mean ±SD), and‘ medical terminology’and‘patient counseling’had the lowest scores of 80.5±8.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ionship between the self-assessed knowledge and the objective test scores. All students positivelyanswered to overall satisfaction. Only 76.7% of the students positively answered to self confidencein further advanced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and the most negatively responded confidentitem was‘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PPE program was efficient andhighly satisfying. However, the self assessment did not significantly correspond to objective evaluation. Therefore, consensus between precepto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purpose of BPPE, standard of students’evaluation,and items of BPPE is needed. Furthermore, there should be persistent efforts betweenthe pharmacy school and practice field by sharing information as a way to be complementary to eachother for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권력분립 원리와 사법권 독립

        최선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0

        Korea has been making efforts to democratize the society for 30 years since 1987. As a result, Korea's democracy is estimated to be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and the level of judicial independence is also highly evaluated. Despite this external evaluation, however, the controversy over the judiciary continues in Korea. Is the independence of the trial sufficiently guaranteed in Korea? Is there a fair trial without unjustifiable intervention or influence within the internal system of the judiciar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external agencies such as the judiciary or the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is properly performed in Korea. To this end, it examined the importance of judicial independence in a democratic societ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And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judiciary should als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as the authority constituted by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and insisted a harmoniz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judicial independence in two ways: internal and external independence. This could be the basis for restoring public confidence in the judiciary. 한국은 1987년 이후 30년 동안 사회 각 분야에서 민주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다. 그 결과 한국의 민주주의는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사법권 독립의 수준 역시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2008년 신영철 대법관 재판개입 사태나 최근 양승태 대법원장의 재판거래 및 판사 블랙리스트 의혹에 이르기까지 사법부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과연 한국에서는 재판의 독립이 충분히 보장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 입법부나 행정부 등 외부기관의 부당한 간섭이나 영향뿐만 아니라, 사법부 내부의 조직체계 안에서의 부당한 간섭이나 영향 없이 공정한 재판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법권 독립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권력분립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사법권 독립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법권 역시 국민주권원리에 의해 구성되는 권한으로서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함을 지적하고, 독립성과 책임성의 조화를 모색해야 함을 검토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사법권 독립을 외적 독립과 내적 독립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였다. 이는 재판거래와 판사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무너진 사법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는 기초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