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3년간(1998-2000년) A군 연구균 감염의 혈청학적 형분류와 역학적 특징

        최선희,김연호,차성호,김기상,이영희,Choi, Sun-Hee,Kim, Yun-Ho,Cha, Sung-Ho,Kim, Ki-Sang,Lee, Young-H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A군 연쇄구균의 세포벽은 M단백과 T단백으로 구성되어 있고, M단백의 항원성은 현재 90여 가지로 분류되고 있으며 균의 독성과 관련이 있고 질병의 병인론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면에 T단백은 항원성 분류는 연쇄구균의 역학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3년 동안 서울시내 5개 지역 병의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분리된 A군 연구균의 T단백 분류를 통해 역학적 동태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시내(남부, 북동부, 북부, 북서부, 북부)를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분리된 A군 연구균의 T단백의 혈청형 분석을 시행하여 연도별 A군 연구균의 혈청학적 형 분류와 침투성질환에서 분류된 연구균의 혈청학적 형 분류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1998년에 5개 지역에서 시행한 92례의 아동에서 A군 연구균을 분리하여 T12, T4, Non-typed(NT)가 72.2%를 차지하였고, 이중 성홍열은 7례가 있었으며 T12와 T4가 각각 3, 4례를 차지하였으며 경부임파선염 1례(T12), 편도농양 2례(T8, NT)이었다. 1999년에는 41례의 아동에서 시행하였으며 T12, T4, T1가 68%의 분포를 보였으며 성홍열은 5례 중 T12, T4가 3례를 차지하였고 폐렴 2례(T4, T1)와 경부임파선염 1례(T8/25)를 나타내었다. 2000년도는 서울 중부를 제외한 지역에서 시행한 83례의 아동에서 T12, T4, T1이 전체의 63.9%를 보였고 성홍열은 3례(T12, T4, T5 각각 1례)와 편도농양 T12 1례와 폐렴 NT 1례, 패혈증 T1 1례를 나타내었다. 결 론: A군 연구균의 T단백의 혈청학적 분석은 서울 내에서의 지역적 특정 분포는 없으나 T12가 감소하는 연도별 차이를 보였다. 성홍열이나 침투성 질환에서 특정 T단백의 분포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에 T단백의 혈청학적 분석이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주기적으로 더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역학적 검사가 이루어 져야할 것이다. Purpose : Group A streptococci have a cell wall which consists of M protein and T protein. T protein is known to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of group A streptococci. To study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we serotyped T protein of group A streptococci obtained from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s, or who visited OPD in five districts of Seoul the during last three years. Methods : Group A streptococci were obtained in five districts in north, northeast, central, northwest and south Seoul from 1998 through 2000. All isolated group A streptococci were serotyped with T protein antisera(Institute of Sera and Vaccine, Prague, Czech Republic). Results : In 1998, analysis of obtained total number of 92 strains revealed that T12, T4, and NT acounted for 72.2%. Among seven cases of scarlet fever, T12 was isolated in four cases and T4 was found in three cases. Two cases of tonsilar abscess produced T8 and NT. One case of cervical lymphadenitis showed T12. In 1999, 41 cases were studied showing that T12, T4, and T1 contributed 68%. Among five cases of scarlet fever, T12 and T4 make up three case. There were two cases of pneumonia(T4 and T1) and one case of cervical lymphadenitis(T8/25). In 2000,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districts except the central area. Among 83 isolates, T12, T4 and T1 accounted for 63.9%. There were three cases of scarlet fever(T12, T4, T5), one case of tonsillar abscess(T12), one case of pneumonia(NT) and one case of sepsis(T1). Conclusion : Serological analysis of T protein of group A streptococci shows no endemic specificity. The yearly pattern reveals that T12 had been decreasing but T1 had shown the opposite trend.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의 요인구조

        최선희,김종미,홍상황,Choi, Sun-Hee,Kim, Jong-Mee,Hong, Sang-Hwang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1 초등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KIPR)에 잠재되어 있는 요인구조를 밝히고 검증하여 이 검사의 심리적 특성을 밝히고 해석적 유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3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616명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5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요인과 4요인 모형을 설정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요인 모형에서 요인 1은 아동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의 비주장성(C5), 사회적 억제(C4), 냉담(C3), 과순응성(C6) 원형척도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자신감 결여와 사회적 위축", 요인 2는 통제지배(C1), 자기중심성(C2) 원형척도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격성과 타인조종", 요인 3은 자기희생(C7), 과관여(C8), 과순응성(C6) 원형척도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과잉배려"로 명명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은 4요인 모형보다 수집된 자료를 잘 반영하고 있었고(RMSEA=.054), 적합도는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CFI=.786), 모형의 간명성 또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PCFI=.733). 본 연구에서는 교우관계원형에서 상관계수가 높은 인접한 척도끼리는 동일한 요인으로 묶여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8개의 원형척도를 망라하는 상위의 대표적인 요인척도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여, 이 검사의 해석적 유용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inherent in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KIPR; Sang-Hwang Hong, et al., 2009)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rpretive usefulness of the test. For this purpose,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the total of 616 children in the fourth through sixth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ungnam area, and the data from 578 of them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factor and 4-factor models, the 3-factor model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In the 3-factor model, the factor 1 is named "Lack of Self-Confidence and Social Withdrawal" as it consists of such circumplex scale items as Non-Assertiveness (C5), Social Avoidance (C4), the Cold (C3), and Too Submissive (C6). The factor 2 is named "Too Aggressive and Controlling" and consists of items Too Controlling (C1) and Hard to be Supportive (C2). The factor 3 is named "Too Caring" and consists of items Too Responsible (C7), Over Involvement (C8), and Too Submissive (C6). Seco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3-factor model, in comparison to the 4-factor model, was found to better reflect the collected data(RMSEA=.054), its goodness of fit was not satisfactory but within the acceptable range(CFI=.786), and its power of simplicity and clarity was also adequate(PCFI=.733). In the current study, through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scores from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 circumplex scales, scales within the peer relationship circumplex model that are near each other and are highly correlated were confirmed to be grouped together as same factors. I believe the main merit of the study lies in the above result having provided the necessary foundation for forming the superordinate and representative scale that encompasses the eight circumplex scales, which enhances the test's interpretive usefulness.

      • SCOPUSKCI등재

        기계 화학법에 의해 제작된 나노 LiCoO<sub>2</sub> 양극 분말의 구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최선희,김주선,윤영수,Choi, Sun-Hee,Kim, Joo-Sun,Yoon, Young-Soo 한국세라믹학회 200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1 No.1

        $LiCoO_2$ cathode powders with round particle shaped and nano grain sized of 70-300nm were synthesized by a mechanochemical method. The surface of Li-Co precursor prepared by freeze drying method was modified by $K_2SO_4$ coating and ball milling was used for the coating process. The precursor was crystallized to high temperature form of $LiCoO_2$ at $800^{\circ}C$ and the grain growth was inhibited by the $K_2SO_4$ coating effect. The $K_2SO_4$ coating was not decomposed at $800^{\circ}C$ and prevented the contact in the Li-Co precursor particles. The nano-sized $LiCoO_2$ powder had tetragonal phase and it affected the Li diffusion through the surface of particles. It means that the anode materials for hight performance battery should be satisfied not only small particle size but phase contol on the surface of particles. In this study, the powder characteristics and rate capabilities were compared with a commercial powder and the nano-sized $LiCoO_2$ powder fabricated by the mechanochemical method. And the crucial factor which affects on battery performance was also examined. 기계 화학법에 의해서 70-300nm 수준의 입도 분포를 갖는 $LiCoO_2$ 양극 분말을 제작하였다. $K_2SO_4$에 의하여 코팅 된 Li-Co 전구체는 약 $800^{\circ}C$에서 고온상 $LiCoO_2$로 결정화 되었으며, 이때 이 온도까지는 열분해 또는 서로 반응을 하지 않는 $K_2SO_4$의 영향에 의하여 분말의 입성장이 억제되어 나노 크기에 접근하는 입자를 얻을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큰 표면 에너지에 기인하여 입자의 모양이 구형에 가깝게 형성되어 졌다. 합성돤 분말은 상용화 분말과 동일한 결정특성을 보였으나 , 투과전자현미경의 회절패턴 분석결과, 층상 뿐 아니라 부분적으로 정방정의 $LiCoO_2$ 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방정은 주로 입자 표면에 존재하게 되어 Li의 확산을 용이하지 않게 하므로, 합성된 $LiCoO_2$ 분말은 그 크기가 나노에 접근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용량 및 rate 용량이 상용화 분할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뛰어난 고출력 및 고성능의 전지 제작을 위하여 분말의 크기를 미세화하는 작업은 물론 입자 표면의 결정상이 잘 조절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최근 한일 명령표현에 관한 고찰-「ていただきます」와 `-실게요`를 중심으로-

        최선희 ( Choi Sun-h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1 No.1

        This study clarifies the syntac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Teitadakimasu` and `Silgeyo` as a command expression, comparing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t also examines the conditions which necessitate `Teitadaku` and `Silgeyo` being used in the same perio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finding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eitadakimasu` and `Silgeyo` include: (a) an expression of will that has a first-person subject; (b) an expression of honorifics that lowers speakers and heightens listeners; and (c) an expression of favor that reveals behaviors to be speakers` or listeners` advantage. Since the pragmatic properties of `Teitadakimasu` contain not only an expression that indicates that speakers are beneficiary but also a nuance that unilaterally declares the contents that have already been shaped by speakers, the expression can be used in the scene of service industry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On the contrary, because the pragmatic properties of `Silgeyo` are comprised of an expression that shows that listeners are beneficiary and a nuance that asks listeners to agree with or permit the expression of will from speakers, it is possible to employ the expression in the scene of service industry, but it could be awkward and unnatural if the expression is u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While the general language manners in Japan and South Korea are to lower oneself and to heighten the others, no command expressions that reflect such language awareness have been thus far. This study comes to conclude that `Teitadakimasu` and `Silgeyo` emerge as command expressions that are intended to lower speakers and to heighten listeners to the maximum.

      • KCI등재

        담화 관련 용어에 대한 국어 교사들의 인식 및 이해 양상 연구

        최선희 ( Choi Su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연구는 교육 현장의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담화와 관련한 제반 용어들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담화론,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검토하여 담화 교육에서의 용어와 관련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주된 문제로 용어 간 혼용되고 있는 개념을 비롯하여 특정 개념에 대응하는 다양한 용어의 사용, 교과서마다 용어의 노출, 선택, 위계화의 문제 등이 표면화되었다. 또한 정확하고 효과적인 담화 교육은 교사의 올바른 내용 이해와 실천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교사가 내재해야 하는 담화 교육에 대한 지식의 근간에는 필수적으로 인지해야 할 주요 용어들이 해당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담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추출한 주요 용어를 대상으로 현장의 중·고등 국어 교사들의 인식 및 이해 양상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담화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education field on discourse related terminologie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has contemplated the issues related to terminologies in discourse education by reviewing discourse theory, education process as well as th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main style, it has expressed the concept in mixed use for terminologies, use of diverse terms responding to specific concept and issues of exposure, selection and system of terminologies for each textbook. In addition, the accurate and effective discourse education may be materialized through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orrect contents of teachers, and in particular, main terminologies to be recognized essentially are applied for the basis of the knowledge on the discourse education required for teachers. Therefore, this article surveys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the subject of main terminologies extrac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review for facilitating the discourse education for providing basic data required for the effective discourse educa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영어 문자언어 교육의 쟁점과 개선방향

        최선희 ( Choi Sun-hee ),홍선호 ( Hong Sun-ho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8 영어영문학연구 Vol.34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ssue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practices for teaching written English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he paper first reviews and analyzes the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written English instruction. It also examines other countries’ elementary level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Based on these reviews and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written language instruction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at Grade 3 simultaneously with spoken language instruction.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teaching approaches of written English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to support students’ cognitive and linguistic development and to connect with the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