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일양국 신세대의 소비문화에 관한 비교연구 -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및 PC활용도에 관한 양국 비교를 중심으로 -

        최석신(SougShin Choi),가타가미 히로시(Katagami Hiroshi),이광배(KwangBae Lee) 한국상품학회 2002 商品學硏究 Vol.- No.27

        This article is to identify consumption culture of the two country's new generations, freshmen and sophomores of the students, and finally to infer their lifestyle characteristics by analysizing five parts such as clothing, shopping habits, value, information seeking and internet advertisement. Additionally we analysized and investigat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at they use personal computers with different purposes. For example, Korean students enjoy on-line games, chatting, music appreciation and some site visiting very much than Japanese students. However there are almost little differences on e-mail appl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o make clear the potential differences we tried to apply factor analysis, t-test, F-test, χsquares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s. Among the totally extracted 23 items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18 items and no differences on 5 items. They are for example as follows, 「shopping after considerable thinking and comparison」,「early adopter」, 「impulse purchasing」, 「cellular phone is important」, 「sweet home value」. However this kind of research is far from investigating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exploratory research should be compensated by some in-depth basic researches using some cultural factors such as languages, religions, values, habits, prejudices etc.

      • KCI등재

        한일 FTA의 딜레마와 대응전략

        최석신(Choi, Soug-Shin),임영언(Yim, Young-E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09 디아스포라 연구 Vol.3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일 FTA협정체결에 따른 양국의 딜레마를 문헌적으로 규명해보고 글로벌 시대 일본의 자연인이동(Mode 4)협상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한일 FTA 협상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객관적으로 한일 FTA협정은 양국간 무역이 증가하고 규모의 경제달성과 생산성 증대를 통해 산업구조조정을 촉진시킬 것이며 제조업 분야에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 증대로 일본의 부품소재를 사용하는 국내 완성재 업체의 가격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국의 대일무역수지적자의 증가 내지 고착화에 관한 우려와 일본측의 농수산물시장 개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협상이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고 답보 상태에 있다. 한일간 자연인 이동 문제에 대하여 일본은 선진국에 대해서는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개방을 하고 있지만 후진국에 대해서는 단순기능인력의 입국을 제한하여 일정 학위 이상의 전문인력에만 개방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그러나 향후 일본은 전세계적인 글로벌 추세를 감안하여 자격취득 및 실무경험을 필요로 하는 단순기능인력이나 기능실습제도에 대해서도 일정이상의 기능평가를 거친 후에 인력개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vestigating about dilemma of both countries by Korean-Japan FTA negotiation through existing study. Also, it is that seek confrontation strategy of Korea and Japan FTA talks hereafter through case study about Japanese Mode 4 negotiation in global era. The Korea-Japan FTA pact may increase and promote industrial structuring through economies of scale and productivity enlargement trade between both countries objective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ice competitiveness consolidation of domestic completion that use Japanese parts material to efficiency enlargement of allocation of resources in manufacturing industrial company. But, it is expected that progress of negotiation is very difficult by Korea"s trade deficit increase and worries of fixed and negative stance about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opening markets of Japanese side. Japan about Mode 4 is opening professional worker about advanced country, but movement to limit entry into a country of simplicity vocational technicians power from developing country is strong. But Japan is expected that expand manpower opening gradually about simplicity vocational technicians power that takes into account worldwide global tendency and need qualification acquisition and business experience hereafter.

      • KCI등재후보

        중국투자 한국기업 자회사 현지종업원의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 연구

        이홍희(Lee, Hongji),최석신(Choi, Sougshin),한병섭(Han, Byoungsop)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기업 자회사의 중국인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이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규명된 직무 가치(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직무 특성(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조직 특성(조직 지원, 배려적 리더십, 구조 주도적 리더십) 등을 독립변수로 사용했으며, 종속변수로는 Meyer and Allen(1991)의 조직몰입 삼차원 개념(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적용했다. 중국 현지 방문을 통해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직무가치인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가 규범적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인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인 조직지원은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려적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조 주도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n empirically analyzed research paper done to Chinese employees in Korean FDI subsidiaries. We designed independent variables to compose three factors such as job values(intrinsic and extrinsic), job characteristics(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organizational support, leadership of consideration, structure leadership). We also designed dependent variables to compose three dimens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s a result, job value has some positive effects statistically. Job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to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s. Finally, organizational support such as incentive and advancemen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to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s. Even though consideration leadership have positive effects to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s respectively, structure leadershi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s.

      • KCI등재

        재한일본인의 네트워크 특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임영언(Yim, Young Eon),최석신(Choi, Seok Sh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and stress of culture adapt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apanese residents in Korea feel stresses in cultural adaptation because of the reclusive network architecture formed in their mother country, Japan. Seco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show a limit in culture adaptation from difference of social consciousness structure. Third,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re seen in political, cultural, systematic, and social networks that form stress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Japanese residents in Korea need interchang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groups with strong ties through constructing networks that ease the stress of culture adaptation. Stresses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re expected because of Japanese political, social, and legal pending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ese-Koreans.

      • KCI등재

        일계인의 모국연계와 민족정체성 지향에 관한 조사 연구

        임영언(Yim, Young Eon),최석신(Choi, Soug Sh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8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거주 일계인들 중 아이치 현에 거주하는 일계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모국연계와 민족정체성 지향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이 브라질에 대하여 친근감이 강할수록 브라질인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하고 브라질과의 관련활동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계인의 일본전통의식주호감도, 주거생활만족도, 일본사회적응, 모국연계와 정체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상관분석결과, 일본의 전통의식주 문화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일본사회에 대한 적응도가 높을수록 일계인 정체성 지향이 높았다. 셋째, 회귀분석결과, 모국브라질과의 활동에 적극적이고 브라질에 대한 친근감이 높을수록 브라질인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는 일계인의 정체성 지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은 사회적 차별과 문화적 요소로 나타났다. 즉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할수록 일본보다는 모국 브라질에 대한 친근감이 강하고 브라질과의 활동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일계인의 정체성은 불변의 고정된 것이라기보다는 모국과의 연계를 통한 사회적 상황과 반작용에 따라 지향성이 변화되기도 하고 구축되기도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nks between Brazil (the mother country) and the ethnic identity of the Nikkeij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analysis of the mother country link and ethnic identity as a Brazilian were found to be strong, and the Nikkeijin were found to be active in joint activities with Brazil. Second, ethnic identity within the Nikkeijin appeared to have awareness of Japanese traditions, Japanese social adjustment, and a mother country link showing that the Nikkeijin have a high desirability to have Japanese traditional awareness and their degree of adaptation to Japanese society was high. Third, because it was active, the mother country link and ethnic identity and activity with Brazil and the intimacy for Brazil were high and their ethnic identity as Brazilians was found to be strong. Moreover, the Nikkeijin have strong ethnic identity and a high degree of adaptation. In conclusion, the ethnic identity of the Nikkeijin are not fixed but rather change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s through their link to their mother country.

      • KCI등재후보

        일계인(日系人)의 민족차별 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임영언 ( Yim Young Eon ),최석신 ( Soug Shin Cho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귀환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형을 고찰하는데 있다. 19세기중반 하와이로 떠난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기 남미브라질로 향했다. 당시 일본인 이주자들은 농촌지역 출신의 데카세기(돈벌이)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한지 1세기가 지난 20세기 말, 일본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1990년 이후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일계인 노동자약 30만 명이 귀환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계기로 약10만 명 가량이 브라질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계인들은 민족정체성의 재편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재편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계인 노동자의 브라질 귀환에 대하여 리먼쇼크의 경제적 위기로 인한 실업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민족차별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재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도일 전 브라질에서는 모국신화에 따른 일본인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도일 후 일본에서는 일본사회의 민족차별경험으로 일계인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 정체성’, ‘일계인 정체성’, ‘제3의 혼합형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은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의 인식이 강할수록 일계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인식도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에서 일본인 정체성이 강하지만 점차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경험으로 일계인으로서의 정체성, 혹은 혼합형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에 따른 사회적 적응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정부가 일계인의 일본정착을 위한 일관된 이민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return Nikkei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typ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people departed to Hawai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y headed to South American Brazil. In Dekasegi most of lowlanders and labor workers were Japanese emigrants from rural area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fter 100 years of migration there were changes with industrial structure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of Japanese. From second half of 1990 approximately 300,000 of Nikkeijin which lived in Brazil returned back to Japan.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2008 they had opportunity to comeback. Approximately 100,000 people returned back to Brazil. This study is examining closely cause of these Nikke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s Japanese``s identity in Brazil and intended Nikkeijin``s identity to distinction experience of Japanese society in Japan.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ed Japanese identity , Nikkeijin identity, Mixed type identity etc.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Nikkeijin is encountering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was expose that nikkeijin``s identity is stro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ikkeijin means failure of social acculturation by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Also, it is disproving that Japanese government is not establishing immigration policy for Nikkejin``s Japanese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