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창의교육에서 문화교육으로: 영국 신노동당 및 보수·자민당 연합정부 간 문화예술교육 정책변동에 관한 비판적 고찰
최보연 한국문화경제학회 2015 문화경제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영국 신노동당 집권기와 보수·자민당 연합정부 집권기에 이르기까지 지난 18여 년간의 정부주도 예술교육 정책지형의 변동을 각 정부가 지향했던 정치담론과의 연계선상에서 조망하고, 정책변화의 함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정책지형의 변동과정을 보다 면밀히 살피기 위한 장치로서 각 집권기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정책프로젝트인 Creative Partnerships와 Music Education Hubs를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연구결과, 영국 예술교육관련 정책지형 변동에 있어 핵심담론이 ‘Creative Learning(창의교육)’에서 ‘Cultural Education(문화교육)’으로 변화했으며, 이러한 정책변동이 단순히 경제적 위기 상황 및 정권교체의 결과라기보다는, 각 정부의 국정철학인 “제3의길(The Third Way)”과 “빅 소사이어티(Big Society)” 이념을 긴밀히 반영하고, 더불어 문화정책영역 및 예술계 내부의 다양한 역학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점에서 ‘창의교육’ 및 ‘문화교육’이라는 정책담론은 기존 교육학 및 예술교육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를 통해 숙성된 개념이라기보다는, 각 정부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충실히 반영하는 가운데 형성된 구조적 산물이자 ‘정책적 수사(policy rhetoric)’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은 각 정부가 추진한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합리화하는 이데올로기적 담론기제로서 기능해왔음을 지적한다. 현 연합정부 집권 하에서 “문화교육”담론 하에 추진되는 일련의 예술교육 정책이 수월성 중심 및 개인의 자발적 선택에 의거한 교양교육이란 측면을 강조하고, 문화예술 및 예술교육과 창조산업 간의 선 순환적 연계성보다는 분리적인 정책인식을 반영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특징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인력양성전략이란 관점에서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정당 별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변동하는 예술교육의 불완전한 위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예술교육의 다양한 가치와 목표에 대한 논의가 시급함을 강조한다.
최보연,김세훈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concept of creativity is recognized and utilized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policy context, by way of analysing how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orresembled with the recent scholarly discussions of creativity. To this end, thestudy employs a case analysis of two specific government-initiated arts andcultural education policy projects: ‘the Arts-Flower Seed School Project’ and ‘theKumdarak Saturday Cultural School Project’. It examines how creativity isconceptualized in each project’s suggested policy goals as well as the creativityindex applied for the policy evaluation of the respective project’s effectiveness;and identify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s a policy concept inthe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Analyses provideevidence that whilst creativity is rhetorically assumed as an instrumentalresour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there is a lack ofevidence, as well as understanding, of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creativitycan become transformed into collective creativity that brings about, namely,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The study also points out thatthere is an innate tension between creativity of the arts and cultural field andcreativity as a policy concept. It argues for a crucial need of the currentdiscussions of creativity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to be rigorously re-examine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 창의성 개념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기존 학문적 논의에서 다뤄진 창의성 개념과 어떠한 유사성 혹은 차별성을 갖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는 창의성 인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제고를 목표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 하에 진행되어온「예술꽃씨앗학교」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각 사업이 제시하는 정책목표 및 해당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활용된 창의성 평가지표를 살펴봄으로써, 정책 논의 및 실행에서 드러나는 창의성 인식의 특성을 분석·제시한다.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반영된 창의성 인식은 ‘개인의 창의성이 집합적 창의성으로 발현될뿐 아니라 경제 및 사회발전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암묵적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사실상 개인의 특질로서의 창의성 개념에 천착하고 있으며, 개인의 창의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회발전 및 경제발전의 동력(즉, 집합적 창의성)으로 작동할 수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근거제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논의가 문화예술의 일반적 창의성 논의를 단순히 차용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전개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문화예술 분야 장애인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념적 고찰 : 접근성 개념 및 관련 용어 분석을 중심으로
최보연,정종은 한국교육연극학회 2024 교육연극학 Vol.16 No.2
최근 문화예술 분야에서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를 지지하는 ‘접근성’이라는 용어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예술현장에서 그간 장애인 접근성을 대변하기 위해 활용되어 온 배리어프리, 유 니버설 디자인, 인클루시브 디자인 같은 관련 용어들이 여전히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접근성’ 에 대한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적·학술적 정의나 개념 설정은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일종의 암묵적 합의는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문화체육관광부 내에 ‘장애인문화예술과’가 설 립(2023.12)되는 등 본격적인 장애예술 정책 지원 확대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는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 ‘장애인 접근성’과 관련된 그동안의 논의를 모두 세 가 지 층위에서 접근하여 개념적 고찰을 시도한다. 먼저 법·제도적 차원과 문화정책 담론 차원에서의 ‘접 근성’ 논의를 짚어보고, 마지막으로 장애인 접근성과 연계 하에 문화예술계에서 사용되는 배리어프리, 유니버설 디자인, 인클루시브 디자인 등 세 개의 관련 용어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접근성’ 개념이 장애 예술 정책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해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접 근성 개념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방향성을 문화정책 관점에서 제언하고, 장애인 접 근성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prominence of the term ‘acces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s a means to advocate for the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terms including barrier-free, universal design, and inclusive design, which also represent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cultural field. This terminological inconsistency highlights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policy discussion, as well as an academic conceptualization of ‘access’. Despite a certain level of implicit consens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or clarification, especially in light of recent significant policy developments for disability ar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e and Arts Division for Disability Arts’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nd Sports in Korea(December 2023).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discourse on ‘disability access’ within the cultural field from three distinct levels. Firstly, it examines the historic discussions of access 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s.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the concept of acces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olicy discourse. Thirdly, it explores how the concept of ‘access’ should be understood and applied in disability arts policy-making by analyzing related terms, such as barrier-free, universal design, and inclusive design. Through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key directions for interpreting the concept of access from a cultural policy perspective, theryby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for the discourse on access in the arts.
전문성 중심 문화예술분야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보연,김세훈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7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publicly-supported cultur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in the Korean arts and cultural sector. Those included a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pecialist’, ‘Local Culture and Arts Specialist’, as provided by law(respectively,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an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s well as ‘Cultural Welfare Specialist’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pecialist’ established under the policy demand. This reflects not only the increasing tendency that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as become gradually segmented by profession; but also the heightened expectation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and specialized skills of arts and cultural workforce. Comparatively,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what would serve as a criteria to evaluate the expertise with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ow each program understands or differently specifies the expertise in the respective areas of arts education, cultural welfare,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ystematic analyses have hardly been tried to examine how each program can enhance the expertise in its respective areas. Given that these programs are initiated by the government so a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workforce at the professional level, it is essential to promote more in-depth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expertise criteria for those work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explore what specific professional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hem and exactly how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by workforce training programs. Since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not only diverse but also highly departmentalized,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amine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workforce in the sector as a whole. Therefore, drawing on the case analysis of “Next Professional Training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managed by Korean Arts Management Service(KAM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It also offer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systemiz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workforce training programs. 최근 공공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양성과정은 문화예술교육사나 지역문화전문인력과 같이문화예술교육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등 근거법령에 기초하여 운영되는 경우도 있고, 문화복지 전문인력이나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과 같이 행정적, 정책적 필요성에 기반을 두고 추진되는 경우도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의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이와 같은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은 그만큼 문화예술분야가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는 측면을 반영함과 동시에 문화예술분야 종사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 또한증가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다루고 있는 전문성의 내용이나 기준, 또한 전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 양성과정에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들이 중점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공공분야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예술분야는 그 성격과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문화예술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성의 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중에서도 국제문화교류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을전문성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하여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보연,권영국 한국소비자안전학회 2017 한국소비자안전학회지 Vol.7 No.1
The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474 workers in order to ascertain the effect of day-to-day construction field worker's safety climat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afety awareness on the exposure to musculoskeletal disorder. First, a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be a male, age of above 51 and below 60 years old, married, high school graduate, and smoker and drinker. Second, it is found that in exposur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It is found that 57.8% of workers have experienced accidents in the past, and their injury position i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shoulder, arm/elbow, and 31.4% are still under medical care or doctor's observation. Third, the study analyzed that the total NIOSH standard based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subjective symptom patients are 24.1%, where NIOSH standard 1 based weak pain complainers are 8.4%, NIOSH standard 2 based mid-level pain complainers are 7.2%, and NIOSH standard 3 based acute and extremely acutre pain complainers are 8.4%. Fourth, safety climate has been categorized and designated by each factor: factor 1 is 'safety climate for work', factor 2 is 'safety motive at work', factor 3 is 'safety attitude at work', factor 4 is 'safety behavior at work', factor 5 is 'safety procedure at work', and factor 6 is 'safety culture satisfaction'. The environmental satifaction is also designated as following factors: factor 1 is 'gener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factor 2 is 'physical stress', factor 3 is 'phyical work environment', factor 4 is 'social work environment', and factor 5 is 'mental stress'. Fifth, the total average of safety climate is 3.13 point with the highest point earned being safety culture satisfaction of factor 6 with 3.16 point, the total average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is 2.71 point with the highest point earned being general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of factor 1 with 2.76, and the total average of safety awareness is scored as 3.17 point. Sixth, the analysis highlight that non-patients of NIOSH standard based musculoskeletal disorder have higher satisfaction in all safety climate, environmental satisfaction, safety awareness when compare to that of NIOSH standard based musculoskeletal disorder patients. Seventh, the 'safety climate of work'(factor 1) of safety culture climate factor affects 1.384 times more on the non-patient than to the patients, and 'general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factor 1)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affects 2.320 times more on the non-patient than to the patients. The study highlights that the safety climate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of the day-to-day construction workers are verified to be much higher for non musculoskeletal disorder patients than tha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patients, and that patients' awareness is low on these factors.
고독해결을 위한 ‘예술기반 사회적 처방’ 정책 확산과 문화정책적 함의: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최보연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1
In 2018, the British government declared a national agenda for a cross-governmental strategy to tackle loneliness as a form of social isolation. From the point of cultural policy scholarship, it comes to a particular attention in that they professed the “arts-based social prescribing” as a key initiative. The arts-based social prescription implies a non-clinical way of connecting patients to a range of arts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f why and how this policy initiative has emerged in Britain based on scholarly reflections on both rationales and claims of the British government. I argue that despite its positive effects on the individual level, this initiative disguises some serious underlying contradictions. It explores the patients in terms of resources, tool, and objective of the social policy. But more fundamentally, this strategy might trigger a therapeutic turn of cultural policy discourses for arts funding while functioning as an ideological gimmick to rationalize the current conservative government’s neo-liberalistic intention behind the health and social care policy. As such, it suggests there should be a more serious and balanced approach to its domestic application into the Korean context. 2018년 영국 정부는 범부처 차원의 고독전략(loneliness strategy)을 공식발표했다. 문화정책 관점에서 이 발표가 주목되는 것은 ‘고독해결’이라는 국정 의제 하에 ‘예술기반 사회적 처방’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는 점이다. “예술기반 사회적 처방”은 우울증 및 경·중증 정신질환 환자에게 예술을 처방하는 것을 말한다. 영국 정부는 이 정책이 고독 문제 해결을 넘어, 예술접근성에서의 고질적 불평등 해소와 복지비용 절감 등 상호 호혜적 정책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강조한다. 그러나 본고는 이 정책이 예술분야 공적 지원 확대나 예술의 가치에 대한 공적담론 심화를 견인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예술기반 사회적 처방’ 정책 부상의 배경과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추동하는 근거 및 주장에 대한 문화정책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정책자원, 수단, 목표 측면에서 살펴보고, 예술 개념의 모호성 및 치료와 치유 간 개념적 혼란, 수단적 차원에서 전문성 확보의 불확실성, 특정대상 목적지원이 예술접근성의 사회구조적 불평등 해소에 기여한다는 논리의 비약 가능성 등 정책적 모순이 내포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나 문화정책관점에서 이 정책의 보다 근원적인 문제점은 문화정책 담론의 치유적 전회를 야기하고, 현 영국정부가 추동하는 보건의료 정책의 신자유주의성을 이데올로기 차원에서 합리화하는 문화적 기제로서 오용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데 있음을 지적한다. 이에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상당히 신중하고 균형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