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관련규정 개선방안

        최병남,김건수,박소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4

        Regulations on map publication of the management act and on framework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he infrastructure act could potentially caus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geospatial data. This is due to overlapping scope and vagu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cts. This research suggests first of all redefining scope of these acts with geospatial data life cycle (i.e., acquisition/creation - development/application - sharing/distribution) to address abovementioned issues. The management act is limited on acquiring and producing locational and attribute data of a real-world object. The infrastructure act is then focused on building environment for enabling geospatial dat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dditionally, scope of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is suggested as provision and distribution of geospatial data to private sector. All three acts should also address seamless implementation of each scope with one another within the cycle. Second, development of national geospatial data (NGD), which is commonly used by various users, is suggested to be reflected on the management act to resolve th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map publications. This should include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the NGD, and its compliance. In particular, current regulation of map publication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placed with automatic prod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based on the NGD.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suggests defining components of framework data under the infrastructure act as geospatial data that are used as background, reference, and bas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regulations for its acquisition and management.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framework data which would be designed to be interoperable with those of NGD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flected on the infrastructure act.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은 자료구축의 중복, 비효율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두 법 조항의 규정대상범위가 중첩되고, 관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법 규정의 대상범위를 다음과 같이 자료 생애주기(취득/생성-구축/활용-공유/유통) 기반으로 재정립할 것을 제시한다. 관리법의 대상범위를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객체의 위치와 속성 자료(공간자료)를 취득하거나 설정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기본법의 대상범위를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자료의 구축 및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활동영역으로 한다. 진흥법의 대상범위를 공간자료를 이용한 민간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지원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생애주기 전 과정의 끊김 없는 상호연계를 각 법에 규정한다. 둘째, 지도 등의 간행 규정에 의한 중복, 비효율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공통 사용하는 국토기본정보 구축을 관리법에 규정한다. 이와 연계하여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와 준수 규정도 함께 반영한다. 관리법에 국토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고객맞춤 자료 자동생산 및 유지관리를 규정하고, 지도 등의 간행 규정을 대체한다. 셋째,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개선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떤 (공간)자료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바탕, 기준, 기초 자료 역할을 하는 공간자료를 기본공간정보 구성요소로 기본법에 정의한다. 이와 연계하여 기본공간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 및 준수 규정을 기본법에 반영하되, 이것들을 관리법에 규정한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과 상호 연계하여 도출한다.

      • 토지관리정보체계 개발전략과 구현사례

        최병남,김대종,홍성학 한국공간정보학회 200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0 No.1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은 1997년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998년에 대구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2001년 현재가지 12개 지역에서 구축사업을 완료하고 실제 업무에 활용하거나 시험운영을 하고 있으며 88개 지역에서 수행 중에 있다. 향후 2004년까지 전축 16개 광역시도와 232개 시 군·구에 토지관리정보체계를 설치 완료할 계획이며, 아울러 토지관리정보체계를 유지 관리하는 토지정보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토지관리행정업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정보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아나로그 환경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디지털 기술환경에 적합하도록 전환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는 간단한 일이 아니며, 특히 아나로그 환경 속에 있는 주체를 기본적으로 디지털 세계로 끌어들이는 것이 가장 어렵고 중요하다 따라서 아나로그 토지행정을 디지털 기술환경으로 어떻게 합리적으로 전환시키느냐가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에서 앞으로 추진해야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master plan for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was established in 1997 and demonstra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Nam-gu, Daegu Metropolis in 1998. As of the end of 2001, 12 project areas have completed installing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are now utilizing it in operations or in trial operation and 88 areas are still under construction. Sixteen metropolises and provinces and 232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plan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y 2004 and additionally Install a land information center to manage and maintain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s introduced as on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in the operations of land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t inevitably accompanies a radical change of working environment, from analogue to digital. It is obviously not a simple job and largely depends on how to entice the officials working in analogue settings into a digitalized world.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success of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project depends on how to rationally adapt the analogue land administrations to a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공간정보서비스 전략 - 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

        최병남 한국국토정보공사 2008 지적과 국토정보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strategies that can make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as a goods which is efficiently producted and traded between various suppliers and demanders in geospatial information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links value chain network with business model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use this as the research framework.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created by combining spatial data with intellectual and technical service in value chain network. Therefore, spatial data should flow seamless among each other's value chain for ensured chain efficiency. So, it is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value chain network which i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geospatial information market in order to do something related to geospatial information market. It can be summarized into two strategies to make and trade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market efficiently. Firstly, standardized data hub should be built to share source of spatial data. It is very important to set up data hub as a starting point of geospatial information value chain network. Secondly, to operate geospatial value chain network seamlessly, interoperability among each other's value chain should be obtained. The framework based on open standard platform should be set up to manage all geospatial information value chain network. It is required to design a business model to make demand in geospati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strategies for value creation. 본 연구는 공간정보서비스가 공간정보시장에서 다양한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상품으로써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거래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시장의 가치사슬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모델 유형을 결합하여 연구의 틀로 삼는다. 공간정보서비스는 가치사슬 네트워크 속에서 공간자료와 인적 기술적 서비스의 결합으로 창출된다. 따라서 공간자료가 각 단계(가치사슬)로 끊김 없이 흘러 연계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공간정보시장에 대해 무엇인가를 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시장의 구조적인 특성인 가치사슬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공간정보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생산돼 공간정보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공간자료 공유의 원천으로 표준형태의 데이터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의 시작점으로 매우 중요하다. 둘째, 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가 끊김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각 부문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 전체를 어우르는 개방형 표준 플랫폼 기반의 프레임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가치창출 중심의 전략과 함께 수요를 창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최병남,임은선,김걸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5 No.4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는 지리정보체계 기반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의 국토정책 및 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일종의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또는 계획지원체계로 정책결정가들의 공간의사결정을 지원한다.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는 1990년대 중반부터 구축된 건축행정정보시스템과 토지정보망에서 획득한 개별정보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체계 기반의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나 계획지원체계의 종합적인 기본적 구성요소를 고려함으로써 국토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이론적 틀을 설정하고 구축전략을 제시하는데있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의 기본개념,구축전략, 기반환 경확보전략과 추진전략을 다룬다.

      • KCI등재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의 영향요인과 성과요인의 상관관계 분석

        최병남,진희채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6

        This study aims to suggest key strategy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of LIS (Land Information System). Survey questionnaires on casual and outcome factors for LIS establishment are distributed to the LIS users and developers. Analysis results show that user particip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siness efficiency, user satisfaction, data sharing and services. Government support and developer technical skill are appeared to be the two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the business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of LI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I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users’ role and their proactive participation, visionary guide and support by government, cooperative relationship based government support and user participation, sufficient technology for land informatiz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systematic organization of situational factors of South Korea’s LIS towards its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also be utilized for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firms, in particular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land information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토지정보시스템의 사용자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의 영향요인과 성과요인을 설문조사하고,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용자 참여는 업무 효율성, 사용자 만족성, 데이터 공유 및 서비스 등 모든 성과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과 개발자 기술력은 토지정보시스템의 업무 효율성과 사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토지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전략으로 사용자의 역할정립과 적극적 참여, 정부의 선도적 역할과 지원, 협력관계 기반의 정부 지원과 사용자 참여, 토지정보화에 필요 충분한 기술력 확보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의 상황요인이 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국내 공간정보기업의 글로벌 경쟁역량을 강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많은 개발도상국의 토지정보 구축사업에 국내기업이 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사회과학연구에서 GIS 활용 동기와 만족의 인과분석

        최병남,한선희,진희채,Choe, Byong Nam,Han, Seon Hee,Jin, Heui Ch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만약에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이 GIS를 활용하고 만족하는 이유를 안다면, 이를 통해 GIS 활용을 확산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이 GIS를 활용하는 동기요인은 무엇이고, GIS를 활용해 만족을 느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GIS의 강점과 활용요인 및 만족도를 사회과학분야 국책연구원과 지방연구원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이 GIS를 활용하는 동기요인은 효율성이며, 활용결과에 대한 만족요인은 사용성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GIS 활용의 동기요인과 만족요인은 전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회과학분야 연구에서 GIS 활용 확산을 저해할 수 있다. GIS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GIS 활용과 만족요인을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It is possible to design a strategy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GIS by identifying why social science researchers use GIS. This study analyses motivating factors for the researchers to utilize GIS and their satisfying factors towards the result. It is based on survey results which was answered by social science researchers at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al research institutes in South Korea in the perspective of merits of applying GIS, level of GIS usability and experienced effectiveness of applying GIS.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motivating factors to researchers applying GIS are correlated with efficiency in their research and satisfying factors are correlated to the usability. Then, we induced a fact that motivative factors for applying GIS is not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at. It may be a reason which researchers use GIS less applying in social science field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motivating and satisfying factors to further expand GIS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