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염영란 ( Young Ran Yeom ),최금봉 ( Keum Bong Choi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찾아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였다.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및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중재전 29.38점에서 사후에 24.97점으로 4.41점 감소하여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을 하는 동안 스트레스 완화 중재의 목적으로 명상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해서 본 연구와 같은 스트레스 지각 도구를 사용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중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20점 감소한 결과를 보인 국외의 선행연구와 일치한다(Ratanasiripong et al., 2012). 또한 Yazdani 등(2010)의 연구에서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8세션으로 나누어 스트레스 관리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대조군에 비해 .47점 감소함을 보고하였다. 더불어 우울과 불안도 감소하여 스트레스 정보제공, 근육이완, 호흡명상 및 사고전환 등이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정신과 교과목에서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명상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제공이 이루어진다면 가치가 있는 중요한 역할일 것이라고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 전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50점 만점에 실험군에서 29.38점, 대조군에서 30.17점으로 나타나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이 중간 이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군 모두 스트레스가 높은 부분을 나타낸 문항은 자신이 해야 되는 일에 대한 대처(68.2%)나 일의 진행에 대해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63.5%)고 느끼는 부분인데 이는 간호대학생들은 타대학생들에 비해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은 교과과정에서 이론적인 학습이나 교내실습은 물론 임상실습을 통한 과정 속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해내야 하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인생의 주기별 특성상 아직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기에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음챙김 명상과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우울 정도는 중재전 16.41점에서 사후에 12.41점으로 4.00점 감소하여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상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의 우울점수가 1.29점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인 Yazdani 등(2010)의 연구와 유사하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불교식 사심사관의 명상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후에 실험군에서 5.21점의 우울감소를 보여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보고한 연구(Choi, 2001)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스트레스 요인 관련 문헌고찰 연구(Del Prato et al., 2011)에서도 간호교육가들에 의해 MBSR 같은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고하여 미래의 간호전문직을 담당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사회화를 지지하는데 전환이 되는 간호교육을 제안하였다. 우울의 대부분은 스트레스 이후에 남아있는 무력감, 좌절, 죄의식, 분노 등이 자신에게 내재화됨으로써 발생되므로 그 감정에 바로 집중하여 바라보아 의미생성체계 자체를 해체시키면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명상요법이 일상화된다면 간호대학생뿐 아니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이들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본 연구에서 명상프로그램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사후조사에서 미약하나마 스트레스 지각(0.20)과 우울 감소(0.26)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효과일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자료조사를 진행하는 과정동안에 대상자가 사전조사 경험 후 더 설문지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총 점수 변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제공한 실험군보다는 스트레스 지각이나 우울 점수 차이가 커 두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간호학이 추구하는 인간에 대한 전인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간호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 대처나 우울예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은 확실히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중재전 72.38점에서 사후에 75.90점으로 3.52점 증가하여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이치, 필라테스, 자이로키네시스와 같은 정적인 동작 내용의 프로그램을 15주간 수업에 적용하여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보고한 연구(Caldwell, Harrison, Adams, Quin, & Greeson, 2011)와 유사한 결과이다. 그러나 부다의 호흡과 명상, 직관법의 구성으로 간호대학생에게 명상요법을 시행한 후 자기효능감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결과(Kim & Lee, 2000)와 다른데, 그 이유로 실험군 대상자의 개별적 성격에 따른 참여태도에 따라 자기효능감 점수가 차이가 있으므로 중재 전 성격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Choi와 Lee (2012)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개인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크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현실적인 전략에 대한 인식전환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본 연구에서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군의 자기효능감은 중재 전 중간정도에서 중재 후 향상이 되어 상대적으로 대조군이 감소한 것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점수 향상 폭은 크지 않았다. 그 이유로 이미 성인이 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8주라는 단기간에 변화를 예측하고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본 연구에서 선택해서 측정한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가 .67로 다소 낮은 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된다. Del Prato 등(2011)은 간호교육가들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요인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간호전문직의 사회화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전략이 간호교육가들에 의해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수행될 때 간호전문직의 사회화가 원활하게 정착되어 간호실무나 학교현장의 위상은 높아질 것이다.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간호대학생 대상 맞춤식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향후에 더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세심한 계획으로 간호대학생이 안고 있는 다양한 특수성을 고려해서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중재가 횡적·종적 연구로 이루어진다면 최근에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교육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서 궁극적으로 간호전문직의 질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불안이나 우울 등에 초점을 맞추어 그 효과를 보고자 구성해왔던 방식에서 더 진전하여 간호대학생이 자신을 성찰하는 훈련을 통해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는데 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화된 국외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에게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한 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본 첫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본 연구가 간호대학생에게 그들에게 맞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의의는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은 있다. 첫째, 중재연구 진행 상 대상자 수를 한정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므로 향후 그 수를 확대하고 효과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가 다소 낮아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도구의 사용을 시도해 볼 것임을 권장한다. 셋째, 실험군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하는데 있어 프로그램이 더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문가의 수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제공에 한정된 시간으로 구성하여 아쉬움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 프로그램 계획시 이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Due to the academic demands from a theory and practice-based educational program, nursing students often experience psychological burd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on nursing studen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29) that participated in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0).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120 minutes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The data were collected prior and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he t-test. Resul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t=-10.33, p<.001), depression (t=-2.17, p=.035), and self-efficacy (t=2.57, p=.013)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renc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a supportive evid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s a behavioral intervention to reduce stress, depression and increase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안전의식, 윤리의식 및 안전활동에 대한 연구

        최금봉(Choi, Keum-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에 대한 안전의식, 윤리의식 및 안전활동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G시 간호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환자에 대한 안전의식, 윤리의식 및 안전활동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9월 3일부터 14일 까지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안전의식 수준은 평균 3.64점, 간호학생이 지각한 환자, 전문직 업무, 협동자에 대한 윤리의식은 평균 3.01점, 간호학생의 안전활동은 4.43점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과 윤리의식의 경우 r=.325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 안전의식과 안전활동의 경우 r=.397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 윤리의식과 안전활동의 경우 r=.293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의식이 높으면 안전활동도 높아지고, 윤리의식이 높으면 안전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간호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제적이고 단계적인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안전교육의 체계적 적용을 위한 사회지지망이 잘 형성된다면 보다 안전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ethical awareness, and safety activit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nd impact between them.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3 nursing students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Sep 3 to 14,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was 3.64 points, the average of ethical awareness toward patients, professional work and partner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was 3.01 points, and nursing students safety activities was 4.43 poi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ase of safety awareness and ethics awareness, r=.32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ase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activities, r=.397,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thics awareness and safety activities as r=.293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afety activities increased when safety awareness increased, and safety activities increased when ethical awareness increased. Therefore, systematic convergence education is needed to equip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apabilities. To this end, a safer environment will be created if the social support network for systematic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is well formed.

      • KCI등재

        호흡명상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최금봉(Choi, Keum-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에게 호흡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호흡명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전후 유사실험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두 개 고등학 교 2학년 학생들로 호흡명상 중재를 받은 고등학생을 실험군으로, 중재를 받지 않은 학생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호흡명상 중재 직전과 후에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연구동의서를 서면으로 받고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2-test, Fisher s exact probability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흡명상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t=-2.507, p=.004), 불안(t=-1.209, p=.011) 점수가 감소되었으며, 자아효능감(t=2.356, p=.016) 점수는 증가되어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호흡명상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하고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를 중심으로 호흡명상 중재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기를 제안하며 교육현장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programs on high school students stress, anxiety and self-efficacy.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hige school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33) that participated in the breathing medit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4).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utilized x2-test, fisher s exact probability &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 of stress(t=-2.507, p=.004), anxiety(t=-1.209, p=.011)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 of self-efficacy(t=2.356, p=.016) than the control group.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breathing meditation program was very useful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popularity of school-based breathing meditation programs may continue to grow.

      • KCI등재

        노인간호 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최금봉(Choi, Keum Bo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8 No.3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lderly 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 on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toward older adul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geriatric hospital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29)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0). The data were collected prior to and 6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utilized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about the elderly ca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o provide better nursing care to the elderly, nurses need to be able to practically apply the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from the elder-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s in hands-on situations. To achieve this, nurses should work to change their personal attitudes about the elderly. Also,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elderly nursing care, administrative support of institutions,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을 적용한 지체장애인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최금봉(Choi Keum Bong),한석영(Han Seok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K광역시에 소재한 시설 및 재가 장애인 12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Scheffe test로 사후검증하였고,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점수는 2.44점(±.58)이었고, 건강증진행위와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건강증진행위와 이전 건강관련행위(r=.512, p=.000), 자아존중감(r=.578, p=.000), 지각된 유익성(r=.261, p=.004), 지각된 자기효능감(r=.324, p=.000), 행위관련 감정(r=.384, p=.000), 사회적 지지(r=.537, p=.000), 행동계획수립(r=.472,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자아존중감으로 이는 전체 변이의 36%를 설명하였고, 이전 건강관련행위, 사회적지지, 행동계획수립와 함께 전체 변이의 51.1%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는 자아존중감을 고려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to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ealth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23 participant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in at G metropolitan city. In data analysis, SPSS/ WIN 19.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ed of 6 subscales was 2.44. The highest mean score was 2.69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lowest one was 1.91 in‘Physical activity’. The HPBs were positively associated to‘prior related behavior’(r=.512, p=.000),‘self-esteem’(r=.578, p=.000),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r=.261, p=.004), ‘perceived self-efficacy’(r=.324, p=.000), ‘activity-related affect’(r=.384, p=.000), ‘social support’(r=.537, p=.000),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r=.472, p=.000).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and HPB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self-esteem’. It was explained 36%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Self-esteem’, ‘prior related behavior’, ‘social support ,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explained 5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activity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nurses may enhance and plan mutually interactive HPBs with physically disabled person.

      • KCI등재

        구조화된 동영상 매체 활용 교육이 미래 간호전문직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최금봉(Keum-Bong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2

        시청각 기자재를 통한 동영상학습 교수학습 방법은 학생들에게 다른 학습방법보다 학습에 대한 흥미동기를 유발하여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교육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동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미래 간호전문직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전후 유사실험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두 개 간호대학 2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동영상 매체 활용 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을 실험군으로, 동영상 매체 활용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중재 직전과 후에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동영상 자료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교육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t=2.694, p=.027), 스트레스(t=-4.026, p=.047)및 수행자신감(t=1.825,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영상 매체 활용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은 미래 간호전문직인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 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 간호전문직을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간호학생의 심리적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of using structured video-audio media on self-efficacy, stress,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n=29)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n=30).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e analyses utilized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s in self-efficacy(t=2.694, p=.027) and performance confidence(t=1.825, p=.031)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s in stress(t=-4.026, p=.031) than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 of using structured video-audio media on self-efficacy, stress,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o prepare successful professionals.

      • KCI등재

        미래 원조전문직의 노인 건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최금봉(Keum Bong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압축적 고령화 사회에 처한 한국의 현실상 노인들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높여 긍극적으로 건강한 복지사회 구현을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은 노인대상 건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노인간호학을 수강하지 않은 미래 원조전문직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C대학과 K대학에서 노인간호학을 수강하지 않은 간호학생으로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3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4주의 교육중재 전과 후에 자가기입식 설문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와 t–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중재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다 나은 노인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학생은 노인 건강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지식을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되며 이를 성취하기 위해 건강관련 원조전문직 간호학생은 먼저 노인에 대한 개인적인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야 된다. 또한 근거중심 노인간호 프로토콜이 표준화되고 확립되도록 간호관련 학교나 임상기관에서의 지지가 제공되어져야 되며 이러한 보건의료체제가 사회에서 확실히 정착되도록 각 분야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meet the health care service demands of Korean older adults in this current pressured aging society in order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realize a healthy welfare societ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an older adults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 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ospective helping professionals toward older adult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nursing major college students recruited from C and K colleges in G city in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28)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0). The data were collected prior to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utilized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 test. After the intervention, knowledge about the elderl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o provide better nursing care to the elderly, nurses need to be able to practically apply the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from the elder-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s in hands-on situations.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securely establishing health care system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social welfare. To achieve this, nurses should work to change their personal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Also, nursing-relevant schools and clinic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support through which evidence-based older adults nursing care practice protocols be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 KCI등재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비판적 사고성향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염영란(Yeom, Young-Ran),최금봉(Choi, Keum-Bo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re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clinical str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in nursing skills of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33)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2).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utilized x<SUP>2</SUP>-test & t–test. Results: After the re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senior nursing students had less clinical stress (t=-2.089, p=.041) and more self-confidence (t=1.008, p=.318) in nursing skills. However, it had no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1.008, p=.318). Conclusion: Re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s important to the nursing profession. Also, nurses who are self-confident in their nursing skills are less stressed about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work due to the re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erefore, it is vital for nursing colleges to reeducat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to their students before graduation.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다중약물 사용 실태, 약물지식, 약물오남용 행위 및 약물이행도

        위성욱(Seoung-Uk Wie),최금봉(Keum-Bo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노인의 다중약물 사용 실태, 약물지식, 약물오남용 행위 및 약물이행도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약물이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G시 소재 지역사회 노인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약물지식, 약물오남용 행위 및 약물이행도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9일부터 30일 까지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 및 건강특성 종류에 따른 약물지식, 약물오남용 행위, 약물이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약물이행도에 유의한 상관관계 변인은 건강정도, 만성질환이었으며, 건강 r=.191의 경우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만성질환 r=-.307로 약물사용 안하는 경우 약물이행도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약물이행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건강특성에서 처방-비처방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234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안함의 경우에는 =-.323으로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약물지식의 경우에는 약물이행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안전한 약물사용에 대한 교육 제공은 지역사회에서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노인의 다중약물 사용 관련 올바른 지식 전달과 건강관리의 체계적인 교육 및 사회 지지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ypharmacy status, drug knowledge, drug misuse and drug adherence level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30 elderly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Oct 19 to 30,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ug knowledge, drug misuse behavior, and drug adherence according to general and health characteristics. Significant correlation variables for drug adherence in the elderly were health and chronic disease. In the case of health r = .19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 r = -.307, drug adherence and negative effects were observed. showed a correlation. In terms of the effect on drug adherence, it can be seen that in health characteristics, when prescription and non-prescription are used together, 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s =.234, and in the case of not using it, it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as =-.323. However, in the case of drug knowledg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drug adherence. Conclusions Education on safe polypharmacy use should be done first in the communit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 social network to achieve proper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health management related to polypharmacy use by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