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es in Plasma Levels of Natural Anticoagulants i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High Prognostic Value of Antithrombin and Protein C in Patients with Underlying Sepsis or Severe Infection

        최규태,홍기호,김지은,김현경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4 No.2

        Background: Dysfunctional natural anticoagulant systems enhance intravascular fibrin for- mation i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and plasma levels of natural anti- coagulants can be used i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DIC. Herein, the diagnostic value of 4 natural anticoagulants was assessed, and the prognostic value of antithrombin and protein C were validated in a large population. Methods: Part 1 study included 126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DIC and estimated plasma levels of 4 candidate anticoagulant proteins: antithrombin, protein C, protein S, and protein Z. Part 2 comprised 1,846 patients, in whom plasma antithrombin and protein C levels were compared with other well-known DIC markers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 eases. The 28-day mortality rate was used to assess prognostic outcome. Results: Antithrombin and protein C showed higher areas under the ROC curve than pro- tein S and protein Z. In part 2 of the study, antithrombin and protein C level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C score, suggesting that these factors are good indicators of DIC severity. Antithrombin and protein C showed significant prognostic power in Kaplan–Meier analyses. In patients with sepsis/severe infection, antithrombin and protein C showed higher hazard ratios than D-dimer. Platelet count showed the highest hazard ratio in patients with hemato- logic malignancy.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the hazard ratio for antithrombin levels was significantly high. Conclusions: Decreased plasma anticoagulant levels reflect florid consumption of the phys- iologic defense system against DIC-induced hypercoagulation. Plasma antithrombin and protein C levels are powerful prognostic markers of DIC,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epsis/ severe infection.

      • KCI등재
      • KCI등재

        효봉선사의 선시(禪詩) 세계

        최규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1 No.-

        본 논문의 목적은 효봉선사(曉峰, 1888~1966)의 선시 세계를 반상 합도(反常合道)와 불반상이합도(不反常以合道)라는 관점에서 살펴보 는데 있다. 효봉선사는 한국인 최초의 판사 생활을 하였으나 독립지 사에 대한 사형 언도를 내린 후 인생에 대한 회의를 절감하고 38세의 늦은 나이로 금강산 신계사 보운암에서 석두(石頭)화상을 스승으로 하여 삭발 득도하였다. 장좌불와의 용맹정진으로 일관한 무서운 난 행고행의 수행으로 43세에 금강산 법기암의 토굴에서 깨달음을 얻은 선사는 1962년 75세에 통합종단으로 출발한 조계종의 초대종정으로 추대되어 한국불교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승풍을 진작하고 헌신하다 가 79세에 입적하였다. 선사가 남종선의 법맥을 계승하여 평생을 무(無)자 화두를 들고 참 구했지만 또한 보조국사를 흠모하여 돈오점수설과 정혜쌍수설을 간 화선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독특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효봉선사 선 시의 특징은 일상을 벗어나되 진리에 부합됨(反常合道)과 일상을 벗 어나지 않고 진리에 부합(不反常以合道)하는 두 면모가 동시에 나타 나고 있다. 선사의 반상합도의 선시들은 오도송이나 혹은 법거량시 에 높은 선지를 드러내거나 자연물을 이용한 강렬한 모순적 대조를 보여준다. 품격 높은 선사의 선시에서는 반상합도의 경지를 나타내 는 시문보다는 일상의 평범함과 대중들에 대한 자애로움, 그리고 당 시의 어려운 불교 상황을 맞이하여 이를 타개하기 위한 의연한 결의 가 보이는 선시들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선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불반상이합도의 선시들은 무엇보다 불 교의 현실적 발전과 또한 수행자들의 실천수행을 독려하기 위하여 깨달음의 돈점을 가리지 않고 무애하게 선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점은 결코 반상합도와 불반상이합도를 둘로 본 것이 아니라 선의 진리를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 일체에 분별없이 원융무애한 선지를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선 사의 선시에 나타나는 선적 경지는 돈점으로 가름할 수 있는 것이 아 니라 이미 그 양자를 초월한 분상에서 그 양자를 마음대로 사용하는 경지에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불반상이합도의 기조를 지닌 선사의 시적 세계 를 중심으로 선자(禪者)로서의 일상생활의 평범함을 보이는 영물(詠 物)적 선시, 대중들에 대한 자비교화의 선시, 그리고 당시 불교 진흥 을 위한 실천적 선시 등으로 나누어 선사의 선사상의 특징과 수행정 진에 힘쓸 것을 강조하는 선사의 시학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Seon poetics of Seon Master Hyobong(1888-1966) in the perspective of ‘Bansang hapdo(反常合道)’and ‘Bulbansangihapdo(不反常以合道)’. Hyobong was the first Korean judge fo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However, in the tenth year of his tenure, he resigned his position after being troubled with having sentenced an independence fighter to death and he came to ordain as a monk under Seon Master Seokdu at Singyesa Temple on Mt. Geumgangsan at the age of 38. Maintaining strict silence and taking no breaks to rest or walk during meditation, he finally attained enlightenment at Beopgiam Hermitage at the age of 43. In 1962, at the age of 74, he became the first Supreme Patriarch of the Unified Jogye Order and devoted himself to Korean Buddhism revival. Master Hyobong strove to inherit the spirit of the “samadhi and prajn~ asociety( Jeonghye Gyeolsa)”initiated by National Master Bojo Jinul(1158-1210). Succeeding ‘Namjongseon’(the southern seon(zen) school of Huineng, the Six the Patriarch), Hyobong understood that the investigation of‘ hwadu’in Seon Buddhism is the combin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which is precisely in the practice of the Ganhwaseon method(Observing the hwadu). The distinguishing mark of Hyobong's Seon poetry shows two aspects:‘ Bansanghapdo’(matching with the truth though free from the ordinary) and ‘Bulbansangihapdo’(matching with the truth without being free from the ordinary). Based on ‘Bansanhapdo’, his Seon poems reveal not only the songs of enlightenment or high essence of Seon in dharma discussion but also a strong contradict contrast using the natural products. In the Seon poems of great masters are there ones concerning the everyday commonplace, the compassion toward the public and the resolu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of Buddhism than the ones based on‘ Bansanghapdo’. Hyobong's Seon poems based on ‘Bansanghapdo’seem to accept the various points of Seon without any hindrance without discriminating sudden or gradual enlightenment for the sake of practical development of Buddhism and encouragement of the ascetics' discipline. This menas that ‘Bansangbapdo’and ‘Bulbansangihapdo’are not two but one and the same, which reveals the essence of Seon, Weonyung Muae(complete unobstructed interpenetration of things) without discriminating everything in order to show the truth of Seon as it is. Above all, it means that the Seon level of Seon master's poetry is not one to be measured by ‘sudden or gradual’but it is in the very level of using the both at will transcending the both. Consequently, I t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master Hyobong's Seon thought and the significance of his Seon poetics to stress the strenuous cultivation and devotion of the Way, focusing on his Seon poems based on‘ Bulbansangihapdo’ chiefly on the songs of birds, flowers, moon, trees, poems of developing people by compassion and the teaching of the Buddha-dharma, and finally practical poems for promoting Buddhism.

      • KCI등재

        전법계보를 통해 본 효봉선사의 법통 인식

        최규태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This paper insists that it is not a contradiction that although Hyobong(曉峰, 1888-1966), a great zen master in modern korea, positioned himself as a zen master in Taego dharma tradition(太古法統), in practice, he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普照法統) which is in conflict with Taego dharma tradition. Hyobong is a strict Ganhwa(看話) zen master who is belong to a dharma tradition of Haewon(海源,1691-1770) division(海源門派), Pyeonyang(鞭羊, 1581-1644) sect(鞭羊派), Cheongheo(淸虛, 1520- 1604) Dharma line(淸虛系). In spite of his original dharma tradition, after a dream in which Hyobong heard a dharma speaking of Gobongbeopjang(高峰法藏, 1351-1428) who is the 16th national preceptor(國師) of Songgwang temple(松光寺), very famous korean buddhist temple, he changed his buddhist name which was conferred on him from his buddhist teacher belonging to Taego dharma tradition. They say that this change of a buddhist name may mean that Hyobong received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in opinion of this paper, this don't mean Hyobong's receiving of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a action showing that he takes Bojojinul's the spirit of buddhist practice society as an idea for modern korea buddhism reform. So, in opinion of this paper, the reason why Hyobong raised Jinul's idea and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 comes from his spirit of the age, not from a political problem of which buddhist dharma tradition is authenticity .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s shortly zen masters who have not been known well untill now in the line of Hyobong dharma tradition in the process of proving in the opinion of this paper. 본 논문은 효봉선사의 법통관을 고찰하여 태고문손임을 자임함에도 보조법통설을 주장하는 듯한 선사의 이중적 태도가 실제로는 전혀 모순이 없음을 주장하였다. 효봉선사는 스스로가 태고법통을 이어받은 청허계 편양파 중에서도 해원문파의 사람임을 자임하는 철저한 간화선사이다. 그런 선사가 몽중법문을 통해 송광사 제16국사인 고봉원묘의 법문을 듣고 이전의 법호와 법명을 바꾸었는데, 이것은 고봉의 법을 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당대의 한국불교를 개혁할 가장 적합한 정신으로 보조지눌의 정혜결사의 정신을 선택했다는 자신의 의지를 천명한 행위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효봉은 태고의 법통을 계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지눌의 정신을 선양하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보조법통설을 지원했던 효봉의 의지는 당대불교를 바라보는 그의 시대정신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주장을 논증하는 과정에서 아울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효봉선사의 법계에 나타난 인물들의 사상과 법맥을 고찰하여 효봉의 근본정신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